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가 당원 투표 반영 비율을 핵심으로 하는 당헌 개정안 도출 작업을 비대위 내 토론을 통해 하기로 했다.
다만 당은 2023년도 예산안이 통과돼야 논의에 착수한다는 입장이어서 오는 15일 예산 처리가 다시 파행되고 국면이 장기화되면 내년으로 밀릴 가능성도 있다.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은 전날 부산 지역 당원과의 만남에서 "새해 예산안을 처리하는대로 전당대회 논의에 들어가겠다고 말씀드렸고, 비대위원들과 밀도 있게 논의해서 100만 책임당원 시대에 걸맞는 전당대회 제도를 확정짓겠다"고 밝혔다.
전당대회 시점도 비대위 임기인 3월12일 전으로 못박았다.
차기 당대표 선출이 2~3개월 앞으로 다가오면서 전당대회 룰 결정 시한도 목전에 놓였다. 한 비대위 관계자는 13일 통화에서 "3월12일 전에 50일은 선거운동을 해야 하고, 그럼 1월에 후보를 정하기 전에 당헌·당규를 고치는 전국위원회까지 해야 한다"고 밝혔다.
3월 중순 전당대회를 위해서는 연말연시께까지 당헌 개정을 끝내야 해서 시간이 촉박하다는 것이다. 이에 비대위는 당헌·당규개정특별위원회를 거치지 않고 직접 개정안을 만드는 방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위 구성은 선택사항인데, 당헌을 총체적으로 고칠 때 가동되는 기구라고 다른 비대위 관계자는 설명했다.
다만 당은 예산안이 최종 통과돼야 토론을 시작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가장 민감한 영역인 반영 비율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면 당내 동력이 전당대회로 쏠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한 비대위 관계자는 "지금 주자들이 (당원 비율 상향에) 반반씩 갈리는데, 토론을 하는 순간 우리 당은 굉장한 내분 같은 게 일어날 것"이라며 "그러면 예산안에 집중할 수가 없으니까, 예산안을 반드시 통과시키고 나서 (토론을)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당 지도부와 당내에는 '당심' 비율을 올리자는 주장이 다수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수인 정진석 위원장이 '1반 반장' 비유를 통해 공개적으로 뜻을 드러낸 가운데, 비대위가 당헌 개정안을 만들 경우 '당심'을 현행 70%에서 80% 이상으로 상향하는 안이 채택될 것으로 보인다.
주자들 이해는 엇갈린다. 김기현·권성동·조경태 의원은 찬성하는 입장이지만 유승민·나경원 전 의원, 안철수·윤상현 의원 등은 현행 유지를 주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