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에 부익부 빈익빈 현상은 자산 증식에도 나타났다. 최근 1억원 이상의 증권 잔고를 보유한 고액자산가의 비중은 크게 높아지고 3천만원 미만 소액자산가들의 비중은 크게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대형 증권사인 미래에셋의 최근 2년간 고객 수와 잔고 변동추이를 분석한 결과, 1억원 이상 고객의 수는 작년 말 현재 5.0%로 2009년 말의 4.4%보다 0.6%포인트 상승했다.
이들 자산의 비중은 63.5%로 2년전(56.4%)보다 7.1%포인트 급등했다.
반면 3천만원 미만의 소액 자산가의 수는 작년 말 현재 84.0%로 2년전의 84.7%보다 0.7% 포인트 낮아졌다. 이들의 자산규모는 5.0%포인트 떨어진 16.1%였다.
고액 자산가들은 경제위기에 돈이 더 불어났지만 소액 자산가들은 자산규모가 줄었다는 얘기다.
고액자산가와 소액자산가들은 자산운용 방식에서도 큰 차이를 나타냈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1억원 이상의 고액자산가들은 복합상품 투자비중이 소액자산가들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복합상품은 자산구성이 다양화한 상품을 말한다.
복합상품 투자비중의 경우, 1억 원 이상 고액자산가들은 29.3%를 차지했고 1억원 미만 자산가들은 13.9%에 머물렀다.
반면, 1억원 미만 자산가들은 투자위험 부담이 많은 주식자산 비중이 60.6%였다. 1억원 이상 고액자산가들의 55.0%보다 5.6%포인트나 더 높았다.
한국금융연구원 이지언 선임연구원은 "금융위기 이후 주식 상승분을 고액자산가들이 더 가져갔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주식투자에서도 양극화 조짐이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면서 "고액자산가들이 정보면에서 소액투자자들보다 유리하고 더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