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07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

타락한 ‘검찰 부패’를 국민에게 고발한다

URL복사

[신간] 내가 검찰을 떠난 이유 (이연주 지음 / 김미옥 논평 / 포르체 펴냄)

 

검찰조직 민낯 거침없이 폭로한 르포르타주

대한민국서 가장 후지고 가장 불공정한 조직

 

[ 시사뉴스 김영욱 기자 ] “아는 검사 출신이 선거에 출마하거나 정치권에 기웃거리는 걸 보면 ‘그나마 검찰에 갇혀 있던 바이러스가 저기로까지 퍼지는구나’라는 생각이 든다. 초임 여검사를 호텔로 불러내던 검사장도, 부산의 나이트클럽 사장에게서 소개받은 예쁜 여자를 지역 유지에게 빌린 요트에 태워 통영으로 여행 간 추억을 자랑하던 부장검사도 모두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다. 그중 한 사함은 당선되기까지 했다. 그 부장검사는 아래 검사들에게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공무원은 먹고 해주는 공무원이다’라는 신조를 전파했다.” -‘공기인형들’ 중에서

 

검사 출신 이연주 변호사가 검찰 조직의 민낯을 거침없이 폭로한 르포르타주 <내가 검찰을 떠난 이유>(이연주 지음·김미옥 논평·포르체 펴냄)를 펴냈다.

 

이 책은 엘리트로 인정받던 검사가 검찰을 떠날 수밖에 없었던 고뇌를 담고 있다. 불공정 인사, 전관예우, 여성차별, 스폰서문화, 언론유착, 사건조작 등. 저자는 검찰 조직의 부패상을 거침없이 폭로고 한국 사회의 가장 어두운 그늘을 들여다보며 느낀 절망과 함께 이를 어떻게 타개해 나갈지 그 너머, 희망을 이야기한다.

 

인천지방검찰청에서 일하면서 검찰 조직을 혹독하게 경험한 저자는 검찰 개혁의 당위성을 절실히 깨닫고 사회를 향해, 국민을 향해, 도 눈과 귀를 막고 제멋대로 굴러가는 검찰 조직을 향해 목소리를 내기로 결심했다.

 

이 책에서 검찰과 검찰문화는 발가벗겨진다. 내부자의 시선으로 가감 없이 드러낸다. 서건 조작이 난무하고 스폰서에게 충성하다가 꼬리를 잡혀도, 성매매를 하다 들켜도, 성추행이 발각되어도 검찰의 자기 식구 봐주기로 어떤 처벌도 받지 않는다. 철저한 남성 중심, 상명하복의 문화는 성추행과 성희롱으로 나타났다.

 

이 책은 아무도 공론화하지 못했던 검찰의 오랜 이슈부터 조직 밖에서는 상상할 수도 없고, 내부 구성원은 더욱 입을 열 생각조차 없는 검찰의 깊은 치부까지 검찰 내의 썩은 공기와 폐수를 전하고 있다.

 

유명한 그랜저 검사 사건. 저자는 그 뒤에 있는 “그랜저 검사 정인균에게 애초 무혐의 처분하신 분”을 꼬집는다. 현직 부장검사가 사건 무마 청탁과 함께 건설업자 친구한테 그랜저 자동차와 돈을 받았는데, ‘어둠의 조력자’는 정 검사를 무혐의 처분했다. 돈을 빌린 것으로 둔갑시키고 청탁은 없었다고 결론 냈다.

 

그랬다가 국정감사에서 문제 제기로 특임검사가 재수사하고 정 검사는 처벌받는다. 애초 무혐의 처분한 ‘검사님’은 이후 서울중앙지검에서 법무부로 옮겼고 공정하게 수사했다며 억울해 했다고 한다. 저자는 계좌 압수수색도 제대로 하지 않았으면서 억울해 한 그를 ‘나를 위해 나를 속인 인물’로 적었다.

 

저자는 대한민국 검찰 조직을 오로지 나의 안위, 나의 승진, 나의 인맥, 나의 권력만을 생각하는 이들이 모여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을 보여주는 곳으로 정의한다.

 

이 책은 검사로 일한 한 개인의 경시적 기록이자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라는 중요한 사안을 앞둔 대한민국 사회의 시대적 외침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
나와 타인을 이해하는 심리적 안내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에니어그램 명상상담 전략’을 펴냈다. 이 책은 현대인이 겪는 심리적 불안과 대인관계의 갈등을 다루며, 아홉 가지 성격 유형을 통해 자기 이해와 관계 회복의 길을 안내하는 심리 지침서다. 저자는 에니어그램 이론에 명상상담을 결합해 각 유형의 특성과 패턴을 드러내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한다. 단순히 성격을 분류하는 데 그치지 않고, 어린 시절의 경험과 현재의 관계 문제를 연결해 설명함으로써 독자가 자기 성찰의 깊이를 더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저자 김문자는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명상심리상담학과에서 상담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대학교 상담심리센터 객원 상담사를 역임한 바 있다. 현재는 명상에니어그램 교육원 원장으로 활동하며 명상과 심리상담을 접목한 다양한 연구와 실천을 이어가고 있다. 저자는 ‘명상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영상관법이 분노 감소에 미치는 영향’, ‘에니어그램 명상상담 단일사례연구’ 등 여러 논문을 통해 그 효과를 입증해 온 학자이자 상담 전문가다. ‘에니어그램 명상상담 전략’은 명상이 내면의 불안을 직면하게 하고, 에니어그램이 그 불안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