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3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문화

'국제시장', 주말 140만명↑…누적 428만명↑

URL복사
[시사뉴스 조종림 기자] 영화 '국제시장'(감독 윤제균)이 주말 140만 관객을 불러 모으며 개봉 11일 만에 누적 400만 관객을 돌파했다.

범죄 스릴러 '기술자들'(감독 김홍선)과 다큐멘터리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감독 진모영)는 각각 50만명이 넘는 관객이 보며 2, 3위에 올랐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 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국제시장'은 26~28일 953개 스크린에서 1만2035회 상영돼 142만5771명이 봤다. 누적관객수는 428만1795명이다.

영화는 한국전쟁부터 이산가족찾기 까지 한국 현대사의 비극을 온몸으로 살아낸 '덕수'라는 남자를 통해 우리네 아버지들에 관해 이야기한다.

2009년 '해운대'로 1000만 관객 달성에 성공한 윤제균 감독이 연출했고, 황정민이 주인공 덕수를 연기했다. 오달수, 김윤진, 장영남, 김슬기 등이 출연했다.

김우빈, 이현우, 고창석이 주연한 '기술자들'은 같은 기간 629개 스크린에서 8912회 상영, 66만2686명을 끌어들였다. 누적관객수는 142만3764명이다.

인천세관에 숨겨져 있는 검은돈 1500억원을 빼돌리기 위해 나서는 도둑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김우빈은 금고털이범 지혁을, 이현우는 천재 해커 종배를, 고창석은 인력 조달 전문가 구인을 연기했다. 김영철, 조윤희 등도 출연한다.

2012년 '공모자들'로 데뷔해 그해 청룡영화상 신인감독상을 받은 김홍선 감독의 두 번째 장편 연출작이다.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는 532개 스크린에서 7339회 상영, 51만1023명이 봤다. 누적관객수는 355만533명이다.

평생을 함께 산 노부부의 사랑과 이별을 담은 영화는 성탄절 연휴였던 25일 '워낭소리'가 가지고 있던 역대 독립영화 흥행 기록(293만명)을 깼다.

올해 열린 제6회 DMZ 국제다큐영화제에서 관객상을 받은 영화는 진모영 감독의 데뷔작이다.

4위는 할리우드 판타지 블록버스터 '호빗:다섯 군대 전투'(감독 피터 잭슨)였다. 511개 스크린에서 5990회 상영, 41만4023명을 불러 모았다. 누적관객수는 233만8426명이다.

'호빗:다섯 군대 전투'는 2012년 '호빗:뜻밖의 여정', 2013년 '호빗:스마우그의 폐허'에 이은 '호빗' 3부작의 마지막 편이다. 또 2001년 개봉한 '반지의 제왕:반지 원정대', 2002년 '반지의 제왕:두 개의 탑', 2003년 '반지의 제왕:왕의 귀환'과 함께 피터 잭슨 감독 판타지 6부작의 완결편이기도 하다.

'반지의 제왕' 시리즈가 주인공 프로도의 모험담과 극의 배경인 중간계의 마지막 전투를 다뤘다면, '호빗' 시리즈는 프로도의 삼촌 빌보 배긴스의 여행과 드워프, 엘프, 인간, 오크의 세력 다툼을 그린다.

영국 드라마 '셜록'에서 왓슨 박사 역을 맡아 국내 팬에게도 익숙한 배우 마틴 프리먼이 주인공 빌보 배긴스를 연기했다.

이언 매켈런, 리처드 아미티지, 케이트 블란쳇, 올랜도 블룸, 크리스토퍼 리, 휴고 위빙 등 할리우드 유명 배우가 총 출동했다.

사극 '상의원'(감독 이원석)은 453개 스크린에서 5343회 상영, 24만4878명을 끌어들여 '호빗:다섯 군대 전투'의 뒤를 이었다. 누적관객수는 55만1827명이다.

왕실의 옷을 만들던 상의원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은 영화로 한석규, 고수, 박신혜, 유연석 등이 출연했다.

지난해 '남자사용설명서'로 데뷔한 이원석 감독의 두 번째 장편영화 연출작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병원비 대신 내주고 신생아 매수한 후 양육 과정서 학대한 30대 여성 징역형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병원비 28만원을 대신 내주고 신생아를 매수한 뒤 양육 과정에서 학대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0대 여성에게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징역형의 집행유예가 선고됐다. 인천지법 형사항소5-3부(이연경 부장판사)는 12일(아동복지법상 아동매매와 아동학대)혐의로 기소된 A(36·여)씨에게 1심과 같은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불임인 A씨는 조건 미달로 입양에 어려움을 겪던 중 2018년 1월 25일 인터넷에서 '신생아를 데려가 키우실 분을 구한다'는 글을 보고 B양 부모에게 연락해 병원비 28만8천원을 대신 내주고 매수한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A씨는 아동 매수 4년여 만인 지난 2022년 9월 인천 강화군 주거지에서 파리채와 리모컨으로 B양을 여러 차례 때리는 등 신체적 학대를 하기도 했다. 조사결과 A씨 부부는 B양을 매수한 뒤 출생 신고를 하지 않았고, 예방 접종을 비롯한 필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A씨 부부가 B양의 기본적인 보호·양육과 치료·교육을 소홀히 하는 방임행위를 했다고 보고 이들에게 아동복지법상 아동유기·방임 혐의도 적용해 재판에 넘겼다. 그러나 1심과 항소심 재판부는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