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13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

포미닛 "이번 앨범은 모 아니면 도"

URL복사

[시사뉴스 조종림 기자] 걸그룹은 만들어진다. 소속사에서 콘셉트를 결정하고 멤버들을 추리는 것부터 시작해 어떤 옷을 입을지, 어떤 캐릭터가 될지도 타의로 결정된다. 열정을 제외하면 뜨고 지는 건 스스로의 몫이 아니다. 

2009년 디지털 싱글 앨범 '핫이슈'로 데뷔한 '포미닛'도 만들어졌다. '2NE1' '티아라' '시크릿' 등이 쏟아진 당시는 걸그룹 열풍이 불던 시기다. 포미닛은 '청순 아니면 섹시'로 이야기되던 걸그룹과는 데뷔 때부터 달랐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핫이슈'라며 당당했다. 

"워낙 가족처럼 지내다 보니 올해로 7년차라는 걸 몰랐어요. 엄마한테 '엄마와 올해로 몇년 살았네'라는 말을 하지는 않잖아요.(웃음) 원하는 걸 하고 싶으니까 다섯 명이서 이야기를 많이 하는 편이에요. 회사를 상대로 설득하기도 하죠. 저희가 원하는 앨범을 내고 싶어서 겪는 과정에서 더 돈독해지는 거 같아요."(가윤) 

포미닛은 지금도 만들어지고 있다. 그들은 최근의 앨범에서 스스로를 만들고 있다. '베스트(BEST)'가 아닌 '온리(ONLY)'를 콘셉트로 유지하면서 앨범 참여 비중을 점차 늘리고 있는 것이다. 이제는 뜨고 지는 것도 포미닛의 몫이다. 

"앨범 콘셉트가 사전에 유출됐을 때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아팠어요. 너무 화가 나서 눈물이 나기도 했죠. 아직 앨범의 모든 게 공개가 안 됐는데 아마 다 공개될 때까지 계속 아플 거 같아요. '회사에서도 그래서 화를 냈구나'하고 이해가 되는 부분도 있네요."(가윤) 

9일 발표되는 미니앨범 '미쳐'의 이야기다. 이번 앨범에서 멤버들은 전작 '포미닛 월드(4MINUTE WORLD)' 때보다 더 목소리를 높였다. 작사, 작곡에서부터 스타일링, 재킷 사진, 티저 영상, 홍보 아이디어 등에서 아이디어를 쏟았다. 

"노래도 춤도 데뷔 이후 지금까지 앨범 중 가장 센 거 같아요."(가윤) "기존 포미닛 색을 담으려고 했어요. 다양하면서도 포미닛 색이 확고하게 드러나는 음악들로 채워졌죠."(현아) 

특히 지윤은 필명 'JENYER'로 앨범에 이름을 올렸다. "저인지 모르고 들으시라고 이름을 바꿔 적었어요. 알지 못하는 작곡가가 썼다고 생각하시면 선입견 없이 들으실 거 같았죠."(지윤)

발라드곡 '추운 비'를 더블 타이틀곡으로 결정하고 앨범 발매 전날 클럽에서 또 다른 타이틀곡 '미쳐'의 첫 무대를 선보인 것에도 멤버의 목소리가 녹아있다. '미쳐'의 댄스 퍼포먼스에 유명 안무가 패리스 고블이 참여하기까지도 멤버들이 역할을 했다. 

"평소 안무 영상을 많이 보는데 모두가 마음에 드는 안무가 있었어요. 안무를 받아보고 싶다고 연락을 드렸죠."(소현) "'패리스 고블 안무를 하게됐다'니까 주변에서도 많이 부러워 하더라고요. 기존 안무와는 다를 겁니다."(지현)

앨범에는 '미쳐' '추운 비' 등을 비롯해 "포미닛 정도면 할 수 있을 거 같았다"는 '1절만 하시죠', 팬들 사이에서는 제법 알려진 포미닛의 매니저가 피처링한 '눈에 띄네', 권소현이 작사한 '간지럽혀', 현아와 소현이 랩 가사를 쓴 '쇼 미(SHOW ME)' 등 모두 6곡이 실렸다. 앨범에 대한 자신감과 애정으로 수록곡 모두의 티저 영상을 촬영, 공개했다. 

"7년차라는 시간보다 이번 앨범에 대한 부담감이 있어요. 멤버들끼리 '모 아니면 도'라는 이야기를 매일 하죠. 사랑스러운 콘셉트가 유행인데 그 속에서 저희가 부각되지 않을까요?"(가윤) "사람들한테 핫한 사람이 누구냐고 물으면 대부분 활동하고 있는 사람 중에서 이야기하잖아요. 이번에는 저희도 활동을 왕성하게 하려고 해요. 많은 분이 포미닛에 '미쳐'주셨으면 좋을 거 같아요."(현아)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한미정상회담 25일 확정…李 대통령 워싱턴 방미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한미 정상회담이 오는 25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릴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오는 24일 출국해 미국 현지 시각으로 26일 귀국길에 오른다. 대통령실은 이번 방미에 김혜경 여사도 동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방미는 국빈 방문이 아닌 공식 실무방문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의 초청으로 25일 한미 정상회담 개최를 위해 24일부터 26일까지 미국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공식 실무 방문으로 보면 될 듯하다. 실질적으로 심도 있는 협의를 갖는 데 초점을 둔 방문”이라고 말했다. 이번 회담에서는 앞서 타결된 관세 협상의 세부 내용을 확정하고 한미동맹과 국방비 증액 문제 등 외교·안보 현안을 중점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강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번 회담은 한미 정상 간 첫 대면으로 두 정상은 변화하는 국제 안보 및 경제에 대응해 한미동맹을 미래형 포괄적 전략 동맹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논의하게 된다”며, “굳건한 한미 연합 방어 태세를 강화하는 가운데 한반도 평화와 비핵화 방안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국 정부는 공동성명을 목표로 막판 의제를 조율 중이다. 공동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경제경영 신간 ‘컴플라이언스 3.0’ 출간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지난 2019년 ‘컴플라이언스의 세계’를 통해 컴플라이언스를 소개하는 입문서적을 출간했던 저자 이원준이 이번에 ‘컴플라이언스 3.0’(바른북스)이라는 제목으로 이전보다 더욱 다양하고 깊이 있는, 그리고 전문적이고 시의성 있는 내용들로 개정증보판을 출간했다. 저자는 현재 글로벌투자은행 서울지점의 준법감시인으로 재직 중이며, 지난 34년간의 근무기간 중 절반인 18년을 금융감독당국인 한국은행에서, 나머지는 민간분야인 금융회사에서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컴플라이언스 업무에 있어 감독기관과 피감독기관의 상반될 수 있는 시각을 법경제학자의 눈으로 균형감 있게 짚어 보고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다. 이 책은 컴플라이언스 분야에서 고려해야 하는 거의 대부분의 주제를 다각적으로 다루고 있다. 누구든지 컴플라이언스가 되고자 한다면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들을 저자는 학문적인 연구와 우리나라 및 글로벌 금융감독 당국의 감독정책, 그리고 저자 자신이 겪은 현장에서의 실제 사례 등을 갖고 생동감 있게 기술하고 있으며, 현재 컴플라이언스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 역시 실제 업무 수행에 있어 고려하고 참고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필요사항들을 총망라하고 있다. 최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