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3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문화

'쎄시봉', 개봉 첫 주말 50만명↑…박스오피스 정상

URL복사

[시사뉴스 조종림 기자] 영화 '쎄시봉'(감독 김현석)이 개봉 첫 주말 50만명이 넘는 관객을 불러 모으며 박스오피스 정상에 올랐다.

애니메이션 '빅히어로'(감독 돈 홀, 크리스 윌리엄스)와 한류스타 이민호가 주연한 '강남1970' 200만 관객을 넘겼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 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쎄시봉'은 6~8일 829개 스크린에서 1만2167회 상영돼 53만4687명이 봤다. 누적관객수는 64만2289명이다.

영화는 1970년대 음악감상실 쎄시봉에서 탄생한 윤형주·송창식의 듀엣 '트윈폴리오'에 제3의 멤버가 있었다는 설정이 바탕이다. '트윈폴리오' 제3의 멤버 '오근태'가 쎄시봉에 온 여대생 자영과 사랑에 빠지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다.

주인공 오근태의 젊은 시절은 배우 정우가, 중년의 오근태는 김윤석이 맡았다. 20대 윤형주는 강하늘이, 과거의 송창식은 조복래가 연기했다. 근태가 사랑하는 인물인 자영은 한효주가 책임졌다.

'시라노;연애조작단'(2010) '스카우트'(2007) '광식이 동생 광태'(2005) 등을 연출한 김현석 감독이 만들었다.

디즈니 애니메이션 '빅히어로'는 611개 스크린에서 5631회 상영돼 35만3019명을 끌어 들여 2위에 올랐다. 누적관객수는 225만703명이다.

영화는 테디와 히로 형제가 힐링로봇 베이맥스를 개발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는다. 형 테디가 불의의 사고로 죽고, 지구가 위기에 처하자 히로가 베이맥스를 슈퍼히어로 로봇으로 개조해 싸움에 나선다.

한국에도 잘 알려진 배우 대니얼 헤니가 테디의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 라이언 포터, 스콧 애짓, 제이미 정 등도 성우로 참여했다.

'빅히어로'는 마블 코믹스의 '빅히어로6'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가 마블의 캐릭터로 영화를 만든 건 이번이 처음이다.

1000만 영화 '국제시장'(감독 윤제균)은 이번 주말에도 박스오피스 3위에 오르며 뒷심을 보여줬다. 489개 스크린에서 5312회 상영, 22만8360명이 봤다. 누적관객수는 1312만2411명이다.

영화는 한국전쟁부터 이산가족찾기까지 한국 현대사의 비극을 온몸으로 살아낸 '덕수'라는 남자를 통해 우리네 아버지들에 관해 이야기한다. 황정민이 주인공 덕수를 연기했다. 오달수, 김윤진, 장영남, 김슬기, 라미란 등이 출연했다.

워쇼스키 남매의 신작 SF '주피터 어센딩'은 561개 스크린에서 7230회 상영돼 20만8220명을 불러 모으며 4위에 올랐다. 누적관객수는 25만3371명이다.

영화는 이민자인 '주피터 존스'가 의문의 남자 '케인'으로부터 자신이 지구의 주인이라는 것과 인류는 아브라삭스 가문이 키우는 농작물과 같은 존재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다.

밀라 쿠니스가 주인공 주피터를, 채닝 테이텀이 케인을 연기했다. 에디 레드메인, 션 빈, 테리 길리엄, 더글러스 부스 등이 출연했다.

워쇼스키 남매의 전작 '클라우드 아틀라스'(2012)에 출연했던 배두나는 이번 영화에도 등장해 짧지만 강한 인상을 남긴다.

유하 감독의 '강남1970'은 433개 스크린에서 4026회 상영, 14만6655명이 봐 5위에 올랐다. 누적관객수는 208만1460명이다.

영화는 1970년대 강남 지역이 막 개발되던 시기 아무것도 가진 것 없는 두 남자가 강남 개발 이권 다툼에 휘말리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다. 이민호가 주인공 '종대'를, 김래원이 종대와 함께 자란 '용기'를 연기했다.

'강남1970'은 '말죽거리 잔혹사'(2004) '비열한 거리'(2006)로 이어지는 유하 감독 '강남 3부작'의 완결판으로 불린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병원비 대신 내주고 신생아 매수한 후 양육 과정서 학대한 30대 여성 징역형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병원비 28만원을 대신 내주고 신생아를 매수한 뒤 양육 과정에서 학대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0대 여성에게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징역형의 집행유예가 선고됐다. 인천지법 형사항소5-3부(이연경 부장판사)는 12일(아동복지법상 아동매매와 아동학대)혐의로 기소된 A(36·여)씨에게 1심과 같은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불임인 A씨는 조건 미달로 입양에 어려움을 겪던 중 2018년 1월 25일 인터넷에서 '신생아를 데려가 키우실 분을 구한다'는 글을 보고 B양 부모에게 연락해 병원비 28만8천원을 대신 내주고 매수한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A씨는 아동 매수 4년여 만인 지난 2022년 9월 인천 강화군 주거지에서 파리채와 리모컨으로 B양을 여러 차례 때리는 등 신체적 학대를 하기도 했다. 조사결과 A씨 부부는 B양을 매수한 뒤 출생 신고를 하지 않았고, 예방 접종을 비롯한 필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A씨 부부가 B양의 기본적인 보호·양육과 치료·교육을 소홀히 하는 방임행위를 했다고 보고 이들에게 아동복지법상 아동유기·방임 혐의도 적용해 재판에 넘겼다. 그러나 1심과 항소심 재판부는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