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한미정상회담에 이어 한일 정상회담이 개최된다. 윤석열 대통령은 16~17일 1박2일 일정으로 방일해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진다.
한국 정부가 일본 전범 기업이 빠진 강제동원 배상안을 발표한지, 사흘만에 대통령실과 일본 정부가 동시에 발표했다.

지지통신 등 일본 언론은 한국과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양국이 정상 간 상호 왕래하는 셔틀외교를 재개하는 방향으로 조정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일 양국 정상의 상호방문은 12년만이다. 2011년 이명박 전 대통령 때 서로 방문한 걸 마지막으로, 아베 정권이 들어서면서 중단됐다.
미국에서 귀국하는 길에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은 “강제징용 해법 발표가 되었고, 그걸 계기로 해서 한일관계를 본격적으로 또 포괄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그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기사다 후미오 일본 총리도 “일본 정부는 한국 정부의 옛 한반도 노동자 문제에 관한 발표를 평가한다. 양국 관계 강화를 위해 노력하는 기회로 삼고 싶다”고 밝혔다.
지지통신은 “윤 대통령이 (셔틀외교 재개를) 강하게 희망하고 있어 (기시다) 총리는 국내 여론 동향과 징용공(강제징용 피해자) 문제 추이를 주시하며 (재개)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할 태세다”고 전했다.
이번 회담의 주요 의제는 일본의 수출규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을 포함해, 긴밀한 안보협력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요미우리 신문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GSOMIA)에 대해 “한국 정부가 정상화를 선언하는 방향으로 조정되고 있다. (한일 정상) 회담에서도 정보공유 중요성을 확인할 전망”이라고 보도했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 간 만남은 지난해 11월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아세안 정상회의 계기의 양자 회담 후 4개월 만이다.
한미, 한일 정상회담이 연이어 열리면서, 한미일 세 나라의 삼각 협력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