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5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넷마블, <펜타스톰> 전장 그래픽 3.0 HD 업데이트

URL복사

더욱 뛰어난 그래픽, 생동감 넘치는 플레이
이용자 편의 고려 UI 개선
공식 카페 이벤트 진행…추첨 통해 영웅 스킨 2종 지급



[시사뉴스 김도균 기자] 넷마블이 모바일 MOBA <펜타스톰>에 그래픽 엔진을 업그레이드하고 신규 마법문양 시스템을 추가하는 등 업데이트를 실시했다.

이용자가 더욱 뛰어난 그래픽으로 펜타스톰을 즐길 수 있게 된 점이 눈에 띈다. 

이용자는 현실적인 광원효과(PBR, Physically Based Rendering)를 통해 생동감 넘치는 지형과 영웅의 움직임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이번 업데이트로 추가된 마법문양 시스템은 전투에 도움이 되는 능력치를 추가로 얻을 기회를 제공한다. 마법문양 시스템은 총 4개 진영으로 구성되며 영웅의 직업에 따라 다른 문양을 착용할 수 있다.
 
이용자 편의를 고려한 UI 개선안도 함께 선보인다. 메인 화면부터 룬 페이지, 대전 매칭 화면 등이 보다 깔끔하게 변경됐다. 룬 시스템 역시 개선돼 룬의 레벨업과 분해가 가능해졌으며 보다 다양한 룬을 편리하게 획득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업데이트 후 새롭게 시즌을 시작하는 랭킹전에서는 가장 높은 랭크인 S-영웅과 다이아 랭크 사이에 그랜드마스터 랭크가 추가된다. 이용자는 골드4 이상의 랭크 및 랭킹전 10판 플레이를 달성할 경우, 린디스 <달빛 수호자> 영구 스킨을 획득할 수 있다.
 
펜타스톰은 이번 업데이트를 기념해 오는 30일까지 ‘이열치열’ 이벤트를 진행한다. 

대전에서 불과 연관된 스킨을 착용한 후 스크린샷을 공식 카페에 올리면 추첨을 통해 <크레스트 스시의 신>과 <조운 푸른 얼음의 기사> 같은 시원한 컨셉트의 스킨을 제공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건축의 본질과 인간의 존중에 대해... ‘건축, 인간과 함께 숨 쉬다’ 출간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현재 만연하는 건축 현실의 문제점을 되짚고, 인간을 위한 건축 실현을 전망하는 책이 출간됐다. 북랩은 존엄한 인간의 삶을 구축하는 건축의 올바른 목적을 역설하는 ‘건축, 인간과 함께 숨 쉬다’를 펴냈다. 부실 시공과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는 오늘날, 건축은 우리 사회의 안전과 삶을 위협하는 존재가 되기도 한다. ‘건축, 인간과 함께 숨 쉬다’는 이러한 현실을 정면으로 마주하며 건축의 목적과 본질에 대해 다시 묻는다. 저자는 ‘건축은 인간을 위한 것’이라는 단순하면서도 근본적인 메시지를 던진다. 책은 생명과 건축의 관계, 공공성과 책임, 건축가의 태도와 사회적 사명을 두루 짚는다. 건축을 단순한 기술이나 디자인이 아닌 생명을 담아내는 행위로 바라본다. 광주 학동 철거 건물 붕괴, 이천 물류센터 화재 등 반복된 참사 사례들을 돌아보며, 이윤 중심의 건설 문화를 넘어 ‘생명 안전 사회’로 전환해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저자는 건축을 ‘삶의 흔적이자 인간의 희망’으로 정의하며, 인간 존중 없는 건축은 단순한 콘크리트 덩어리에 불과하다고 경고한다. ‘건축, 인간과 함께 숨 쉬다’는 건축을 통해 사회 정의와 공동선을 회복하고, 더 나은 삶의 터전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