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3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17년째 아이돌그룹, 12집 'WE'로 돌아온 신화

URL복사

[시사뉴스 조종림 기자] 그룹 '신화'에게 '아이돌'이라는 수식어는 어색하다. 현재 가요계에 10대 중후반부터 20대 초중반의 멤버들로 구성된 아이돌 그룹이 절대다수인 까닭이다. 신화의 여섯 멤버는 모두 30대 중반이다.

데뷔 '18년'이 되는 2016년이 '병신년(丙申年)'이라며 한참을 키득거리는 이들을 어떻게 부르면 좋을까. 지난해 12년 만에 '완전체'로 컴백한 그룹 'god'보다 데뷔가 1년 앞서는 이 그룹을, 지금도 활발하게 활동해 복고 열풍에서도 한 발 빗겨 선 신화에게는 어떤 수식어가 어울리려나. 

그룹의 리더 에릭(36)은 신화를 "평생직장"이라 불렀다. 1998년부터 17년을 근속한 이 '직장'이 없어진다면, "인생의 절반이 아무것도 아닌 게 돼버린다"는 설명이다. 전진(35)은 "에너지의 원천"이라고 말했다. "신화가 없었으면 충재(전진의 본명)로 살아야 했다"고 농담하는 에너지도 신화에 속해서 나오는 것일 테다. 다른 멤버들은 "충재가 어때서"라고 따져 묻는다. 

불법도박으로 신화를 잠시 떠나야 했던 앤디(34)에게는 더 특별하다. "신화가 있기에 개개인이 있다"는 그는 "멤버들에게 고맙고 또 미안하다"고 말했다. 전진은 "앤디가 더 열심히 하려는 게 눈에 보인다"고 말을 더했다. 

여섯이 하나같은 신화가 26일 정규 12집 '위(WE)'를 발표한다. 신혜성(36)은 "오랜만에 나오는 앨범인만큼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3년 발표한 정규 11집 앨범 '더 클래식(The Classic)' 이후 1년9개월 만의 새 앨범이다. 김동완(36)은 "팬들이 일반인 코스프레를 해제하고 '신화창조'로 돌아올 때다. 우리도 일반인, 삼촌 모드를 해제하고 아이돌 모드로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앨범에는 모두 10곡이 담겼다. 래퍼 3명, 보컬 3명으로 구성된 신화 멤버들이 고루 빛을 발할 수 있게 신경을 썼다. 이민우는 "몇천 곡의 데모곡 중 좋은 곡을 뽑기 힘들었다. 퍼포먼스를 고려해서 곡을 선정하고 녹음을 진행했다"고 소개했다. "지금 보면 멤버 모두가 발전했다. 노련미가 생겼다"고 덧붙였다. 주도적으로 프로듀싱을 담당한 건 이민우지만, 앨범에는 '프로듀서 신화'라고 명기했다. 

데뷔 초 여자 이야기조차 가사로 쓰기 어려웠던 이들은 '사랑의 섹시함'을 가사로 푸는 여유도 생겼다. 7번 트랙 '기브 잇 투 미(GIVE IT 2 ME)'가 보기다. 이민우가 작사가로 이름을 올린 이 곡은 '후끈 달아올라' '짜릿짜릿 야릇한 밤 되긴 아직 일러' 등의 가사가 어색하지 않게 녹았다. 이민우는 "원래는 더 야했다"고 말했고 김동완은 "마냥 야한 가사가 아니라 민우가 시적으로 잘 뽑아냈다"고 포장했다. 

타이틀곡은 '표적'이다. 동작을 맞추는 '칼군무'가 아닌 다양한 구성을 통해 멤버 개개인을 돋보이게 하는 안무가 함께한다. 이민우는 "사실 댄스 음악은 들었을 때 흥이 나면 그만이다. 하지만 무대와 같이 봤을 때 또 다른 시너지 효과가 나는 게 신화만의 매력이 아닐까. 여섯명이 함께 춤을 췄을 때 멋있을 것 같다"고 기대했다. 멤버들에게는 스파이, 스나이퍼, 보스 등의 역할이 주어졌다.

앨범 발매 소식에 팬클럽 '신화창조'는 호응하고 있다. 이들이 그냥 팬클럽인가. 2007년 열린 신혜성의 단독 콘서트에 최초로 쌀화환을 보내며 이후 쌀화환 응원문화를 만든 팬클럽 문화를 선도하는 팬덤이다. 앨범 발표 전 출연한 예능 프로그램과 프로모션에 대한 반응이 벌써 뜨겁다. 

신화가 17년의 활동을 잇는 데는 이들의 역할이 컸다. 디지털 음원으로 음악이 소비되는 시대에 꾸준히 정규앨범을 내놓는 것도 팬들을 고려한 행보다. 

"정규 앨범 발표는 팬에게 보답하는 마음으로 들려주고 싶었던 음악과 색을 표현하는 겁니다. 하나의 선물이죠."(앤디) "성의입니다. 오래 쉬었다가 활동을 재개하면서 달랑 싱글을 내는 것보다는 정규 앨범을 내놓자는 거죠."(민우) "예전부터 해왔던 일을 할 수 있을 때까지 하는 게 팬들에 대한 최소한의 성의죠."(에릭)

2012년 이후 매년 방이동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진행된 콘서트는 올해도 열린다. 멤버들이 "파티"라고 부르는 콘서트다. 신화가 함께하는 멤버와 팬들을 위해 마련한 선물이다. 그렇다면 아, 어떤 수식어가 좋을까. 수식어가 없어도 좋지 않을까.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병원비 대신 내주고 신생아 매수한 후 양육 과정서 학대한 30대 여성 징역형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병원비 28만원을 대신 내주고 신생아를 매수한 뒤 양육 과정에서 학대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0대 여성에게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징역형의 집행유예가 선고됐다. 인천지법 형사항소5-3부(이연경 부장판사)는 12일(아동복지법상 아동매매와 아동학대)혐의로 기소된 A(36·여)씨에게 1심과 같은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불임인 A씨는 조건 미달로 입양에 어려움을 겪던 중 2018년 1월 25일 인터넷에서 '신생아를 데려가 키우실 분을 구한다'는 글을 보고 B양 부모에게 연락해 병원비 28만8천원을 대신 내주고 매수한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A씨는 아동 매수 4년여 만인 지난 2022년 9월 인천 강화군 주거지에서 파리채와 리모컨으로 B양을 여러 차례 때리는 등 신체적 학대를 하기도 했다. 조사결과 A씨 부부는 B양을 매수한 뒤 출생 신고를 하지 않았고, 예방 접종을 비롯한 필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A씨 부부가 B양의 기본적인 보호·양육과 치료·교육을 소홀히 하는 방임행위를 했다고 보고 이들에게 아동복지법상 아동유기·방임 혐의도 적용해 재판에 넘겼다. 그러나 1심과 항소심 재판부는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