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1.7℃
  • 맑음강릉 9.8℃
  • 맑음서울 6.1℃
  • 박무대전 5.0℃
  • 박무대구 5.9℃
  • 구름조금울산 7.6℃
  • 박무광주 8.3℃
  • 구름많음부산 12.4℃
  • 맑음고창 4.0℃
  • 구름조금제주 15.2℃
  • 맑음강화 4.2℃
  • 맑음보은 1.8℃
  • 맑음금산 4.6℃
  • 맑음강진군 6.1℃
  • 맑음경주시 4.2℃
  • 구름조금거제 10.0℃
기상청 제공

e-biz

폴라로이드 스타일, 새드스마일 콜라보레이션 컬렉션 출시

URL복사

 

이종업계 협업 주류에서 벗어나 동종업계간 협업으로 시너지 창출 눈길

 

[시사뉴스 홍은영 기자] ㈜하이라이트브랜즈(대표 이준권)가 전개하는 라이프스타일웨어 브랜드 폴라로이드 스타일(Polaroid Style)이 코오롱FnC가 전개하는 커스텀멜로우의 온라인 브랜드 ‘새드스마일(SAD SMILE)’과 콜라보레이션한 가을 컬렉션 ‘레인보우 새드스마일’ 라인을 출시했다.

 

양사를 대표하는 유명 로고가 의기투합한 이번 콜라보레이션 컬렉션은 일상 속에서 긍정적 에너지를 만들고 기록하는 폴라로이드와 '슬픈 감정(SAD)'과 '웃음(SMILE)'이라는 2가지 감정을 위트 넘치게 살짝 비틀어 풀어낸 새드스마일과의 협업이다. 특히, 이번 두 브랜드의 만남은 기존 유통업계에서 활발했던 이종업계간 협업이 아닌, 동종업계간의 협업으로 경쟁이 아닌 상호 시너지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제품은 폴라로이드 고유의 풍성한 컬러 스펙트럼과 웃픈(웃기고도 슬픈) 새드스마일 로고 간의 결합으로 탄생한 알록달록 ‘레인보우 새드스마일’ 심볼로 포인트를 줬다. 맨투맨, 후드티, 코듀로이 셋업, 데님 자켓 등 일상 속 요긴한 아이템으로 구성되었고, 비니, 크로스 백 등 액세서리도 추가됐다. 또한 카메라 셔터 앞에서 늘 외치는 ‘세이 치즈(Say Cheese)’를 자수로 처리한 모자, 탈착가능 새드스마일 핀을 내장한 비니 등 즉석카메라 폴라로이드의 헤리티지와 브랜드 오리지널리티를 강화한 디자인으로 남다름을 추구하는 MZ(밀레니얼+Z)세대 취향을 반영했다.

 

 

활용도 높은 맨투맨과 후드티는 가을시즌에 맞춰 채도를 한층 낮춘 버건디, 옐로우, 오렌지 등 컬러가 특징이다. 같은 색상으로 상하의를 맞추면 펑키하면서도 경쾌한 하이틴 스트리트 룩으로 손색 없다. 한편, 오버 핏의 정장재킷에 굵직한 목걸이나 펜던트로 포인트를 주면 세미캐주얼 스타일 연출도 가능하다.

 

제품은 폴라로이드 스타일과 새드스마일의 공식 온라인 몰인 코오롱 몰을 비롯해 무신사, 29CM, 서울스토어, 스타일크루와 온라인플랫폼인 쿠팡과 카카오톡선물하기 등에서도 구매 가능하다. 협업을 기념하며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7층 커스텀멜로우 매장 앞 보이드 존에서 10월 중순까지 한시적으로 전시, 판매한다.

 

한편, 폴라로이드 스타일 자사몰에서는 신제품 5만원 이상 구매하는 고객에게 한정판 카드지갑을, 10만원 이상 구매고객 대상에게는 타포린백을 추가 증정한다. (소진 시까지 진행)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중국산 건조 마늘과 양파를 냉동 제품으로 위장 밀반입 한 5명 적발
(사진=인천본부세관 제공)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인천본부세관은 중국산 건조 마늘과 양파를 냉동 제품으로 위장해 밀반입한 5명을 관세법 위반 혐의로 붙잡아 검찰에 송치했다. 인천본부세관은 4일 A(50대)씨 등 5명을 관세법 위반 혐의로 입건해 검찰에 불구속 송치했다. 세관에 따르면 A씨 등은 지난해 1~12월 중국에서 건조된 마늘 173톤과 양파 33톤 등 시가 17억 원 상당의 농산물 총 206톤을 국내로 밀수입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건조 농산물에 부과되는 고율 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냉동 농산물로 위장하는 방식으로 밀수를 시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현행 건조 마늘과 양파에는 각각 360%, 135%의 관세율이 적용되지만 냉동 농산물로 분류되면 27%로 낮아진다. 이들은 건조 농산물을 실은 컨테이너 적재 칸의 윗부분에는 냉동 농산물 상자를 넣어 현품 검사를 피하려고 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에 적발된 보세창고 보세사는 현품 검사를 할 때 사전에 확인한 냉동 농산물만 샘플로 제시하는 등 범행에 깊숙이 가담한 것으로 드러났다. 인천세관은 냉동 보세창고 외부에만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어 내부 감시가 어려운 점이 악용된 것으로 보고 앞으로 창고 내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