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장의 발언은 지난 19일 내려진 법원의 결정으로 인해 기초당원제 등의 효력이 정지된 것과 관련, 당내 신당파와 사수파가 정면대결 양상을 보이면서 당의 분열이 점점 현실화 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이날 오전 영등포 중앙당사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평화·개혁세력의 대통합을 이루자는 당내 절대다수의 공감과 합의가 있다. 지금은 이 합의를 현실화시키기 위해 총력을 기울여야 할 시점”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김 의장은 특히 “이런 상황에서 실력저지나 탈당, 직무방기를 거론하는 모든 분들에게 요구한다”며 “지금은 중앙위원회와 전당대회 준비위원회에 집중할 때다. 지금 당내에 심각한 견해차가 존재하지만 토론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며 질서 있는 논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김 의장은 “쉽게 분열을 입에 올리는 정치인은 훨씬 복잡하고 험난한 사회통합을 말할 자격이 없다. 당내 합의를 위한 토론의 광장을 외면하거나 결정에 대해 승복하지 않는 분은 민주주의를 말할 자격도 없다”며 “민주주의에 역행하는 일체의 행위를 하는 분들에게 끝까지 엄중한 정치적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당내) 양극단의 무분별한 행태가 당을 어렵게 만들고 상황을 고착화시키고 있다”며 “더 이상의 교란행위에 대해서는 본인이 두고두고 엄중한 정치적 책임을 지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한길 원내대표도 이날 회의에서 사수파를 직접 겨냥했다. 현재 당이 겪고 있는 혼란상은 사수파 진영에서 낸 ‘당헌개정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이 법원에 의해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라는 인식에 바탕을 두고 사수파를 비판한 것이다.
김 원내대표는 “비대위원 전원이 기간당원제를 손봐야 한다는 데 합의했고, (당헌 개정은) 당의장이 지도부를 대표해 당원들의 의견을 확인한 결과”라면서 “그런데 어느새 개혁으로 치장된 기득권 세력이 당을 혼란으로 빠뜨렸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이들은 자신들의 주장은 모두 선이며, 다수의 국회의원과 당원들이 잘못됐다고 헐뜯는다”며 “당내 권력지분 투쟁에 몰두해 당을 국민으로부터 멀어지게 했다”고 사수파를 향한 공세수위를 높였다.
한편 김 원내대표는 “법원의 결정은 당헌 개정의 절차적 문제점을 지적한 것이다. 절차에 대해 지적을 받았다고 해서 내용을 포기할 수는 없다”면서 “이번 전당대회가 기간당원제에 의해 치러진다면 정치적 퇴행 이외에 어떤 의미부여가 가능한지 의문이 든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