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8일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실 행정관이 전당대회에 개입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만약에 대통령실의 행정관이 개인적으로 여러 가지 무슨 일을 했는지 정확하게는 모르지만 문제가 있다고 한다면 그 행위에 대해서 책임을 져야 되는 거 아니겠나”라고 밝혔다.
성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정확한 내용이야 알 수 없지만 어쨌든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맞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지금이야 당내 선거든 또 당내 선거가 아니든 선거 할 때는 승리하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고 있는 거니까 아마 그런 측면에서 이해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라고 덧붙였다.
당권주자인 안철수 후보가 대통령실 강승규 시민사회수석을 고발한 것은 선거 과정에서 통상적으로 불거지는 행위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경선이 끝나면 유야무야되고 없던 일이 될 수 있다’ 이런 말인가라는 진행자 질문에 성 의장은 “대통령실 행정관이 개인적으로 여러 가지 무슨 일을 했는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문제가 있다면 그 행위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는 것 아니겠나”라고 답했다.
안철수 후보 측이 개입 의혹에 대한 경찰 수사 결과를 보고 선거 승복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한 것에 대해서는 “당내에 100만 명에 가까운 분들이 선거를 하는데 행정관이 그렇게 무슨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겠나”라면서 “선거는 이미 다 끝났고 선거 전략적 측면에서 접근하지 않았겠나 생각한다”고 의미를 애써 축소했다.
대통령실의 공식 언급이 없는 것과 관련해선 “조사하고 있겠죠”라고 대답했다. 성 의장은 “왜 그렇게 했는지 전후 사정을 다 따져봐야 하지 않겠나”라며 “조사라는 게 하루 만에 끝날 수 있는 건 아닐 테니 아무래도 조사를 하고 있을 것”이라고 봤다.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이 50억 클럽 특검 외에 이른바 ‘김건희 특검법’도 추진하겠다는 입장에 대해서는 “문재인 정권 하에서 친문 검사들이 정말 문제가 있었으면 놔뒀겠냐”며 “21년도 6월 29일 당시 윤석열 검찰총장이 대선후보로 대선에 출마하겠다고 선언한 후 7월 달에 검찰조사가 시작이 된 건데 문제가 있었으면 이미 그 당시에 후보로 못 나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