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4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하녀들' 이이경 "정말 신나게 놀았다"

URL복사

[시사뉴스 조종림 기자] "지금까지 했던 역할 중에서 제일 신나게 놀았던 것 같아요."

 "잘 놀 수 있을 것 같았다"는 게 이이경이 '하녀들'에 출연한 이유다. 허윤서는 실제 이이경의 성격과도 비슷한 인물이기도 하다. 조현탁 PD도 이이경이 자유롭게 연기할 수 있게 풀어줬다. "이 장면은 네가 한 번 만들어 봐라"는 조 PD의 말에 그는 앵글 안에서 말 그대로 자유롭게 놀았다. 억지스럽지 않게 코믹한 이이경의 연기에 전에 없던 호평이 쏟아졌다.

지난달 종영한 종합편성채널 JTBC 드라마 '하녀들'(극본 조현경·연출 조현탁)에서 배우 이이경(26)은 철없는 양반 '허윤서'를 연기했다. 허윤서는 다소 무거운 분위기의 극에 활기를 불어 넣는 인물. 아내가 있으면서도 끊임없이 다른 여자를 찾아 헤매는 철없는 양반집 아들이다.

 "감독님이 저한테는 귀인이에요. 신인인 제게 그렇게 장면을 믿고 맡기는 게 쉽지 않거든요. 거의 다 애드리브였어요. 덕분에 더 편하게 했어요."

그는 데뷔 후 불량한 고등학생(드라마 '학교 2013'), 소시오패스 살인마의 수행비서(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 등 강하고 거친 역할을 주로 맡았다. 김기덕 감독의 영화('일 대 일'), 이송희일 감독의 퀴어영화('백야') 등에도 출연하며 활동 폭을 넓히기도 했다. 데뷔한 지 햇수로 3년 동안 우정출연까지 포함해 모두 15건의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했으니 배우로서 열심히 달려온 셈이다. 하지만 그는 그동안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이경은 '하녀들'을 "디딤돌 같은 작품"이라고 말했다. 지금까지 주로 딱딱하고 어두운 캐릭터를 연기했다면, 밝고 재밌는 역할도 잘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준 작품이기 때문이다.

어둡고 무거운 역과 밝고 가벼운 역 중 어떤 게 더 연기하기 편하냐는 질문에 이이경은 "편한 연기는 없다"고 사뭇 단호하게 답했다. 그러면서 "가볍고 재밌는 역할이 성격과 더 맞지만 그렇다고 연기가 쉽고 편하지는 않다"는 것이다.

 "두 역할을 연기하는 게 되게 달라요. 묵직한 역은 느낌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흔히 말하는 눈빛이나 손짓으로 모든 것을 표현해야 하죠. 반대로 가벼운 역은 전달해야 할 대사가 많고 행동도 많아서 디테일을 잘 살리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이이경은 '하녀들'에 이어 바로 tvN의 새 드라마 '초인시대'에 캐스팅 돼 촬영에 들어갔다. '초인시대'는 25살까지 동정을 떼지 못하면 초능력이 생긴다는 우스갯소리를 모티브로 한 코미디 드라마다. 이이경은 주인공 '이경' 역을 맡았다. '하녀들'에 이어 이번에도 이이경의 코미디 연기를 볼 수 있다.

쉬지 않고 달리는 이이경에게 쉬고 싶지 않냐고 묻자 그는 "안 쉰다. 쉬는 건 별로다"라고 딱 잘라 말했다. "올해는 더욱 쉼 없이 달려보고 싶다"는 이이경의 올해 목표는 현재 tvN에서 방송 예정인 '응답하라 1988'에 출연하는 것이다. 시청자의 공감대를 자극할 수 있는 생활연기에 도전하고 싶기 때문이다.

 "더 다양한 역할을 해 보고 싶어요. 보여드릴 게 많아요."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