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한미는 오늘(13일)부터 23일까지 11일간 토‧일요일 중단 없이 ‘자유의 방패’(프리덤실드·FS) 연합훈련을 실시한다.
이에 북한은 12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주재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확대회의를 개최해 ‘중대 실전조치’를 경고해 한반도 주변의 긴장이 고조될 것으로 보인다.

한미는 이번 훈련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고도화와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등 변화된 안보환경을 반영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맞춤형 연습을 실시해 동맹의 대응능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시나리오 중에는 한미 연합군이 개전 초 북한의 전면적 도발을 방어하고 반격에 성공한 뒤 북한 지역에서 시행할 치안 유지, 행정력 복원, 대민 지원 등 ‘북한 안정화 작전’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연합연습은 역대 최장기간인 11일 동안 중단 없이 연속해서 진행된다. 연습 기간에는 연합상륙훈련 등 과거 독수리연습 수준으로 확대된 대규모 연합야외기동훈련을 집중적으로 시행한다.
2018년 5월 문재인 정부에서 중단됐던 독수리연습은 한미 양국 군이 후방지역 방어 작전과 주요 지휘통제 및 통신체계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던 대규모 야외 실기동 훈련(FTX)이다.
아이작 테일러 주한미군사령부 공보실장은 지난 3일 브리핑에서 “본 훈련의 목표는 상호 운영성 강화 및 연합사, 유엔사, 주한미군사령부의 연합방어전술 절차 등을 향상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며 “방어적 성격을 띤 이번 훈련을 통해 철통 같은 한미 동맹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대규모 실기동 훈련 외에도 한미는 쌍룡 연합상륙훈련과 연합특수작전훈련(Teak Knife·티크 나이프) 등 20여 개 훈련을 집중적으로 시행한다.
이번 훈련에 참가할 미국의 주요 전략자산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의 니미츠급(10만t급) 핵추진 항공모함이 한반도로 전개해 참여하는 연합항모강습단훈련과 한미일 미사일경보훈련도 FS와 연계해 이뤄진다.
탄도미사일 탐지 및 요격 기능이 있는 이지스 구축함, 토마호크 미사일을 탑재한 핵 추진 잠수함 등의 전개도 거론된다.
미국은 이미 지난달 말 로스앤젤레스급 핵 추진 공격잠수함 스프링필드함(SSN 761·6000t급), 이달 3일 B-1B 전략폭격기와 무인공격기 MQ-9, 6일 핵 탑재 가능 장거리 폭격기 B-52H 등 전략자산을 한반도로 최근 전개한 바 있다.
한편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 주재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확대회의를 열어 한미 연합연습 등에 대응해 “전쟁억제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행사하며 위력적으로, 공세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중대한 실천적 조치들을 결정했다”고 전날 관영매체가 보도했다.
이에 따라 연습 기간 탄도미사일 발사, 대규모 육·해·공군 합동화력훈련, 9·19 군사합의로 금지된 해상완충구역 이내 사격 등 다양한 고강도 무력시위 등이 예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