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경제

디지털 홈네트워크 ‘표준 전쟁'

URL복사


Untitled Document




 


디지털 홈네트워크 ‘표준
전쟁’


구현 가능한 기술 보유하고 있지만 업체간
호환 어렵고, 비싼 비용도 문제



로운
기술과 아이디어가 넘쳐나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이제 미래 발전 모습에 대한 놀라움이 예전과 같지 않다. 현실에 가까운 가상 시뮬레이션으로
50년 또는 100년 후의 세계를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전세계에 보급될 날이 그리 멀지 않은 디지털 홈 네트워킹도 이미 오래
전에 가상 체험을 거쳤다. 한국도 앞으로 10년 전후로 현실화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가운데 어떤 점을 어떻게 표준으로 정할지 시장경쟁이
심화되고 있어 살펴보았다.



‘Home of Dream’ 현실로


우리나라에서는 작년부터 홈네트워크가 시범적으로 구축되고 있다. 2002년 10월부터 입주한 서울 도곡동 타워팰리스 1차 1,500가구는
벽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세탁기, 에어컨, 전등 등을 켜고 끌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자동으로 모든 검침이 가능하다. 별도의 서비스 신청으로
외부에서 휴대전화로 SK텔레콤 ARS 서비스를 이용해 가전 제품들을 가동하거나 가스의 잠김과 열림 상태를 알 수 있다.

서울 일원동의 래미안 주택전시관에 가면 음성인식기능이 추가된 환경을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라고 말하면 커튼이 내려지고 불이
꺼지는 등 영화를 볼 수 있는 환경이 자동적으로 만들어진다.

LG전자가 지난 5월20일 영국 런던 나이츠브리지(Nightsbridge)의 헤롯(Harrods)백화점에서 선보인 인터넷 가전제품군은 홈네트워크
산업의 현주소와 국내외 업계의 동향을 보여주었다. 네티즌들이 뽑은 4명의 가상가족 ‘인터넷 패밀리(Internet Family)’가 LG전자[66570]의
가전제품으로 일주일을 거주하며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생활풍속도를 선보였고, 우리의 일상생활을 기존 아날로그 시대와는 질적으로 다른 모습으로
탈바꿈 시켰다는 평을 얻었다.



디지털 홈 표준화 대상


홈 네트워킹 기능을 갖춘 주택은 유무선 홈네트워크 기술, 기기간의 상호 운용성을 지원하기 위한 홈네트워킹 미들웨어 기술, 외부망과 홈네트워크를
연동하고 댁내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홈게이트웨이 기술 등이 필요하다.

유선 홈네트워크 기술로는 HomePNA, 전력선, 이더넷, IEEE1394 등이 있으며, 무선 홈네트워크 기술로는 블루투스, 무선랜, 무선
1394, UWB(Ultra Wide Band) 등이 존재한다. 홈네트워킹을 위한 미들웨어 기술로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인텔이 주도하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 소니와 필립스 등이 제정한 HAVi(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썬 마이크로시스템즈가
지원하는 Jini, 삼성이 제안하고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홈네트워크와 CEA(Consumer
Electronics Association)가 채택한 VHN(Vesa Home Network)등이 있다.

홈게이트웨이에 대한 표준을 정의하고 있는 단체는 ISO/IEC 산하에 있는 JTC1의 SC25 WG1(Working Group 1)과 OSGi(Open
Services Gateway initiative), 그리고 UpnP Forum이 있다. ISO IEC/JTC1 SC25 WG1이 제정한
최종 위원회 표준은 N734로서 홈게이트웨이를 “가정의 기기들을 제어하고 데이터 네트워킹 시스템을 구현하는 요소”로 정의하고 있다.

OSGi(Open Services Gateway initiative)가 추구하는 홈게이트웨이에 대한 표준은 OSGi R1.0으로 OSGi
표준과 호환이 되는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개발한 업체는 Sun Microsystems와 Prosyst, 그리고 Gatespace와 IBM
등이 이에 속한다. 한편 한국의 OSGi의 활동은 삼성전자 소프트웨어센터가 오랫동안 참여하고 있으며 4D HomeNet도 자사의 게이트웨이가
OSGi 표준과 호환이 되도록 이 분야에서 표준화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케이블을 이용하면 자기장이나 전파의 영향을

받지 않을 뿐더러 전송 효율도 기존 동선에 비해 뛰

어나다. 전송 속도면에서도 광케이블이 동선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에, 디지털 홈네트워크를 구현하

기에 적당하다. 각종 광케이블.


차세대통합네트워크도 ‘전쟁중’

정보통신부는 NGcN(차세대통합네트워크)구축기획단을 구성하고 기본 계획안을 10월까지 마련해 정보화추진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오는 12월
확정할 방침이라고 지난 5월27일 발표했다. 정통부는 가정까지 직접 광케이블을 연결하는 FTTH(Fiber To The Home)는 향후
디지털가입자회선(DSL)망과 케이블망이 궁극적으로 진화 발전되어야 할 것으로 보고 기존 망의 FTTH화를 적극 유도할 방침이다.

그러나 정통부 내에서 FTTH뿐만 아니라 HFC를 차세대 통합네트워크로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할 계획을 내부적으로 갖고 있음은 가입자
망 사업자들 사이에 공공연히 알려진 사실이다. 정통부 내에서도 디지털 홈네트워크 추진 세력이 나뉘어져 있다는 의미이기도하다.

방송가입자 1,100만 가구,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370만 가구를 보유하고 있는 CATV망은 디지털방송 및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등 양방향
통신, 방송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어 NGcN 인프라로서 활용 가치가 매우 크다. 하지만, FTTH만을 차세대 통합네트워크로 활용할
경우, 기반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단계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유무선 네트워크부터 홈게이트웨이까지 표준화는 끝이 없어 보인다. 가전회사는 회사끼리, TV, 에어컨, 냉장고 등 제품은 제품끼리 서로 표준이
다르다. 집 전체에 네트워크를 만들고 일반 가전보다 30~50%정도 비싼 디지털 가전을 설치하려면 추가비용도 만만치 않다. 현재로선 수요도
별로 없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홍보담당자는 “지금이라도 디지털 홈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기술은 충분하다. 하지만, 비싼 비용과 관련
업체간의 표준이 이루어지지 않아 쉽게 구현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표준화 외에도 디지털 홈네트워크와 관련, 인프라가 축적되어 있는 업체들간의 선점을 위한 신경전도 치열하다. 힘의 논리에 의해서 고급 기술이
쇠퇴되거나 서민들이 부담해야 할 비용이 애매하게 쓰여질 여지도 없지 않은 것이다.










 



HFC (hybrid fiber coaxial cable): 광동축 혼합망


HFC는 비디오, 데이터 및 음성 등과 같은 광대역 콘텐츠를 운송하기 위해, 네트웍의 서로 다른 부분에서 광섬유 케이블과 동축케이블이
사용되는 통신 기술이다. 대체로, 지역의 케이블TV회사들의 경우, 케이블 전파 중계소로부터 기업이나 가정의 사용자에게 근접해
있는 노드들에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고, 이 노드들로부터 개별 기업이나 가정으로 들어가는 부분에는 동축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HFC의 장점은 기업이나 가정에 항상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동축케이블을 교체하지 않고서도, 광섬유 케이블의
일부 특성을 사용자 가까이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FTTH(Fiber To The Home)

집안까지 광케이블이 연결되는 FTTH는 교환기와 가입자가 일대일로 연결되는 대신, CATV망과 유사한 트리 형태로 구성된다.
공유되는 광케이블이 일정지역까지 연결되고, 하나의 광신호를 여럿으로 똑같이 복사하여 분배하는 광스플리터(optical splitter)를
통해 분기되어 각 가입자까지 연결된다. 광스플리터는 전력이 필요치 않아 광분배망 내에 전력이 필요치 않은데 이러한 방식을 PON(Passive
Optical Network)이라 한다. 광케이블을 공유하여 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 부품들로만 이루어져
있어 고장이 적은 특징이 있다.



박광규 기자 hasid@sisa-news.com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이 대통령, 여야 대표에 "국정에 국민 모든 목소리 공평히 반영 노력"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여야 대표와 오찬 회동을 갖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등 여야 지도부를 만나 "대통령은 국민을 통합하는 게 가장 큰 책무인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국정에 모든 국민의 목소리가 공평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여야 대표 오찬 회동에서 "우리 국민이 하나의 목소리로 대한민국의 국익과 국민의 복리 증진에 힘을 모으면 참 좋겠다. 대외 협상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앞선 한미·한일 정상회담을 두고 "일종의 통과의례 같은 것인데 무엇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라 무엇인가를 지키기 위해 필요해서 하는 과정이고 매우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공개석상에서 '나라의 힘을 좀 길러야 되겠다'는 말씀을 드린 이유가 있다"며 "우리가 다투고 경쟁은 하되 국민 또는 국가 모두의 이익에 관한 것들은 한목소리를 낼 수 있으면 참 좋겠다"고 했다. 또 "저는 민주당 출신 대통령이기는 하지만 이제는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쉽지는 않은 것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인천 한 반도체 제조공장서 가스 누출 22명 병원
사고가 발생한 반도체 제조공장 (사진=인천소방본부 제공)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인천 한 공장에서 화학약품 작업 중 염산 탱크에 염소산을 잘못 주입하면서 화학 반응과 함께 가스가 누출돼 작업자 20여명이 호흡곤란 등 증세를 보여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9일 인천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35분경 미추홀구 도화동 한 반도체 제조공장에서 가스가 누출 됐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이 사고로 22명이 병원 치료를 받았으며 이중 작업자 4명이 호흡곤란 등 증세를 보여 119 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으며 다른 18명은 자력으로 병원으로 이동해 치료를 받았으며 모두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당국은 현장에 도착했을 당시 탱크로리에서 화학반응이 진행 중인 것을 확인하고 중화제를 뿌려 진화 했다. 사고 직후 공장 인근 근로자 등 120명은 자력으로 대피한 것으로 전해졌다. 소방당국은 신고가 접수되자 인력 47명과 장비 29대를 동원해 진화에 나섰다. 관할 구청은 재난문자를 통해 "도화동 일대에서 가스 누출 사고 발생을 알리며 인근 주민들은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실내에 머물러 달라"고 요청했다. 경찰과 소방 당국은 염산

문화

더보기
이앤아이앙상블, 콘서트 ‘보이지 않는 것 - 내 안의 소리’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이앤아이앙상블이 오는 9월 27일(토) 오후 7시 30분 문아트그라운드 실버스크린홀에서 세 번째 정기콘서트 ‘보이지 않는 것 - 내 안의 소리’를 개최한다. 이앤아이앙상블은 2023년과 2024년 두 차례 공연에서 500석 규모 객석을 전석 매진시키면서 주목받았으며, 올해는 한정된 50석 규모의 공간에서 더욱 밀도 높은 무대를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눈에 보이지 않는 내면의 소리’를 주제로 음악, 마임, 영상이 결합된 다층적 무대 형식으로 진행된다. 관객은 연주자들의 호흡과 움직임, 무언의 퍼포먼스, 대형 스크린의 영상미를 가까이에서 경험하며 공연의 완성에 직접 참여하는 듯한 몰입감을 느낄 수 있다. 이앤아이앙상블은 클래식과 대중음악의 경계를 넘나드는 동시에 자신들이 직접 작곡한 음악으로도 큰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자작곡은 매 공연마다 높은 호응을 얻으며 ‘이앤아이앙상블만의 색깔’로 자리 잡았다. 이들은 전통과 현대를 잇는 창작 작업을 통해 모던 팝 클래식이라는 독창적 장르를 개척하며, 대중성과 예술성을 함께 아우르는 무대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번 무대에서는 이앤아이앙상블 바이올린 박진희, 기타 김도윤, 첼로 김혜영, 건반 이유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