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야당이 추진 중인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특위 명단 제출 마감일이 오늘(21일) 오전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민의힘은 의원 총회를 열어 ‘선 수사-후 국정조사’라는 기존 당 방침을 재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인 성일종 의원은 21일 “일의 순서가 있기 때문에 선 수사를 해서 수사가 부족할 때 국정조사를 해도 늦지 않다”고 밝혔다.

성 의원은 이날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저희가 국정조사를 반대한 적이 없다”며 “실효성적 측면에서 문제가 있고 또 많은 분들이 수사 중이기 때문에 대답할 수 없다 그랬을 때 빈수레가 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일단 명단은 제출하고 기간은 나중에 정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생각해본 적 없다. 당의 일관된 입장은 처음부터 끝까지 수사를 지켜보고 미진하면 요청할 것이다”라고 일축했다.
합의 없이 야3당이 단독 처리할 경우에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성 의원은 “야당에 의해서 여야 합의 없이 단독 처리된 선례가 지금까지 한 건도 없었다”며 “마약범죄 단속 처리 때문에 이태원 참사가 난 것처럼 이런 요구를 했는데 완전히 정치적인 요구다”고 말했다.
민주당의 대통령실 이전 관련 예산을 삭감하겠다는 입장에 대해서는 “국정 발목잡기 하고 감정 처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감정 예산”이라고 규정했다.
성 의원은 “청와대 영빈관 굉장히 낡아서 497억을 영빈관을 짓겠다고 올렸더니 난리가 났었지 않았나? 그래서 대통령실이 안 하겠다고 선언했다. 용산공원 조성은 문재인 대통령 때부터 한 건데 이것도 못하게 막고 있다. 공공분양주택 1조1,300억 정도가 드는데 이것도 못하게 막고 있고. 청와대 개방과 허용하는데 한 60억 정도도 깎고 그랬는데 윤석열 대통령의 중점 추진사업비라고 생각만 들면 무조건 이거를 다 깎아버렸는데 이것은 감정 예산이라고 생각한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예산안 합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감액 하고 증액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아마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이 부분에 대해서 서로 절충을 하면 늘 합의점에 도달하고는 했었다”고 말해 가능성은 열어 놨다.
예산안 처리 법정시안인 12월 2일을 넘길 경우 ‘준예산’ 편성할 것인지에 대해선 유보적인 입장을 취했다.
성 의원은 “거기까지는 생각 안했다. 12월 2일이 헌법에 명시되어 있는 본회의 자동 부의권이 부여되는 날이다. 이날까지 해야 된다는 것은 야당에서도 잘 알고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며 민주당의 협조를 당부했다.
‘금투세’ 유예와 관련해 민주당이 거래세를 0.15%로 낮추고 양도소득세를 10억에서 100억으로 높이려는 정부 방침을 철회하면 검토하겠다고 한 것에 대해서는 “개미들의 생존과 관련된 절박한 문제여서 유예해달라는 건데, 웬 이런 많은 조건들이 붙는지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이어 “원칙에 대한 문제다. 지금 어려우니까 2년 유예하자는 거다. 계속 조건을 걸지 말고 원칙대로 처리를 해주십사 하는 말씀을 드린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