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10.5℃
  • 맑음강릉 11.1℃
  • 맑음서울 13.5℃
  • 맑음대전 11.8℃
  • 맑음대구 13.7℃
  • 맑음울산 14.3℃
  • 맑음광주 14.8℃
  • 맑음부산 15.9℃
  • 맑음고창 12.1℃
  • 맑음제주 17.6℃
  • 맑음강화 11.1℃
  • 맑음보은 9.9℃
  • 맑음금산 10.5℃
  • 맑음강진군 12.3℃
  • 맑음경주시 12.3℃
  • 맑음거제 13.6℃
기상청 제공

문화

‘시민의,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박물관

URL복사


‘시민의,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박물관


종로구 경희궁 터에 세워진 <서울역사박물관>



사동
유적지를 비롯해, 아득히 먼 선사시대 조상들의 발자취가 남아있는 땅. 삼국시대 백제의 초기 도읍이며 개경, 서경과 더불어 고려의 중심지였던
고을. 이성계가 조선의 도읍으로 정한 뒤 600여 년 동안 한반도 정치·경제·문화의 중심지로 우리 겨레와 함께 한, 서울의 역사가 살아
숨쉬는 박물관이 문을 열었다.


역사 공부하고, 문화 시설도 이용하고

5월 21일 종로구 경희궁 터에 세워진 <서울역사박물관>에서는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서울의 역사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특히 시민이 만들어 가는 박물관이라는 구호에 걸맞게, 소장하고 있는 유물 2만 160점 중에서
절반에 가까운 9,804점이 시민들에게 기증 받은 것들로 채워졌다.

총 2,128평(상설전시장 1,336평, 기획전시실 452평, 기증유물전시실 326평) 규모의 박물관은 2개의 기획전시실을 포함해 상설전시실,
기증유물전시실 등 4개 전시실로 이뤄졌다.

3층 상설전시실에는 4개의 구역으로 나눠 조선의 수도 서울, 서울사람의 생활, 서울의 문화, 도시 서울의 발달 등 주제별로 유물을 전시했다.
또한 개관을 기념해 조선시대 여인네들의 삶을 조명한 ‘조선여인, 그 삶과 문화’와, 1950년대 이후 서울의 급격한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서울 2002, 도시비전과 실천’ 특별전은 1층 기획전시실에서 열리고 있다. 그외 카페, 휴게실, 도서자료실, 시청각실 등 다양한 문화
시설도 갖춰, 휴식공간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유물 전시와 연관된 다양한 사회교육 프로그램도 마련됐다. 주 1회씩 두 달에 걸쳐 열리는 서울의 역사문화 관련 이론 강의(연 2회)는 전통문화와
역사에 관심 있는 20세 이상 성인이면 누구나 수강할 수 있다, 그 밖에 전통 공예품을 직접 제작하는 체험교실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서울의
역사·문화 체험하기’ 프로그램도 실시할 예정이다.


“서울 시민으로서 자긍심 가졌으면”

학예연구사 조영하 씨는 “서울시가 성장·발전만 하느라 정체성을 잃어버렸다”며, “역사박물관 개관을 통해 (시민들이) 서울시민으로서 자긍심을
가질 수 있게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물관을 둘러본 오영희(80·서울 동작) 씨는 “잘 만들어졌다”며 “서울 역사에 그리 밝은 편이
아니었는데, 이제 조금은 알 수 있게 됐다”고 즐거워했다.

한편 일부 언론에선 전시물이 “조선시대 유물로만 치우쳐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조영하 씨는 “풍납토성 등
백제시대 유물은 현재 발굴 조사 중이다”라며, “앞으로 특별 기획전을 통해 전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람시간은 평일(월요일 휴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11월∼2월 오후 5시)이며, 토요일과 휴일에는 한시간 연장한다. 관람료는 어른
700원이고, 청소년·군경은 300원이다. 12세 이하 어린이나 65세 이상 노인은 무료로 입장할 수 있으며, 20명 이상 단체로 관람할
때는 할인 혜택이 주어진다. 단 7월 31일까지는 관람료 없이도 입장 가능하다.

문의: 02)724-0135




이원순 기자 blue@sisa-news.com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진보당, 2026년도 예산안 심의에 “안보·관세 협상이 미국 퍼주기 되지 않도록 국회가 검증하겠다”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국회의 ‘2026년도 예산안’ 심의가 시작된 가운데 진보당이 미국과의 안보·관세 협상으로 ‘미국 퍼주기’ 예산이 편성되는 것을 철저히 막을 것임을 밝혔다. 진보당 전종덕 의원은 5일 국회에서 예산안 관련 기자회견을 해 “안보·관세 협상이 ‘미국 퍼주기 예산’이 되지 않도록 국회가 검증하겠다”며 “정부는 미국의 압력에 따라 국방비 인상과 무기 도입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무리한 국방비 인상은 민생경제와 서민복지에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단순한 국방비 증가가 이재명 정부가 말하는 ‘자주국방’일 수 없다”며 “그 시작은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종덕 의원은 “현재 방위비분담금 미집행금이 2조원이 넘는다. 신규 예산 편성은 필요 없다. 동북아시아 긴장을 높이는 F-35A 추가 도입도 철저히 검증하겠다”며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한 재정지출은 국민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국회에서 제대로 따져보겠다”고 말했다. 전 의원은 “적폐 예산을 과감히 정리하겠다”며 “매년 반복되는 이북5도지사 예산, 되살아난 검찰 특수활동비, 극우와 내란옹호단체로 전락한 관변단체 보조금 예산도 철저히 검증하고 삭감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