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등 부과 조치가 적법했는 지 여부관련해서 심판대에 오른다. 미국 연방대법원이 5일(현지 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등 부과 조치가 적법했는지에 대한 변론기일을 열고 본격적인 심리에 착수했다. 이날 변론은 이번 사안에 대한 대법관들의 입장을 가늠할 수 있어 큰 주목을 받았는데, 보수 성향의 대법관들도 트럼프 행정부의 주장에 다소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CNN과 AP통신 등에 따르면 미 연방대법원은 이날 오전 10시께부터 약 2시간30분 가량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에 근거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조치가 적법했는지에 관한 변론기일을 진행했다. 재판은 행정부측 변론이 1시간 가량 진행된 후, 원고인 수입업체 대리인 변론이 이어지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대법관들은 변론이 이어지는 중간 중간 질문을 던지며 사안을 파악하려 애섰다. 연방대법원은 6대 3으로 보수성향 대법관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트럼프 행정부에 유리한 구조로 평가되지만, 이날 변론에선 보수성향 법관들도 행정부를 향해 연거푸 날카로운 질문을 던졌다. 존 로버츠 대법원장은 과거 지미 카터 대통령이 IEEP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미국 연방대법원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전세계 상호관세 부과 등이 적법했는지에 대한 심리에 본격 착수하는 가운데, 백악관은 상호관세 등이 무효화될 경우에 대비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4일(현지 시간) 밝혔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대법원이 행정부 의견에 반하는 판단을 내릴 경우 대체 계획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백악관은 언제나 '플랜B'를 준비하고 있다"며 "대통령 참모들이 그러한 상황을 대비하지 않는다면 무모한 일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다만 구체적인 플랜B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고, "우리는 이번 재판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보좌진의 법률적 주장에 100% 확신을 갖고 있으며 대법원이 올바른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여전히 낙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 IEEPA 외에도 국가안보를 이유로 특정 품목에 관세를 매길 수 있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활용하고 있다. IEEPA에 기반한 관세가 무력화될 경우 232조를 더욱 공격적으로 활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법원은 오는 5일 트럼프 대통령이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을 근거로 전 세계 여러 나라의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한 것이 적법한지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3일(현지 시간) 미국 증시는 인공지능(AI) 주도로 일부 섹터가 상승하는 가운데 혼조 마감했다. 마켓워치와 CNBC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기술주 중심 나스닥은 전장 대비 109.77포인트(0.46%) 오른 2만3834.72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도 11.77포인트(0.17%) 올라 6851.97에 장을 마쳤다. 반면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226.19포인트(0.48%) 하락, 4만7336.68에 마감했다. 이날 장은 AI가 주도했다. 대형 기술주 'M7'에 속하는 아마존 주가는 오픈AI와의 380억 달러 규모 클라우드 사용 계약 발표로 4% 상승, 주당 254.0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해당 파트너십은 오픈AI가 아마존웹서비스(AWS) 인프라를 사용하는 것이 골자다. 해당 AWS 인프라에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공급하는 엔비디아 주가도 2.17% 뛰었다. 미국 반도체 제조 기업인 마이크론테크놀로지 주가도 이날 5% 상승했고, 반도체주 추종 ETF인 VanEck반도체ETF(SMH)도 1%대 상승 마감했다. 데이터센터 기업인 아이렌 주가는 이날 11.52% 급등했다. 마이크로소프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대한민국 군의 정찰위성 5호기가 오는 11월 2일(현지시간) 미국에서 발사될 예정이다. 국방부는 군 정찰위성 5호기가 다음달 2일 오후 2시께(한국시간 2일 오전 1시경)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우주군 기지에서 발사 예정이라고 31일 밝혔다. 국방부는 "5호기가 발사에 성공하면, 총 5기의 정찰위성 군집운용을 통해 북한의 도발징후를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며 "이로써 우리 군은 한국형 3축 체계의 기반이 되는 핵심전력을 확보해 킬체인 역량을 한층 더 강화하게 된다"고 했다. 1~4호기에 이어 이번 5호기까지 발사에 성공하면 '425 사업'이 마무리된다. 425 사업은 북한 핵·미사일 도발징후를 탐지하고 북한 전역의 전략표적을 감시하기 위해 중대형 정찰위성 5기를 확보·배치하는 사업이다. 5호기는 지난해 4월부터 올해 4월까지 순차적으로 발사된 2~4호기처럼 고성능 영상레이더(SAR)를 장착하고 있다. SAR는 공중에서 지상에 쏜 레이더의 반사파를 합성해 지상 지형도 영상을 만들어낸다. 레이더를 활용하는 SAR는 흐린 날에도 지상을 관측할 수 있고, 이미지 해상도도 높다. 군은 정찰위성 5기가 모두 실전 가동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미국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30일(현지 시간) 미중 무역 대립이 완화됐다는 소식에도 하락 마감했다. CNBC, 마켓워치 등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09.88포인트(0.23%) 내린 4만7522.12으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68.25포인트(0.99%) 밀린 6822.34으로 장을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377.33 포인트(1.57%) 떨어진 2만3581.14에 장을 마쳤다.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부산에서 회담을 가졌다. 미국은 중국에 부과한 펜타닐 관세를 10%p 인하했고, 중국은 희토류 수출 통제를 1년 유예하기로 했다. 미국산 대두를 포함한 농산물 수입도 재개하기로 했다. 이러한 회담의 성과에 대해 미중 무역 전쟁이 휴전됐다는 평가가 나왔다. 미중 무역 갈등에 대한 우려는 줄어들었으나, 이날 빅테크들의 실적을 소화하며 뉴욕증시는 하락했다. 3분기 실적을 발표한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는 이날 11.33%나 폭락했다. 마이크로소프트도 2.92% 떨어졌다. 인공지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제너럴모터스(GM)가 전기차(EV) 및 배터리 생산 공장에서 수천 명의 전미자동차노조(UAW) 소속 근로자를 해고하기로 했다. 미 연방정부가 EV 세액공제 제도를 폐지하고 온실가스 배출 규제를 완화하는 등 EV 산업 정책을 전면 수정하며 수요가 급격히 둔화된 데 따른 조치로, GM이 사실상 EV 사업을 후퇴시키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29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GM은 내년 1월부터 미시간·오하이오·테네시주 공장에서 시간제 근로자 약 3300명을 감원할 계획이다. 이 가운데 1700명 이상은 무기한 해고되며, 나머지 1500명은 2026년 중반쯤 복귀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의 LG에너지솔루션과 합작한 오하이오·테네시 배터리 공장은 내년 1월 5일부터 가동이 중단된다. GM은 이들 공장을 2026년 중반 재가동할 계획이다. 디트로이트 전용 EV 조립공장 근로자 3400명 중 약 1200명도 무기한 해고된다. 디트로이트 EV 공장은 현재 2교대로 운영되고 있으나, 다음 달 24일까지 가동을 멈춘 뒤 내년부터는 한 개 조로 전환될 예정이다. 이 공장은 GM의 대형 고급 EV 모델인 쉐보레 실버라도·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미국 뉴욕 증시는 29일(현지시간)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금리인하 계속 기대가 후퇴하면서 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가 강세를 보이는 속에서도 혼조로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지수는 이날 전일 대비 74.02 포인트, 0.16% 내려간 4만7632.35로 폐장했다. 5거래일 만에 반락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일보다 0.22 포인트 밀린 6890.67로 거래를 끝냈다. 5거래일 만에 하락 반전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일에 비해 130.98 포인트, 0.55% 오른 2만3958.47로 장을 마쳤다. 5거래일째 상승했다. 나흘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연준은 28~29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전월에 이어 다시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내렸다. 하지만 제롬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12월 금리인하가 확정된 게 아니라고 밝혀 FOMC에 이견이 있다는 걸 확인했다. 2025년 7~9월 분기 실적 호조를 보인 건설기계주 캐터필러가 11.63% 치솟고 분기 결산에서 주당 이익이 시장 예상을 웃돈 통신주 버라이즌 커뮤니케이션 도 2.66% 상승했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브라질 무장 경찰대가 대규모 마약조직 소탕에 나서면서 다수의 사망자가 나왔다. 세계 3대 축제 중 하나인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 축제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브라질 경찰이 28일(현지시간) 대규모 마약조직 검거작전을 벌였다. 이로 인해 최소 64명이 살해당하고 81명이 체포되었다고 AP통신 등 외신들이 전했다. 이 날 무장 경찰대의 대대적인 작전은 코망두 베르멜류( '적색 사령부 ') 란 이름의 마약관련 범죄조직을 타깃으로 실시되었다. 코망두 베르멜류는 1979년 브라질 교도소에서 결성된 남미 최대 규모의 범죄조직으로, 주로 마약 밀매, 무기 밀매, 보호금 갈취, 인신 납치, 장갑차 납치 등 다양한 범죄에 관여해왔다. 리우데자네이루 일대의 빈민지역 콩플렉수 두 알레마웅, 펜하 지역에 자리잡고 있는 이 조직을 소탕하기 위해 리우데자네이루 주 정부는 "리우 역사상 최대의 작전"을 펼쳤다고 이 날 밝혔다.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축제일의 습격 작전에 가담한 일반 경찰과 경찰 특공대 병력은 2500명이 넘는다. 경찰 부대는 두 곳의 대형 빈민지역 안의 26개 지점을 목표로 검거 작전을 계속했다. 이 날 사망자 가운데에는 코망두 베르멜류 대원 5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정상회담 앞두고 미국과 중국이 2일 차 고위급 무역 협상에 돌입했다. 26일(현지 시간) 신화통신, 중국국제텔레비전(CGTN) 등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 대표단은 이날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무역 회담을 재개했다. 미국 대표단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중국 대표단은 허리펑 부총리가 이끈다. CNN에 따르면 그리어 대표는 이날 취재진에 "양국 정상이 검토하고 함께 체결할지 결정할 수 있는 협정 유형의 최종 세부 사항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또 "중국 측과 상당히 건설적인 논의를 했다"며 "정상들에게 제시할 수 있는 내용이 마련되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희토류 등 다양한 주제가 논의됐다고 덧붙였다. 양측은 전날 쿠알라룸푸르에서 협상을 시작했다. 중국 상무부는 앞서 "허 부총리가 대표단을 이끌고 27일까지 말레이시아를 방문, 미국과 경제 및 무역 협상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상은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를 강화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100% 추가 관세를 예고한 가운데 열렸다. 양측은 서로 선박에 입항 수수료도 부과하며 갈등 수위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미국 뉴욕 증시는 20일(현지시간) 미중 무역협상이 진전한다는 기대로 매수 선행하면서 상승 마감했다. 연방정부 셧다운이 조만간 종료한다는 관측도 매수를 불렀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지수는 이날 지난 17일 대비 515.97 포인트, 1.12% 올라간 4만670658로 폐장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71.12포인트, 1.07% 상승한 6735.13으로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310.57 포인트, 1.37% 오른 2만2990.54로 장을 끝냈다. 미중 무역마찰에 대한 경계감이 후퇴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기자단에 거듭 중국과 관계가 좋다면서 무역협정 체결에 낙관적인 전망을 했다. 이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와 맞춰 미중 정상회담을 개최하며 트럼프 대통령은 내년 초 방중 계획도 표명했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앞서 중국 허리펑(何立峰) 총리와 협의했고 이번주에는 대면논의를 가질 예정이다. 중국 희토류 수출 규제를 놓고서 미국 정부가 반발하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대립 자세를 완화했다. 연방정부 셧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 홍콩 국제공항에서 화물기 한 대가 활주로를 이탈해 일부가 바다에 잠기는 사고가 발생했다. 두바이발 아랍에미리트(UAE) 항공 화물기가 20일(현지 시간) 홍콩국제공항에서 착륙 도중 활주로를 벗어나며 지상 지원 차를 들이받은 사고가 발생해 차량 탑승자 2명이 사망했다. AP통신에 따르면 해당 화물기는 ACT 항공 소속 보잉 747 기종으로 홍콩국제공항 활주로에 착륙하던 중 방향을 이탈, 지상 지원 차량과 부딪혔다. 이어 활주로 끝단을 넘으며 인근 해상으로 일부 기체가 미끄러져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이 충돌로 인해 지상 차량 역시 함께 바다로 추락했으며 차량에 탑승 중이던 2명이 사망했다. 현지 당국은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중이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1990년대 후반 큰 인기를 누린 미국 뉴메탈 밴드 '림프 비즈킷(Limp Bizkit)'의 창립 멤버인 베이시스트 샘 리버스(Sam Rivers)가 별세했다. 향년 48세. 19일(이하 현지시간) 뉴욕타임스 등 외신에 따르면, 림프 비즈킷은 지난 18일 리버스가 눈을 감았다고 발표했다. 다만 사망 원인은 밝히지 않았다. 사망 장소와 시간도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밴드는 고인에 대해 "모든 노래 속에 숨은 맥박, 혼돈 속의 고요함, 소리 속의 영혼"이라고 애도했다. 림프 비즈킷은 헤비메탈, 힙합, 펑크를 조합한 '랩코어'로 주류 음악 시장에 자리매김한 입지전적인 밴드다. 플로리다주 잭슨빌에서 10대 시절부터 음악을 시작한 리버스는 18세에 림프 비즈킷의 리드 보컬인 프레드 더스트(Fred Durst)의 러브콜을 받아 팀에 합류했다. 1997년 첫 음반 '스리 달러 빌 유올(Three Dollar Bill Y’All)'을 발매한 림프 비즈킷은 1999년 앨범 '시그니피컨트 아더(Significant Other)'로 그래미상 최우수 록 앨범 부문 후보에 오르며 평단의 호평을 받았다. 리버스는 생전 건강이 좋지 않았다. 전기 작가 겸 저널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페루에서 Z세대를 중심으로 한 시위가 경찰의 강경진압 속에 15일 시위에서 최소 1명이 사망하고 100여명이 부상하면서 유혈 사태로 번지고 있다. Z세대를 중심으로 한 시위로 대통령이 의회에서 탄핵을 당한 후에도 불안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시위대는 내년 4월까지 임시 대통령을 맡고 있는 대통령도 물러나라고 요구하며 시위를 벌이고 있다. 앞서 국회는 10일 디나 볼루아르테(63) 대통령을 탄핵하고 즉각 호세 헤리(38) 국회 의장이 신임 대통령에 취임했다. 볼루아르테는 2년여 전 시위대 강경 진압 지시에 따른 학살 혐의와 ‘롤렉스 스캔들’ 등 부패 의혹으로 쫓겨났다. 페루 최초의 여성 대통령인 볼루아르테 역시 의회가 전임자를 탄핵한 후 2022년 12월에 취임했었다. 헤리는 지난 8년 동안에만 7번째로 취임한 대통령이다. 하지만 그가 취임한 지 5일 만인 15일 시위대는 ‘정치 계층’이라고 부르는 권력층에 대한 분노가 확산되면서 수천 명이 거리로 나서 “깨끗한 시작”을 요구했다고 영국 BBC 방송은 보도했다. 이날 수도 리마 도심 프란시아(프랑스) 광장과 산마르틴 광장 주변에서 진행된 집회와 거리 행진에는 교사, 예술가, 의사, 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