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16.7℃
  • 구름조금강릉 15.3℃
  • 맑음서울 18.7℃
  • 구름많음대전 17.9℃
  • 구름조금대구 19.8℃
  • 구름조금울산 17.7℃
  • 맑음광주 20.0℃
  • 구름조금부산 19.3℃
  • 맑음고창 18.7℃
  • 맑음제주 20.2℃
  • 구름조금강화 16.2℃
  • 구름많음보은 17.6℃
  • 구름조금금산 17.9℃
  • 맑음강진군 20.5℃
  • 맑음경주시 19.0℃
  • 구름조금거제 17.8℃
기상청 제공

경제

Economic Good

URL복사
삼보, 90만원대 노트북 출시

삼보컴퓨터가 90만원대 노트북 ‘에버라텍 5500’을 내 놓으며 국내 노트북 시장 2위 탈환을 선언했다.

이 제품은 15인치 LCD, AMD 모바일 Sempron 2600+, 256MB DDR333, 40GB, 24배속 콤보 드라이브, 54Mbps 무선랜 등을 탑재했다. 가격은 99만 9,000원(부가세 포함).

SK텔레콤, 시각장애인 도우미폰 출시

SK텔레콤은 음성을 통한 핸드폰 기능가 가능한 ‘시각 장애인 도우미 폰(삼성전자 SCH-580)’을 출시했다.

이 단말기는 숫자판 가운데에 위치한 ‘5’를 길게 누르면 자동으로 ‘음성 도우미 모드’로 전환돼 수·발신은 물론 통화목록과 문자메시지 부재중 전화 목록 등 기본적인 휴대폰기능을 음성으로 안내받을 수 있다는 게 SK 측의 설명이다.


소니, 스리스타일 무선 홈시어터

소니코리아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본채 패널과 슬림한 디자인의 스피커로 벽걸이 방식 등 자유로운 배치와 감각적인 인테리어가 가능한 무선 홈시어터인 베가시어터 DAV-LF1(Layout Free)을 출시했다.

DAV-LF1은 스타일리쉬한 알루미늄 바디의 2 way system 스피커, S-Master 완전 디지털 앰프와 Digital Direct Twin Drive 서브 우퍼 시스템을 탑재 총 출력 600W의 강력한 사운드가 특징이다. 제품 가격은 248만원.


메르세데스-벤츠, 2005년형 SL-Class 출시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는 AMG 바디 스타일링 패키지를 기본으로 채택한 ‘2005년형 SL-Class’를 출시했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2005년형 SL-Class는 AMG 바디 스타일의 다이나믹한 사이드 스커트, 프론트 에이프런 및 리어 에이프런을 채택했다. 또 철제로 제작된 안전볼트(Safety Bolt)로 고정된 하드탑 배리오 루프는 16초 만에 자동 개폐가 가능하다는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가격은 SL 500 부가세 포함, 1억9,440만원, SL 600 2억6,120만원.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천후 냉난방기

대우일렉트로닉스가 자체개발한 Hi-Engine을 탑재 사계절 사용이 가능한 ‘전천후 냉난방기’ 33평형(DHP-330M)과 44평형(DHP-440M)을 내놨다.

Hi-Engine은 냉난방기의 심장이라 할 수 있는 압축기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열교환 능력을 극대화하는 등 사계절 강력 냉난방을 구현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회사관계자는 “기존 제품이 겨울철 저온에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했던 단점을 개선해 영하 18도의 저온에서도 난방성능을 확보하는 획기적 발전을 이루어냈다”고 말했다.


동원 알라스카 자연산 연어 출시

동원F&B가 알라스카 자연산 연어를 이용한 ‘동원 알라스카 자연산 연어’를 선보였다.

동원측은 연어는 참치와 더불어서 웰빙시대의 대표적인 수산식품으로서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참치와 함께 대표적인 건강식품으로 손꼽히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대중적인 소비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식품이라며 출시 배경을 설명했다.

이번에 출시되는 ‘동원 알라스카 자연산 연어’는 총 5개 제품으로 연어구이 220g 4,300원, 연어까스 420g 4,300원, 연어치즈스틱 480g 6,400원 이며, 통조림 제품으로 연어파티 올리브 200g 3,500원, 연어파티 딜소스 200g 3,500원이다.


신한카드 `‘사랑의 세뱃돈 나누기’ 행사

신한카드는 이달 말까지 카드회원이 적립한 포인트(1포인트당 1원)를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기부하면 동일액을 회사가 추가로 기부하는 `‘사랑의 세뱃돈 나누기’ 행사를 벌인다.

이 기간에 카드회원이 인터넷 카드 결제로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성금을 기부할 경우에는 신한카드도 성금액의 5%를 낸다고 회사측은 밝혔다. 기부된 성금은 소년소녀 가장 등에게 전달될 예정이며 자세한 내용은 이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www.shinhancard.com)를 참조하면 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진보당, 2026년도 예산안 심의에 “안보·관세 협상이 미국 퍼주기 되지 않도록 국회가 검증하겠다”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국회의 ‘2026년도 예산안’ 심의가 시작된 가운데 진보당이 미국과의 안보·관세 협상으로 ‘미국 퍼주기’ 예산이 편성되는 것을 철저히 막을 것임을 밝혔다. 진보당 전종덕 의원은 5일 국회에서 예산안 관련 기자회견을 해 “안보·관세 협상이 ‘미국 퍼주기 예산’이 되지 않도록 국회가 검증하겠다”며 “정부는 미국의 압력에 따라 국방비 인상과 무기 도입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무리한 국방비 인상은 민생경제와 서민복지에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단순한 국방비 증가가 이재명 정부가 말하는 ‘자주국방’일 수 없다”며 “그 시작은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종덕 의원은 “현재 방위비분담금 미집행금이 2조원이 넘는다. 신규 예산 편성은 필요 없다. 동북아시아 긴장을 높이는 F-35A 추가 도입도 철저히 검증하겠다”며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한 재정지출은 국민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국회에서 제대로 따져보겠다”고 말했다. 전 의원은 “적폐 예산을 과감히 정리하겠다”며 “매년 반복되는 이북5도지사 예산, 되살아난 검찰 특수활동비, 극우와 내란옹호단체로 전락한 관변단체 보조금 예산도 철저히 검증하고 삭감


사회

더보기
희망친구 기아대책, LG전자와 함께한 ‘LG앰배서더 챌린지’ 성료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국내 최초의 국제구호개발 NGO 희망친구 기아대책이 저소득 국가의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기아대책은 LG전자와 함께 올 3월부터 10월까지 진행한 제3세계 주민들을 위한 지원활동의 일환인 ‘LG앰배서더 챌린지’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5일 밝혔다. 이는 해외 취약 지역의 주민들이 스스로 공동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주도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돕는 지역밀착형 사회공헌 프로젝트로, 지난 2018년 방글라데시를 시작으로 올해까지 총 9개국에서 진행됐다. 올해는 베트남이 새롭게 지원국가로 선정됨에 따라 기존의 방글라데시, 페루, 케냐, 필리핀 등과 함께 총 5개국에 13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기아대책의 ‘LG앰배서더 챌린지’는 일회성 지원에 그치는 것이 아닌 장기적으로 지역 주민들의 역량 강화와 자립심 향상에 초점을 맞춘 프로젝트로, 지역 공동체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집중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기아대책은 올해 베트남에서 소수민족을 대상으로 양봉사업을 진행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로 하여금 단기간 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도왔다. 여기에 3핵타르 부지에 나무를 심고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