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김정기 기자] 코로나19와 함께 전국 어린이집에 대한 무기한 휴원이 실시 됐음에도, 긴급돌봄 등을 통해 등원하는 영유아가 57%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어린이집의 경우 학교보다 더 수준 높은 방역이 요구된다"며 "보다 수준 높은 방역 조치 후 보수적으로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차관)은 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을 통해 "현장의 의견들을 충분히 수렴하고 있다"며 "현장에서 취할 수 있는 적정한 수준의 합리적인 조치들을 통해서 미리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일반적인 개원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김 차관은 "최대한 이러한 논의를 신속하게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지난달 27일, 보건복지부는 전국 3만5830개 어린이집 118만85명 아동 중 57.0%인 67만2122명이 긴급보육을 통해 어린이집에 등원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정부는 학교 개학 연기와 함께 2월27일부터 '전국 어린이집에 대한 휴원 조치'를 내리며, 돌봄 공백 방지를 위해 당번교사를 배치 긴급보육을 실시하고 있다. 처음엔 어린이집 등록 아동 중 10.0%가 이용중이던 긴급보육 이용률은 1차 휴원 직후인 ▲3월9일 17.5% ▲3월23일 28.4% ▲3월30일 31.5% ▲4월20일 51.8% 등 갈수록 높아지며 '어린이집 휴원조치'에 대한 무용론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김 차관은 "어린이집의 경우에 학교에 비해서도 더 낮은 연령대 어린이들, 특히 영아들이 이용 하는 시설로 각별한 조치들이 필요하다"며 "학교 개학에 따른 여러 가지의 제반 상황 등을 고려 위험 분석과 또 필요한 방역상의 조치를 보다 철저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