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국제

일본 코로나19 신규확진 5261명...누적 68만5502명

URL복사

 

[시사뉴스 김도훈 기자] 일본에서 16일 코로나19 신규확진자가 5천명을 넘어섰다.

 

현재 일본은홋카이도 등 3곳을 긴급사태 선언 지역으로 추가하고 만연 중점조치 지역도 10개 도현으로 늘렸으나 확진세는 크게 감소하고 있지 않는 형편이다.

 

NHK와 지지(時事) 통신 등은 각 지방자치단체와 후생노동성의 발표를 집계 당일 오후 8시20분까지 5261명이 코로나19에 새로 걸렸다고 전했다.

 

오사카부에서 620명, 도쿄도 542명, 아이치현 522명, 홋카이도 491명, 후쿠오카현 5052명, 가나가와현 296명, 효고현 267명, 사이타마현 216명, 히로시마현 209명, 지바현 135명, 오카야마현 171명, 교토부 140명, 기후현 117명 등 감염자가 발생해 누계 확진자는 68만5000명을 돌파했다.

 

일일환자는 4월 1일 2605명, 2일 2757명, 3일 2773명, 4일 2468명, 5일 1572명, 6일 2668명, 7일 3450명, 8일 3498명, 9일 3489명, 10일 3766명, 11일 2843명, 12일 2102명, 13일 3453명, 14일 4308명, 15일 4573명, 16일 4526명, 17일 4796명, 18일 4087명, 19일 2920명, 20일 4339명, 21일 5292명, 22일 5496명, 23일 5110명, 24일 5599명, 25일 4603명, 26일 3314명, 27일 4962명, 28일 5790명, 29일 5908명, 30일 4685명, 5월 1일 5983명, 2일 5898명, 3일 4464명, 4일 4194명, 5일 4064명, 6일 4373명, 7일 6054명, 8일 7238명, 9일 6484명, 10일 4939명, 11일 6240명, 12일 7051명, 13일 6878명, 14일 6266명, 15일 6422명을 기록했다.

 

일본 국내 감염자 중 오사카부에서 15명, 효고현 7명, 홋카이도 8명, 아이치현 3명, 에히멘현과 나가사키현, 나가노현 각 2명, 나라현과 오카야마현, 이와테현, 도쿠시마현, 이와테현, 후쿠시마현, 구마모토현, 가나가와현, 군마현, 시즈오카현 1명씩 합쳐서 46명이 숨져 총 사망자가 1만1523명으로 늘어났다.

 

크루즈선 승선 사망자 13명을 더하면 1만1536명이 지금까지 목숨을 잃었다.

 

일본 내 코로나19 환자는 전세기편으로 중국에서 귀국한 다음 감염이 확인된 14명과 공항 검역 과정에서 확진자로 드러난 사람을 포함해 68만4790명이다.

 

여기에 집단발병으로 요코하마(橫浜)항에 격리 정박했던 대형 유람선(크루즈)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 탔던 승객과 승조원 환자 712명을 합치면 총 확진자는 68만5502명이다.

 

일본에서 코로나19에 감염한 일본인과 중국인 여행객, 귀국 환자 등 68만4790명의 분포를 보면 도쿄도가 15만2239명으로 전체 4분의 1에 육박한다.

 

이어 오사카부가 9만4775명, 가나가와현 5만7872명, 사이타마현 4만1553명, 아이치현 4만772명, 효고현 3만7551명, 지바현 3만5471명, 홋카이도 3만402명, 후쿠오카현 3만242명, 교토부 1만4676명, 오키나와현 1만3859명, 이바라키현 9014명, 미야기현 8553명, 히로시마현 8393명, 시즈오카현 7469명, 기후현 7439명, 나라현 7309명, 군마현 7203명, 오카야마현 6136명, 도치기현 5845명, 구마모토현 5415명, 시가현 4507명, 미에현 4461명, 나가노현 4351명이다.

 

다음으로 후쿠시마현 4245명, 이시카와현 3233명, 오이타현 2888명, 가고시마현 2871명, 니가타현 2849명, 미야자키현 2806명, 나가사키현 2724명, 에히메현 2620명, 와카야마현 2483명, 야마구치현 2423명, 사가현 2226명, 아오모리현 1952명, 가가와현 1806명, 야마가타현 1715명이다.

 

이어 도쿠시마현 1571명, 도야마현 1510명, 야마나시현 1403명, 이와테현 1223명, 고치현 1150명, 후쿠이현 989명, 아키타현 688명, 돗토리현 436명, 시마네현 433명이다.

 

공항 검역에서 감염이 확인된 2868명, 중국에서 전세기로 귀국한 사람과 정부직원, 검역관 등 173명이 있다.

 

감염자 가운데 인공호흡기를 달거나 집중치료실에 있는 중증환자는 16일 시점에 일본 내에만 전날보다 8명 줄어 1223명이 됐다.

 

병세가 좋아져 퇴원한 환자는 16일까지 일본 안에서 걸린 확진자 중 59만44명,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승선자가 659명으로 총 59만703명이다.

 

PCR 검사 시행 건수는 13일에 속보치로 하루 동안 5만8670건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단독] “물 좀 가져오라며 고성”…천안시의회 A의원, 상습 갑질 의혹 폭로 잇따라
[시사뉴스 이용만 기자] 천안시의회 A의원(더불어민주당)이 수년간 공무원들을 상대로 고성과 모욕을 반복적으로 일삼았다는 내부 증언이 잇따르고 있다. 여기에 더해 인사 개입과 조직 내 위압, 정서적 폭력에 이르기까지 '직위 기반 갑질'이 만연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반복된 폭언·공개 모욕…공무원들 "트라우마 호소" 복수의 천안시 및 의회사무국 관계자들에 따르면, A의원은 평소 회의나 공식 일정 중 다수가 지켜보는 자리에서 공무원들에게 “어디서 감히”, “말대답하냐”, “반성하라” 등의 강압적이고 모욕적인 언행을 일삼아 왔다고 전한다. 문제는 구체적 지적 없이 감정적 고성과 조롱 섞인 발언이 반복됐다는 점이다. 한 간부공무원은 “직위고하를 막론하고 공개 석상에서 망신을 주는 식의 발언은 단순한 꾸짖음을 넘어 인격 침해”라며,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조직 전체의 사기를 무너뜨린다”고 말했다. 일부 피해 직원들은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불면증, 가슴 두근거림, 두통, 위장장애 등 신체화 증상까지 겪고 있다고 밝혔다. 여기에 더해 A의원의 과도한 지시는 때로는 공적 업무 범위를 벗어난 사적 요구까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차를 가져오라”는 식의 명령은 물론

문화

더보기
'서울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광복 80주년 기념 정책포럼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서울연구원(원장 오균)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8월 14일(목) 오후 2시부터 서울역사박물관 야주개홀에서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을 주제로 ‘제4회 서울연구원 정책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서울의 공간 변화를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흐름을 되짚고, 향후 100년을 향한 서울의 미래 비전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정책포럼은 △신민철 서울연구원 연구기획조정실장이 사회를 맡고,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의 ‘광복 이후 서울의 공간적 변화와 역사적 의의’ 주제발표 △김인희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의 미래 변화와 준비’ 주제발표 △종합토론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 주제발표를 맡은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는 ‘현대 서울, 시민들의 도시의 탄생’이라는 주제로 발표한다.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는 현대 서울의 탄생과 성장 과정과 시민들의 삶이 각종 개발 사업에 의해 어떻게 바뀌었는지에 주목해서 설명한다. 특히 현대 서울의 정체성을 권력 있고 힘 있는 사람들이 주인공이던 왕조 시대의 수도에서 찾을 것인지, 아니면 모든 시민이 주인공인 민주공화정의 수도에서 찾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