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3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

[단독] 2022학년도 대입 수시·정시 영남권1(대구·경북·강원) 최종 등록률

URL복사

(재외국민 및 북한 이탈주민 전형, 수시·정시지원 횟수 제한 없는 5개 특수대, 기능대, 사이버대 제외)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4년제 대학의 대구, 경북, 강원권 최종 등록률을 살펴보면 5만0566명 모집에 4만7060명이 등록해 93.07%의 등록률을 보였다. 전문대학은 2만4276명 모집에 2만2308명이 등록, 91.89%의 등록률을 기록했다. 작년에는 4년제 대학과 전문대 등록률이 90% 이하라는 사상 최악의 등록률을 기록했지만, 올해는 90% 이상으로 반등했다.  


대학유형별, 대구,경북,강원권의 자세한 대학별 등록률은 <표>를 참조하면 된다.

 

 

 

경북지역 대신대·한동대 100% 등록률 기록


■ 대구, 경북지역 4년제 대학  


2022학년도 대구지역 대학 중 가장 높은 등록률을 보인 계명대학교는 4621명 중 4612명 등록해 등록률 99.81%로 나타났다. 대구교육대학교는 99.74%를 기록했으며, 경북대학교는 4637명 모집에 총 4620명이 등록해 최종 99.63%로 나타났다.


경북에서 가장 높은 등록률 기록한 대신대학교, 한동대학교는 각각 100.00% 등록률을 보였다. 경북권 대학 중 가장 낮은 등록률을 보인 대구예술대는 330명 모집에 77명 등록해 23.33%를 기록했다. 이외 90%이상의 등록률을 보인 학교를 살펴보면 영남대학교는 4592명 모집에 4587명 등록해 99.89%로 나타났으며, 동국대학교(경주) 99.77%, 포항공과대학교 99.69%, 금오공과대학교는 99.67%로 최종 집계됐다. 


대구한의대학교는 지난해 96.2%에서 97.63%로 등록률이 올라갔다. 그 외 동양대학교(95.27%),경일대학교(94.32%),경운대학교(92.91%),김천대학교(92.63%),대구대학교(91.59%),위덕대학교(91.40%), 대구가톨릭대학교는 지난해 83.3%로 급락했지만, 올해는 91.10%로 반등했다.

 

 

모집인원 모두 등록한 한림대학교


■ 강원지역 4년제 대학


강원지역 한림대학교는 1773명 모집에 1773명 등록해 100.00%의 가장 높은 등록률을 보였다. 한라대학교는 889명 모집에 502명이 등록 56.47%의 가장 낮은 등록률을 기록했다. 강원대학교 4538명 모집에 4528명 등록해 99.78% 등록률을 기록했으며, 연세대학교(미래)는 1325명 모집에 1322명이 등록해 99.77%의 등록률로 최종 집계됐다. 그 외에 춘천교육대학교(99.69%), 강릉원주대학교(98.51%),경동대학교(98.12%), 가톨릭관동대학교(79.78%), 상지대학교(69.31%)의 등록률을 보였다.

 

 

가장 높은 등록률 기록한 수성대학교 기염 토해


■ 대구, 경북지역 전문대학


취업률이 높은 대구지역 7개 전문대학의 올해 가장 높은 등록률을 기록한 곳은 수성대학교로 1220명 모집에 1220명 모두 등록해 100.00%로 집계됐다. 가장 낮은 등록률을 기록한 곳은 계명문화대학교로 2106명 모집에 1818명 등록해 86.32%의 등록률을 보였다. 그 외에 영진전문대학교(99.21%), 영남이공대학교(98.36%), 대구과학대학교(96.59%), 대구공업대학교(91.70%), 대구보건대학교(91.55%)의 등록률로 나타났다.


경북지역 15개의 전문대학 중 경북과학대학교는 675명 모집에 정원 675명이 모두 등록해 100.00%를 기록했으며, 경북도립대학교, 성운대학교도 각각 100.00%의 높은 등록률로 집계됐다. 영남외국어대학은 287명 모집에 136명이 등록 47.39%의 가장 저조한 등록률을 기록했다. 그 외에 문경대학교 (99.25%), 구미대학교(98.04%), 호산대학교(96.38%), 경북보건대학교(93.84%), 선린대학교(88.01%), 대경대학교(86.25%), 가톨릭상지대학교(85.81%), 안동과학대학교(84.61%), 서라벌대학교(82.98%),포항대학교(82.55%),경북전문대학교(80.52%)의 등록률을 보였다.

 

 

가장 높은 등록률 기록한 강원관광대학교


■ 강원지역 전문대학 


강원도 내 8개 전문대 중 가장 높은 등록률을 기록한 강원관광대학교는 올해 88명 모집 중 88명 모두 등록해 100.00%의 등록률을 기록했다. 가장 낮은 등록률을 기록한 송호대학교는 327명 모집에 231명 등록해 70.64%의 등록률을 보였다. 송곡대학교는 200명 모집에 196명이 등록해 98.00%의 등록률로 나타났다.


그 외에 한국골프대학교 (97.50%), 강원도립대학교 (94.87%), 한림성심대학교(88.27%), 세경대학교 (86.03%), 강릉영동대학교(79.77%)의 등록률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히든기업연구소, ‘2025 추계세미나 및 기업 IR발표회’ 성료...회원사간 협업 강화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사)히든기업경영전략연구소는 12일 오후 4시 과천 이트너스 사옥에서 22개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기업들이 참석한 가운데 ‘2025 추계세미나 및 기업 IR발표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히든기업경영전략연구소가 중소기업 간 협업 및 비즈니스 성장을 도모하고자, 다양한 전문가와 기업 대표들 간 연대와 의견을 나누기 위해 마련한 자리다. 박성태 이사장은 연구소 설립 후에 경과 보고 후 자문 요청을 하는 회원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는 ▲홍보▲경영▲세무▲노무▲특허 컨설팅 자문위원들을 소개했다. 박 이사장은 연구소 환영사에서 “히든기업연구소는 무리한 투자나 경영 컨설팅을 제안하지 않는다”고 강조하고 “제안된 사업에 대한 연구소 차원의 면밀한 검증을 하고 있으며, 타당성 결여 등이 확인되면 컨설팅을 중단하며, 절대 무리한 컨설팅비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먼저 특강에서는 김현수 심시스글로벌 공동대표와 정종민 에이플러스에셋 전무가 자사의 주요 사업현황과 사업구조의 특장점, 콘텐츠 경쟁력 등을 소개했다. ‘스페이스 AI 와 스마트빌딩 구축 운영사례’라는 주제로 첫 번째 특강에 나선 김현수 대표는 "심시스글로벌은 스마트 리딩과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신길초 앞, 민·관·경 총출동...등굣길 사이버 폭력 예방 캠페인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푸른나무재단은 12일 오전 서울신길초등학교에서 학교폭력·사이버폭력 예방과 안전한 학교문화 조성을 위한 ‘민관 협동 등굣길 캠페인’을 개최했다. 이번 캠페인은 학생들의 등굣길에 학교·지역사회·기업·기관이 함께 참여해, 아이들의 아침 등굣길에 안전한 분위기와 공동체 메시지를 전달하는 실천형 활동이다. 특히 최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새로운 유형의 학교폭력 이슈가 대두되는 가운데, 지역 단위 협력 체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현장형 캠페인으로 기획됐다. 이번 캠페인은 민·관·학·기업이 총결집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행사이다. 이번 행사에는 학생자치회와 교사를 비롯해 동작구청, 동작경찰서, 동작관악교육지원청, 삼성, 푸른나무재단이 함께해 등굣길 학생들에게 학교폭력 예방 구호와 피켓, 기념품을 전달했다. 행사 참여자 전원은 “도와줘요 힘든 친구 보면! 미소로 함께 우리 약속해요! 솔루션은 우리의 실천! 함께해요 레츠끼릿!”을 외치며 작은 실천이 큰 변화를 만든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이날 강순원 서울시동작관악교육지원청 교육장은 "학교폭력 예방에 관한 지역 단위 협력 체계가 중요하다"며, "지속해서 학교폭력·사이버폭력 예방 캠페인을 확대해 나

문화

더보기
학습의 본질 ‘공부를 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출간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공부를 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을 펴냈다. 이 책은 공부를 단순한 암기나 시험 대비의 기술이 아닌, 모두의 세상을 이해하고 자기 자신의 세상을 확장하는 철학적 행위로 바라본다. 저자는 ‘배움 없는 익힘은 의미 없고, 익힘 없는 배움은 쓸모없다’라는 핵심 메시지를 통해 학습의 본질을 탐구한다. 책은 시와 에세이 형식을 빌려 학습의 구조를 따뜻하고도 깊이 있게 풀어낸다. 총 6개의 장으로 구성된 본문은 ‘공부의 개념’에서 시작해 ‘학습의 작동 원리’, ‘교과별 학습’, 그리고 ‘학습의 내면’까지 다룬다. 배움과 익힘, 이해와 적용, 기억과 망각, 사고와 표현 같은 개념을 사유하면서, 공부를 점수나 평가의 도구가 아닌 ‘삶을 변화시키는 지적 여정’으로 자리매김한다. 독자는 책을 읽는 동안 ‘나는 이 지식을 내 것으로 만들었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마주하게 된다. 저자는 고려대학교에서 행정학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책학을 전공하고, 정책연구소와 국가연구기관에서 교육과 과학기술 정책을 연구했다. 동시에 에듀테크 기업 콘텐츠팀장, 입시 컨설턴트로 활동하며 학습 현장의 고민을 누구보다 가까이서 경험했다. 그는 “공부 때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