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뉴욕증시는 29일(현지 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기준금리 결정과 기업 실적 공개를 앞두고 방향을 잡지 못하면서 내림세로 장을 마감했다.
마켓워치, CNBC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 지수는 전장 대비 204.57포인트(0.46%) 하락한 4만4632.99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위주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8.91포인트(0.30%) 내린 6370.86에 장을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도 80.29포인트(0.38%) 떨어진 2만1098.29에 장을 닫았다.
연준은 29~3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정한다. 30일에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기자회견을 가질 예정이다.
시장은 연준이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날 발표된 경제 지표는 엇갈렸다.
미국인의 향후 경기 낙관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소비자신뢰지수(CCI·Consumer Confidence Index)는 회복세를 보였다
미국 민간 경제 조사단체 콘퍼런스보드(CB)에 따르면 7월 소비자신뢰지수는 97.2로 전달(95.2)에 비해 2포인트 올랐다.
7월 기대지수는 전월과 비교해 4.5포인트 오른 74.4를 기록했다. 다만 침체 기준선인 80을 밑돌았다.
7월 현재 상황지수는 전달 대비 1.5포인트 하락한 131.5로 집계됐다. 이는 소비자들이 현재 경제 상황, 고용 시장과 기업 환경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소비자신뢰지수는 미국 소비자들의 경제 상황에 관한 인식과 기대를 측정하는 지표로, 100이 기준점이 된다. 미국 경제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대략 70% 정도다.
반면 미국 6월 구인 건수는 예상치를 밑돌았다.
이날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 따르면 지난 6월 미국 내 구인 건수는 743만7000건으로 집계됐다.
전달(771만2000건)보다 27만5000건 감소했고, 전문가 전망치(750만 건)를 밑돌았다.
기업들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으로 투자와 고용을 미루고 있다. 다만 기업들의 대량 해고도 줄어들어 6월 해고 건수는 전달보다 7000건 감소한 160만4000건으로 집계됐다.
이날 스타벅스, 비자카드, 보잉, 유나이티드헬스그룹 등 주요 업체들이 실적을 공개한다.
한편 미국과 중국은 이날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끝난 3차 무역 협상에서 상호 관세 인하 조치를 90일간 연장하기로 합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