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05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

[단독] 2022학년도 대입 수시·정시 호남·제주권(광주·전북·전남·제주) 최종 등록률

URL복사

(재외국민 및 북한 이탈주민 전형, 수시·정시지원 횟수 제한 없는 5개 특수대, 기능대, 사이버대 제외)

 

 

[시사뉴스 김정기 기자] 광주·호남·제주권 대학도 2022년 대학입학 최종 등록률은 ▲4년제 대학교 96.26% ▲전문대 87.14%로 최종 집계됐다.


4년제 대학의 광주·호남·제주권 최종 등록률을 살펴보면 3만9,552명 모집에 3만9,174명이 등록 93.99%의 등록률을 보였다. 전문대학도 1만9,404명 모집에 1만6,908명이 등록, 87.14%의 등록률을 보였다. 부산·울산·경남 4년제 대학 등록률 92.88%보다는 높으나 전국 평균 96.26%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이 같은 등록률을 볼 때 4년제 대학과 전문대 모두 등록금만으로는 학교 운영을 장담하기 힘든 수치다.


대학 유형별 광주·호남·제주권의 자세한 대학별 등록률은 <표>를 참조하면 된다.

 

 

 

 

 

 

 

지난 2021년 대비 등록률 일제히 상승, 광주교육대 100%로 전국 지방대학 중 1위 


■ 광주·호남지역 4년제 대학  


전남에 위치한 영산선학대의 최종 등록률은 16.0%로 모집인원 50명에 8명이 등록해 지난 2021년에 이어 광주·호남지역 최하위를 기록했지만, 입학정원이 50명인 원불교대학이라 일반대학들과의 비교는 무리가 있다. 


수도권을 제외 대부분 대학이 미달사태를 겪은 2021학년도 대비 등록률이 일제히 상승한 2022년, 가장 높은 등록률을 보인 학교는 광주교육대다. 326명 모집정원에 326명이 전원이 최종등록했다..


그밖에 90% 이상의 등록률을 보인 학교는 ▲송원대(99.86%) ▲초당대ㆍ광주대(99.73%) ▲제주대(99.68%) ▲조선대(99.64%) ▲전북대(99.61%) ▲세한대(99.39%) ▲목포해양대(99.13%) ▲전남대(99.11%) ▲전주교대(98.95%) ▲예원예술대(97.48%) ▲호남대(95.40%) ▲광주여대(94.67%) ▲동신대(92.85%) ▲남부대(92.10%) ▲호원대(90.32%) 등이다.


전남대는 모집인원 4,286명 중 4,248명이 등록했다. 반면 전북대는 3,859명 모집에 3,844명이 등록 전남대가 전북대를 앞섰다.


하위권 대학으로는 ▲광주가톨릭대(30.0%) ▲제주국제대(16.22%) ▲영산선학대(16.0%)로 확인됐다.

 

 

과반이상 90% 등록률 타 권역에 비해 선방…등록률 100% 3개대학


■ 광주·호남지역 전문대학


광주·호남지역 전문대학의 등록률은 과반이 90% 이상을 기록 다른 지역에 비해 선방했다는 평가다.


100% 등록률을 기록한 곳은 ▲군산간호대 ▲기독간호대 ▲조선간호대 등 3개 대학이다. 이밖에 ▲서영대(98.67%) ▲동강대(98.4%) ▲목포과학대(97.98%) ▲전북과학대(96.36%) ▲한영대(95.94%) ▲광주보건대(95.32%) ▲순천제일대(92.19%) ▲군장대(92.09%) ▲동아보건대(90.66%) ▲조선이공대(90.62%) ▲전남과학대(90.21%) ▲전주기전대(90.01%)를 기록했다. 


반면 ▲광양보건대(6.62%)는 전국 최하위를 기록했다. 광주·호남지역 전문대학에서 하위권을 기록한 학교는 ▲청암대(77.65%) ▲제주관광대(75.33%) ▲고구려대(73.03%) 순이다.


이밖에 ▲전주비전대(88.71%) ▲전남도립대(88.06%) ▲원광보건대(88.05%) ▲백제예술대(81.09%) ▲제주한라대(80.66%) 등이 80%대의 최종 등록률을 보였다.

 

 

2개의 4년제 대학 극과극으로 엇갈린 제주지역


■ 제주지역 4년제 대학


두 개의 대학이 있는 제주지역은 ‘극과 극’의 결과가 나왔다. ▲제주대(99.68%) vs ▲제주국제대(16.22%)로 제주대는 전국 평균 93.99%를 넘었으나 제주국제대는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제주지역 전문대, 2021년 대비 등록율 소폭 상승


■ 제주지역 전문대학


제주지역 두 개의 전문대는 비슷한 등록율을 보인다. ▲제주한라대(80.66%) ▲제주관광대(75.33%)로 전국 전문대 등록률 평균(87.14%)에는 못미쳤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커버스토리】 이재명 1기 내각 ‘실용·소통’ 방점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이재명 정부 1기 내각이 진용을 갖추고 있다. ‘실용·소통’에 방점을 찍은 인선은 이념·진영에 상관없이 경험과 능력 위주로 사람을 쓰겠다는 이 대통령의 철학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대학교수 등 학자 출신 보다는 정치인·관료·기업인 등 실무형 인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대통령에 대한 “잘하고 있다”는 국정수행 평가는 64%에 이르고 있다. 1기 내각, ‘실용·소통’에 방점 지난 3일 기준 국토교통부와 문화체육관광부를 제외한 17개 부처 장관 인선이 완료됐다. 김민석 국무총리를 비롯하여 현역 의원이 대거 기용됐다. 정성호(법무부)·안규백(국방부)·윤호중(행정안전부)·정동영(통일부)·김성환(환경부)·전재수(해양수산부)·강선우(여성가족부) 후보자 등 8명의 국회의원이 내각에 기용됐다. 64년 만에 첫 민간인 국방부 장관 후보자인 5선 안규백 의원을 비롯해 5선의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3선의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재선의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모두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재선 이상의 중진 의원이다. 5선의 정성호 의원과 윤호중 의원도 각각 법무·행안부 관련 전문성을 가진 중진 의

정치

더보기
【커버스토리】 이재명 1기 내각 ‘실용·소통’ 방점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이재명 정부 1기 내각이 진용을 갖추고 있다. ‘실용·소통’에 방점을 찍은 인선은 이념·진영에 상관없이 경험과 능력 위주로 사람을 쓰겠다는 이 대통령의 철학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대학교수 등 학자 출신 보다는 정치인·관료·기업인 등 실무형 인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대통령에 대한 “잘하고 있다”는 국정수행 평가는 64%에 이르고 있다. 1기 내각, ‘실용·소통’에 방점 지난 3일 기준 국토교통부와 문화체육관광부를 제외한 17개 부처 장관 인선이 완료됐다. 김민석 국무총리를 비롯하여 현역 의원이 대거 기용됐다. 정성호(법무부)·안규백(국방부)·윤호중(행정안전부)·정동영(통일부)·김성환(환경부)·전재수(해양수산부)·강선우(여성가족부) 후보자 등 8명의 국회의원이 내각에 기용됐다. 64년 만에 첫 민간인 국방부 장관 후보자인 5선 안규백 의원을 비롯해 5선의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3선의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재선의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모두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재선 이상의 중진 의원이다. 5선의 정성호 의원과 윤호중 의원도 각각 법무·행안부 관련 전문성을 가진 중진 의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먼저 걸어본 사람이 들려주는, 진짜 개척의 이야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개척, 내가 먼저 걸어본 그 길’을 펴냈다. 이 책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척교회를 시작한 저자가 지난 8년간 경험한 목회의 현실을 생생하게 담아낸 실전형 간증서이자 사역 매뉴얼이다. ‘절대 개척은 하지 말자’는 다짐으로 신학을 시작했지만, 결국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해 ‘맨땅에 헤딩’하듯 개척의 길을 택한 저자는 장소 선정부터 재정 운영, 팬데믹의 충격, 사람과의 갈등까지 개척 현장에서 마주하는 모든 과정을 솔직하게 풀어놓는다. 단순한 성공담이 아니라 실패하지 않기 위한 전략과 끝까지 버티는 용기를 나누는 데 중점을 뒀다는 점이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다. 특히 “교회는 성도를 내보내야 한다”는 저자의 철학은 교회 공동체의 본질을 다시 생각하게 하며, 개척교회를 ‘성장’보다 ‘존재의 의미’로 바라보게 한다. 이 책은 지금도 교회 개척을 고민하는 많은 목회자들에게 실질적인 조언과 공감, 그리고 동역자의 위로가 되어줄 것이다. ‘개척, 내가 먼저 걸어본 그 길’은 신학교에서 배울 수 없는 개척의 현실을 공유하며, 이제 막 첫발을 내딛는 이들에게 든든한 나침반이 돼준다. 무엇보다도 이 책은 ‘먼저 걸어본 사람이기에 들려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