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3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문화

배우 수현, "이들과 작업을 했다는 게 잘 믿기지 않아"

URL복사

[시사뉴스 조종림 기자] 배우 수현(30)은 "감독을 신뢰하고 다른 배우들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했다"며  "원작의 캐릭터에 더 다양한 색을 입히기 위해 노력했어요." 라고 말했다. 그가 말하는 감독은 '어벤져스:에이지 오브 울트론'을 연출한 조스 웨던, 그가 말하는 배우는 아이언맨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헐크 마크 러팔로, 캡틴 아메리카 크리스 에번스 등 할리우드의 슈퍼스타들이다.

수현은 2억5000만 달러(한화 약 2720억원)의 천문학적인 제작비가 투입되고, 최소 예상 수입만 15억 달러(한화 1조6300억원)에 달하는, 할리우드에서도 가장 큰 규모의 블록버스터 영화에 출연했다. 바로 '어벤져스:에이지 오브 울트론'(이하 '어벤져스2')이다.

17일 서울 여의도 한 호텔에서 열린 '어벤져스2' 기자회견에 참석한 수현은 이날 함께 자리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마크 러팔로, 크리스 에번스, 조스 웨던 감독과 스스럼없이 어울리는 모습이었다. 기자회견 중간중간 다른 배우들과 끊임없이 대화했고 다우니 주니어, 러팔로, 에번스는 기자회견 내내 수현을 칭찬하고 배려했다.

"한국에서 정식으로 인사드릴 수 있게 돼 기쁘다"고 입을 뗀 그는 "지금도 이들과 함께 영화 작업을 했다는 게 잘 믿기지 않는다. 황홀했고 평생 잊지 못할 기억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현은 2005년 한중 슈퍼모델 선발대회로 연예계에 데뷔했다. KBS 드라마 '브레인' 등 다수의 드라마에 출연했지만, 큰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 그랬던 그가 '어벤져스2'로 영화에 데뷔하면서 국내 영화팬을 놀라게 했다. 지난해 초 그의 '어벤져스'시리즈 출연 소식이 알려지면서, 수현이라는 이름이 일주일 내내 검색어 순위 상위권에 오르기도 했다.

수현이 '어벤져스2'에서 맡은 역할은 '닥터 헬렌 조'다. 유전공학 박사로 어벤져스 팀의 치료를 담당하는 인물이다. 이날 기자회견에 앞서 상영된 '어벤져스:에이지 오브 울트론-풋티지 상영회'에서는 수현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아이언맨이 호크아이의 치료를 맡기기 위해 닥터 조를 부르라고 말하는 장면 뒤에 수현이 등장한다.

이 영상을 통해 볼 때 닥터 조 역시 이 시리즈 특유의 유머러스함을 갖춘 인물로 보인다. 아이언맨 토니 스타크와 농담 섞인 말을 주고받고, 파티에 오라는 스타크의 제안을 거절했다가도 토르가 오느냐고 묻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수현은 "감독, 출연배우들과 많은 대화를 나누면서 연기했다"고 전했다. 짧은 영상이었지만, 어벤져스 멤버들과 이물감 없이 섞이는 모습을 보여줬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수현을 따로 언급하며 "훌륭한 연기를 보여줬다. 사실 놀랍지는 않았다. 한국에 좋은 배우들이 많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수현과 어벤져스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어벤져스:에이지 오브 울트론'은 23일 국내 개봉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병원비 대신 내주고 신생아 매수한 후 양육 과정서 학대한 30대 여성 징역형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병원비 28만원을 대신 내주고 신생아를 매수한 뒤 양육 과정에서 학대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0대 여성에게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징역형의 집행유예가 선고됐다. 인천지법 형사항소5-3부(이연경 부장판사)는 12일(아동복지법상 아동매매와 아동학대)혐의로 기소된 A(36·여)씨에게 1심과 같은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불임인 A씨는 조건 미달로 입양에 어려움을 겪던 중 2018년 1월 25일 인터넷에서 '신생아를 데려가 키우실 분을 구한다'는 글을 보고 B양 부모에게 연락해 병원비 28만8천원을 대신 내주고 매수한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A씨는 아동 매수 4년여 만인 지난 2022년 9월 인천 강화군 주거지에서 파리채와 리모컨으로 B양을 여러 차례 때리는 등 신체적 학대를 하기도 했다. 조사결과 A씨 부부는 B양을 매수한 뒤 출생 신고를 하지 않았고, 예방 접종을 비롯한 필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A씨 부부가 B양의 기본적인 보호·양육과 치료·교육을 소홀히 하는 방임행위를 했다고 보고 이들에게 아동복지법상 아동유기·방임 혐의도 적용해 재판에 넘겼다. 그러나 1심과 항소심 재판부는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