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뮌헨’과 같은, 하지만 발전한

이용되고 버려지는 스파이의 비극적 숙명과 정체성의 혼란, 국가와 이념의 허구성, 폭력의 허무성, 악순환되는 첩보전의 무의미함, 음모와 배신의 비인간적 세계 등 영화의 메시지는 ‘뮌헨’과 고스란히 겹친다. 냉전시대에 대한 진부한 회환과 반성을 167분이나 들여 전달할 필요가 있을까? 더구나 이것은 더 이상 새로운 이야기도 아니다. 하지만 ‘굿 셰퍼드’는 ‘진부하지만 여전히 중요한 진실’을 설득하는 힘을 발휘한다.
자유인의 심장을 가지고 조직의 소모품으로 살아가는 프레더릭스 교수의 비참한 삶은 적어도 실수로 폭탄테러에 희생당한 ‘뮌헨’의 소녀라는 직설적 은유보다는 강한 울림을 주며, 맷 데이먼의 무표정은 에릭 바나의 울부짖음 보다 비장하다. 실존 인물의 자기 고백적 내용에다 치밀한 자료수집 덕분인지 에피소드들이 섬세하고 복합적인 점도 미덕이다.
캐릭터를 입체적으로 만든 맷 데이먼의 연기력

이 매끄러운 영화는 하지만 ‘공부도, 운동도, 피아노도 다 잘하는데 결정적 매력이 없는’ 모범생처럼 밋밋하다는 느낌을 버리기 힘들다. 진부한 주제를 정공법으로 파고들었을 때의 한계를 완벽히 극복하지는 못한 결과로 보인다. 통찰력이 상당히 돋보이는 대목도 많지만 한계를 넘기는 부족했던 것이다.
하지만 ‘굿 셰퍼드’는 이 같은 단점을 커버하는 무기를 갖췄다. 바로 화려한 캐스팅이 그것. 맷 데이먼, 안젤리나 졸리 같은 스타는 물론 알렉 볼드윈, 윌리엄 허트 등 연륜을 자랑하는 중견 배우들이 영화 전체에서 내뿜는 기운이 대단하다.
스파이 아내로서 불안정한 삶을 살아가는 클로버 역을 맡은 안젤리나 졸리의 변신은 보너스. 영화를 단조로움에서 구제하는 진정한 힘은 맷 데이먼의 연기다. ‘냉철하고 지적’이라는 도식적 관념에 매몰되기 쉬운 캐릭터를 맷 데이먼은 몇 가지 단어로 설명하기 힘든 입체적인 인물로 만들었다.
CIA 창시자로 분한 로버트 드 니로의 아우라도 짧은 분량이지만 관객을 흥분시키기 충분하다. ‘대부’ 시리즈로 유명한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가 제작을 맡았는데 드 니로와 코폴라의 이미지를 합쳐 갱의 ‘대부’가 CIA 창시자라는 연상 작용에 이르는 부가 효과도 있다. ‘굿 셰퍼드’가 까발리는 CIA 조직의 참모습이 조폭의 그것과 전혀 다르지 않다는 메시지 같이 느껴진다. 로버트 드 니로는 적역을 맡은 셈이다.

감독 : 김기덕 출 연 : 장 첸, 지아, 하정우, 강인형
죽음이 얼마 남지 않은 사형수 장진은 날카로운 송곳으로 자신의 목을 찔러 자살을 시도한다. 죽음을 앞당기려는 그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결국 목소리만 잃은 채 다시 교도소로 돌아온다. 돌아온 그곳에서 그를 기다리는 것은 그를 사랑하는 어린 죄수. 하지만 장진에게 이 생에 남아있는 미련은 아무것도 없다. 부족함이 없어 보이는 연의 삶은 남편의 외도를 알게 되면서 어긋나기 시작한다. 우연히 TV에서 사형수 장진의 뉴스를 본 연은 그에게 묘한 연민의 정을 느끼고 그를 만나기 위해 교도소로 향한다. 자신이 어린 시절 경험했던 죽음의 순간을 사형수 장진에게 털어놓으며 닫아 두었던 마음의 문을 열게 된다.

감독 : 박규태 / 출 연 : 정진영, 최우혁, 권오중
학교가 세상에서 가장 좋은 IQ 60의 11살 동구와 아들 동구가 무사히 초등학교만 졸업할 수 있다면 무엇이든 못할게 없는 천하무적 치킨집 사장 진규. 학교에 가면 매일 친구들 물 따라주는 일밖에 못하는 동구지만 그런 동구를 보는 진규는 마냥 행복하다. 이 단짝 부자의 공동 목표는 초등학교 ‘무사졸업’. 하지만 세상일이 어디 그리 쉬운가? 이 두 부자의 목표를 가로막는 거침없는 태클! 바로 동구가 그토록 좋아하는 학교에서 특수학교로 전학을 보내려 하는것. 치킨을 뇌물로 먹여도, 무릎 꿇고 빌어도 안되는 애타는 상황. 과연 진규는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싶은 아들의 소망을 이뤄줄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