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문화

엑소·빅뱅, 아시아서 인기확인…중국·싱가포르 연말행사 참여

URL복사

[시사뉴스 조종림 기자] 한류그룹 '엑소'와 '빅뱅'이 나란히 아시아에서 연말을 마무리하며 인기를 확인했다. 

1일 소속사 SM엔터테인먼트에 따르면 엑소는 지난 12월31일 오후 7시30분 중국 광저우 국제 체육 연예 중심에서 열린 '2014-2015 호남위성 연말 특집쇼'에 출연했다. 

'으르렁' '중독' '러키' 등의 히트곡을 중국어 버전으로 들려줬다. 멤버 레이는 자작곡 '레이스 커밍(Lay's Coming)'에 맞춰 연막탄을 활용한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특히 엑소는 이날 특집쇼의 하이라이트인 새해 카운트다운을 외치는 순서에 참여했다. 리이펑, 리위춘, 덩즈치, 류타오 등 중국 톱스타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호남위성 연말 특집쇼'는 중국 최대 위성 방송사 중 하나인 호남위성TV에서 펼치는 대표 연말 특집쇼다. 작년에는 전국 시청률 동시간대 1위를 차지했다. 

빅뱅의 소속사 YG엔터테인먼트에 따르면, 빅뱅도 같은 날 오후 9시부터 1일 새벽 1시30분까지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에서 열린 'SG50'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헤드라이너로 출연했다. 

'SG50'은 싱가포르 독립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작년 한해 동안 싱가포르 전역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다. 현지 지상파 채널5로 생방송된 이번 행사는 싱가포르 대통령인 토니 탄 켕 얌(Tony Tan Keng Yam)이 연설에 나서고 국무총리 등이 참석하는 국민 축제라 할 수 있다. 

YG는 "예전에 비해 두 배 이상 규모로 진행된 이번 행사는 티켓 모두 진작에 매진됐다"면서 "싱가포르 가수가 아닌 빅뱅을 마지막 헤드라이너로 선정한 것은 그만큼 빅뱅이 아시아에서 갖는 남다른 위상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라고 자랑했다. 

빅뱅은 2014년에서 2015년으로 넘어가는 자정에 시작된 불꽃놀이가 끝난 후 무대에 올라 약 50분간 공연을 진행했다. '굿보이'를 비롯해 '필링' '판타스틱 베이비' 등을 불렀다. 

지드래곤은 "올해에는 매우 큰 계획이 있다. 새 앨범과 새로운 투어. 좋은 음악과 퍼포먼스로 돌아오겠다"고 발표했다. 태양 역시 오는 2월8일 싱가포르에서 솔로 아시아투어 콘서트 '라이즈(RISE)'를 연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