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9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팀 버튼, 진짜 화가는 따로 있었다…영화 ‘빅 아이즈’

URL복사

 

[시사뉴스 조종림 기자] 아트 비주얼리스트 팀 버튼(57) 감독의 새 영화 ‘빅 아이즈’가 28일 개봉한다. 최고의 그림을 둘러싼 놀라운 이야기를 독특하고 감각적인 연출로 담아냈다. 감독의 시선은 시종 따뜻하다.

영화는 1950~60년대 화단에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킨 그림 ‘빅 아이즈’ 뒤에 숨겨진 흥미로운 이야기에서 시작된다. 첫 남편과 헤어지고 싱글맘으로 딸을 키우면서 ‘빅 아이즈’ 그림을 그리던 무명 화가 마가렛은 1955년 봄, 샌프란시스코 근처의 전시회에서 월터 킨을 처음 만난다. 사교적이고 예술적 교감을 나눌 수 있었던 월터 킨에게 순식간에 빠져들었고, 곧 마가렛은 그와 재혼을 하게 된다.

결혼 후 월터는 유명인들이 드나들었던 클럽 ‘헝그리 아이’에서 자신과 마가렛의 그림을 전시했다. 그림이 큰 호응을 얻자 월터는 마가렛의 이름이 아닌 자신의 이름으로 ‘빅 아이즈’ 그림들을 팔기 시작했다. 탁월한 수완가이자 영리한 사업가였던 월터는 대중을 상대로 한 미술품 시장의 잠재력을 일찌감치 파악하고 1959년께 샌프란시스코에 킨 아트 갤러리를 열어 ‘빅 아이즈’ 그림과 포스터를 파는 사업을 벌였다.

이후 월터는 ‘빅 아이즈’ 그림을 통해 대중미술 상업화에 대혁명을 일으키고 엄청난 성공을 거두게 된다. 하지만 1986년 즈음 마가렛 킨이 월터 킨을 고소하면서 ‘빅 아이즈’ 그림의 진짜 주인은 월터 킨이 아닌 마가렛 킨이었다는 사건의 실체가 드러나게 된다.

버튼 감독은 “나는 어떤 하나에 대해서 누군가는 이 쪽에서 이렇게 보고, 또 다른 누구는 다른 쪽에서 저렇게 보고, 이러한 관계들이 서로 연결돼 다른 뭔가를 만들어내는 것에 관심이 있다. ‘빅 아이즈’는 이러한 것들을 바탕으로 진실을 찾고, 더 나아가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탐구라고 할 수 있다”고 전했다.

출연 에이미 아담스·크리스토프 왈츠·크리스틴 리터·제이슨 슈왈츠먼, 105분, 12세이상관람가.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연휴 엿새째 서울 방향 정체 집중…부산→서울 8시간20분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추석 연휴 엿새째이자 대체공휴일인 8일은 귀경·나들이 차량이 몰리면서 서울 방향 고속도로 곳곳에서 정체가 심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이날 전국 고속도로 교통량은 546만대로,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이동하는 차량은 33만대,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진입하는 차량은 32만대로 각각 집계됐다. 서울 방향은 오전 7~8시 정체가 시작돼 오후 5~6시 절정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다음 날 오전 1~2시 정체가 완화할 것으로 보인다. 지방 방향은 오전 9~10시부터 막히기 시작해 낮 12시와 오후 1시 사이 가장 혼잡하고 오후 7~8시 정체가 해소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서울 방향 오후 5시께 가장 혼잡할 것으로 전망되며, 영동고속도로와 서해고속도로가 가장 붐비겠다. 오전 9시15분 기준 경부고속도로는 서울 방향 북천안부근~북천안 1㎞ 구간에서 막히고 있다. 부산 방향은 망향휴게소부근~천안부근 3㎞ 구간이 정체다. 서울양양고속도로는 양양 방향 ▲강일~남양주요금소 7㎞ ▲화도분기점부근~서종부근 2㎞에서 차량 행렬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서해안고속도로는 서울 방향 군산~통서천분기점 7㎞에서 차량이 가다 서기를 반복하고 있다. 오전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