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3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드래곤, 홀로그램 콘서트 '어웨이크'

URL복사

[시사뉴스 조종림 기자] 공연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으로 시작한다. 정면과 좌우를 둘러싼 화면에는 가수 지드래곤(27)의 어린 시절부터 데뷔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영상이 비디오 테이프를 틀어놓은듯 재생된다.

'네 앞에서 GD(지드래곤)가 무엇인지 보여줄게'라는 말과 함께 무대 위에 지드래곤이 등장하지만 사실 관객 앞에 지드래곤은 없다. 지드래곤의 홀로그램 콘서트 '어웨이크(AWAKE)'다.

지드래곤의 과거와 현재, 사랑과 음악에 대한 열정이 주제다. 아티스트 한 명의 일대기를 하나의 이야기로 엮어 낸 단독 리사이틀 형식이다.

공연 러닝타임은 40분이나 촬영은 2박3일이 넘게 걸렸다. 프리-프로덕션은 한 달 이상 거쳤다. 촬영에 필요한 내용을 전부 콘티로 만드는 단계다.

무대에 등장하는 지드래곤을 비롯한 댄서들은 모두 크로마키(합성을 위한 배경)를 뒤에 두고 촬영했다. 소품, 조명 등은 후반 작업으로 완성됐다.

무대를 초현실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홀로그래픽 영상, 3D 입체영상, 프로젝션 맵핑, 증강현실 등 차세대 뉴미디어 기술을 복합적으로 사용했다.

허공에 화면을 띄우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좌우 벽면에 LED 조명을 비춰 영상을 표현하는 미디어 파사드 등을 사용했다. 실시간 합성기술을 이용해 공연 전에 찍은 관객의 사진이 지드래곤이 연기하는 화면 안의 소품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하이라이트 무대는 '니가 뭔데'다. 공연장 한켠에 설치된 카메라 앞에 선 관객의 모습이 메인 무대에 그대로 등장한다. 실시간 HD영상이 공연영상으로 바로 전송되는 텔레프레젠스 기술이다. 관객 한 명을 위해 지드래곤이 세레나데를 불러주는 듯한 경험을 할 수 있다. 관객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코너다.

홀로그램 콘서트만의 특수성을 강조해 가상효과를 극대화하기도 한다. 공연 후반부에는 지드래곤이 실제 사람 크기보다 훨씬 크게 등장하고 동시에 여러 명의 지드래곤이 나오기도 한다.

기술개발을 담당한 닉(nik)의 이상진 대표는 "홀로그램 콘서트 초기에는 리얼리티를 추구했지만 이번 공연에서는 홀로그램만의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며 "홀로그램 콘서트라서 가능한 공연을 꾸몄다"고 말했다.

홀로그램 공연의 한계는 '크렁크'라는 대형 곰인형탈로 극복했다. 지드래곤이 활동할 때 입었던 것이다. 지드래곤은 공연 중 "언젠가 인형 탈을 쓰고 공연장에 와 있을 수 있으니 주위를 잘 둘러보라"고 말한다.

이번 공연을 총괄하는 KT의 이미영 상무는 "크렁크 인형의 퍼포먼스를 보고 팬들은 진짜 지드래곤이 온 게 아닐까 하는 기대를 갖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4월1일부터 동대문 롯데피트인 K-Live. 월요일을 제외한 매일 오후 7·8시.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병원비 대신 내주고 신생아 매수한 후 양육 과정서 학대한 30대 여성 징역형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병원비 28만원을 대신 내주고 신생아를 매수한 뒤 양육 과정에서 학대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0대 여성에게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징역형의 집행유예가 선고됐다. 인천지법 형사항소5-3부(이연경 부장판사)는 12일(아동복지법상 아동매매와 아동학대)혐의로 기소된 A(36·여)씨에게 1심과 같은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불임인 A씨는 조건 미달로 입양에 어려움을 겪던 중 2018년 1월 25일 인터넷에서 '신생아를 데려가 키우실 분을 구한다'는 글을 보고 B양 부모에게 연락해 병원비 28만8천원을 대신 내주고 매수한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A씨는 아동 매수 4년여 만인 지난 2022년 9월 인천 강화군 주거지에서 파리채와 리모컨으로 B양을 여러 차례 때리는 등 신체적 학대를 하기도 했다. 조사결과 A씨 부부는 B양을 매수한 뒤 출생 신고를 하지 않았고, 예방 접종을 비롯한 필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A씨 부부가 B양의 기본적인 보호·양육과 치료·교육을 소홀히 하는 방임행위를 했다고 보고 이들에게 아동복지법상 아동유기·방임 혐의도 적용해 재판에 넘겼다. 그러나 1심과 항소심 재판부는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