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

[단독] 2022학년도 대입 수시·정시 영남권2(부산·울산·경남) 최종 등록률

URL복사

(재외국민 및 북한 이탈주민 전형, 수시·정시지원 횟수 제한 없는 5개 특수대, 기능대, 사이버대 제외)

 

 

[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2022학년도 부·울·경 주요 4년제 신입생 최종 등록 현황 결과 국립대·사립대 모두 작년대비 등록률이 소폭 상승했다. 작년에 비해 4년제 대학과 전문대 모두 전체모집인원이 줄어든게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지만 여전히 등록률 80%미만인 대학도 4곳 있었다. 4년제 대학의 부산·울산·경남권 최종등록률을 살펴보면 4만4603명 모집에 4만1426명이 등록해 92.88%의 등록률을 보였다. 작년에는 89.9%였다. 전문대는 1만7691명 중 1만5295명이 등록하여 최종 86.46%의 등록률로 작년(78.8%) 대비 7.7% 상승했다.


대학유형별, 부산,울산 경남권별로 대학별 등록률을 자세히 알려면 <표>를 참조하면 된다. 

 

 

 

부산대 99.72%·동아대 99.90%, 80% 이하 1개 대학


■ 부산, 울산지역 4년제 대학  


부산지역 13개 4년제 대학들의 최종 등록률이 대부분 지난해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대학교는 4,327명 모집에 4,315명이 등록해 99.72%의 등록률을 기록했고 동아대학교도 4,066명 모집인원 가운데 4,062명이 등록해 99.90%의 최종 등록률을 기록했다. 부경대학교 역시 3,277명 중 3,271명이 등록해 최종 등록률은 99.82%로 나타났다. 경성대학교도 모집 인원 2,767명 중 2,759명이 등록해 99.71%의 높은 등록률을 기록했다.  
반면 신라대학교는 1,846명 모집에 1,341명이 등록해 상대적으로 72.64%의 저조한 등록률을 보였다. 지난해 등록률 78.4%보다 오히려 5.8%가 하락했다. 신라대학교 외에 지난해 보다 등록률이 하락한 대학은 고신대학교(94.2%→90.41%), 동명대학교(87.3%→85.68%)이다. 


지난해 등록률 80%이하 대학 가운데 동서대학교(79.3%→91.17%)와 부산외대(79.1%→82.34%)는 등록률 80%를 넘겨 선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 한국해양대학교(100%), 부산교육대(99.16%), 동의대학교(96.92%)도 90%이상의 등록률을 기록했다. 특히 부산가톨릭대학교는 93.74%를 기록해 지난해 81.1%에서 수직상승해 등록률 90%를 넘어섰다. 울산에 있는 울산대학교는 모집인원 2,754명 중 2,722명이 등록해 98.84%의 등록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울산대학교의 등록률은 96.2%로 작년보다 소폭 상승한 모습이다.

 

 

진주교대, 작년에 이어 도내 최고, 경남·영산대학교 큰폭 상승


■ 경남권 4년제 대학  


경남권 10개 대학 중 등록률 100%를 기록한 대학은 진주교육대학교, 부산장신대학교, 창신대학교 3개교다. 특히 진주교육대학은 작년(97.7%)에 이어 이번에도 도내 최고의 등록률을 기록했다. 창신대학교와 부산장신대학교 역시 모두 모집정원을 채웠다. 경상국립대학교도 4,271명 모집에 4,254명이 등록하여 99.60%의 비교적 높은 등록률을 보였다. 창원대학교는 모집정원 1,759명 가운데 1,736명이 등록해 98.69%를 기록했다. 영산대학교(83.71%)와 경남대학교(82.93%)는 지난해 등록률 71.4%, 70.8%보다 10%이상 수직상승했다.      


80%이하 등록률을 기록한 대학은 가야대학교, 인제대학교, 한국국제대학교다. 가야대학교는 463명 모집에 357명이 등록해 77.11%의 등록률을 보였고, 인제대학교는 1,897명 모집정원에 1,424명이 등록해 75.07%의 등록률을 기록했다. 두 대학 모두 지난해 보다 각각 4.2%, 2.8%소폭 하락했다. 특히, 한국국제대학교는 486명 모집에 62명만이 등록하여 12.76%라는 낮은 등록률에 그쳤다. 작년(28.7%)과 비교해서도 15.9%나 감소했다.

 

 

부·울·경 전문대 등록률 86.46%, 지난해 보다 상승


■ 부산, 울산, 경남지역 전문대학 


2022년 부·울·경 전문대 등록률은 86.46%로 지난해 등록률(78.8%)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울·경 지역에서 모집정원이 1천5백명이 넘는 전문대는 경남정보대학교, 마산대학교, 동의과학대학교 3곳으로, 웬만한 4년제 일반대보다 규모가 크다. 그 가운데 경남정보대학교 등록률은 2,247명 모집에 2,031명이 등록해 90.39%였고, 마산대학교는 2,004명 가운데 1,810명이 등록하여 90.32%를 기록했다. 작년 61.9%의 저조한 등록률을 보였던 동의과학대학교는 이번에 80.20%로 크게 상승했다. 


조사한 20개 부·울·경 전문대 중 100% 등록률을 보인 대학은 경남도립거창대학교, 경남도립남해대학교, 연암공과대학교이다. 3개 대학은 모두 지난해에도 90%이상의 등록률을 기록했었다. 이중에서도 연암공과대학교는 작년(99.6%)에 이어 이번에도 부·울·경 최고의 등록률을 기록해 강력한 경쟁력을 보여줬다. 비교적 규모가 큰 부산경상대학교도 1,040명 모집에 1,020명이 등록해 98,08%의 등록률을 보여 지난해 88.6%보다 크게 개선됐다. 그 외 한국승강기대학교(97.98%), 김해대학교(94.99%), 춘해보건대학교(93.51%), 울산과학대학교(91.02%), 진주보건대학교(90.52%) 등이 90% 이상의 등록률을 기록했다. 


80% 이상의 등록률을 보인 대학교는 부산과학기술대학교(88.69%), 동원과학기술대학교(85.32%), 대동대학교(82.05%) 등이다. 부산여자대학교(78.80%), 거제대학교(76.23%), 동주대학교(74.95%)는 작년보다 등록률이 상승했다. 반면 부산예술대학교(67.78%), 창원문성대학교(49.93%)는 지난해 보다 등록률이 하락한 모습이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이재용 회장 장남, 미국 시민권 포기·해군 장교 입대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지호(25)씨가 오는 15일 해군 사관후보생으로 입대한다. 이재용 회장의 장남 지호씨가 미국 국적을 포기하고 해군 장교로 입대하면서, 이 회장의 두 자녀 행보가 다시 한번 눈길을 끈다. 지난 10일 업계에 따르면 장남 지호씨는 미국에서 고등학교에 다니다가 캐나다로 건너가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프랑스 파리 소재 대학에 입학했다. 최근 교환학생으로 미국 대학으로 옮겨 학업을 이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지호씨는 이번엔 해군 학사사관후보생으로 입대 의사를 밝히며 또 다시 주목받고 있다. 그는 오는 15일 139기 해군 학사사관후보생으로 입대한다. 경남 진해 해군사관학교에서 11주간 ▲제식 ▲전투기술 ▲기본소양 등 장교가 되기 위한 교육훈련을 거쳐 오는 12월 1일 해군 소위로 임관한다. 훈련 기간과 임관 후 의무복무 기간 36개월을 포함하면 군 생활 기간은 총 39개월이다. 지호씨의 해군 장교 입대가 특히 주목받는 이유는 그가 2000년 미국에서 출생한 선천적 복수국적자이기 때문이다. 부친 이 회장과 모친 임세령 대상그룹 부회장 사이에서 태어난 그는 한국 국적을 포기하면 병역을 면제받을 수 있는 상황이었다. 또 장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이앤아이앙상블, 콘서트 ‘보이지 않는 것 - 내 안의 소리’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이앤아이앙상블이 오는 9월 27일(토) 오후 7시 30분 문아트그라운드 실버스크린홀에서 세 번째 정기콘서트 ‘보이지 않는 것 - 내 안의 소리’를 개최한다. 이앤아이앙상블은 2023년과 2024년 두 차례 공연에서 500석 규모 객석을 전석 매진시키면서 주목받았으며, 올해는 한정된 50석 규모의 공간에서 더욱 밀도 높은 무대를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눈에 보이지 않는 내면의 소리’를 주제로 음악, 마임, 영상이 결합된 다층적 무대 형식으로 진행된다. 관객은 연주자들의 호흡과 움직임, 무언의 퍼포먼스, 대형 스크린의 영상미를 가까이에서 경험하며 공연의 완성에 직접 참여하는 듯한 몰입감을 느낄 수 있다. 이앤아이앙상블은 클래식과 대중음악의 경계를 넘나드는 동시에 자신들이 직접 작곡한 음악으로도 큰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자작곡은 매 공연마다 높은 호응을 얻으며 ‘이앤아이앙상블만의 색깔’로 자리 잡았다. 이들은 전통과 현대를 잇는 창작 작업을 통해 모던 팝 클래식이라는 독창적 장르를 개척하며, 대중성과 예술성을 함께 아우르는 무대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번 무대에서는 이앤아이앙상블 바이올린 박진희, 기타 김도윤, 첼로 김혜영, 건반 이유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