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문화

김승우 '심야식당' 마스터, "손님과 함께 웃고 울겠다"

URL복사

 [시사뉴스 조종림 기자] 모든 식당이 문을 닫은 밤 12시. 김승우(46)의 '심야식당'(극본 최대웅, 홍윤희·연출 황인뢰)은 문을 연다.

오는 5일부터 매주 토요일에서 일요일로 넘어가는 0시10분 SBS에서 방송되는 드라마 '심야식당'은 자정부터 오전 7시까지 영업하는 독특한 식당과 이 곳을 찾는 손님들의 이야기를 담는다.

정해진 메뉴 없이 손님이 원하는 음식으로 허기 뿐 아니라 마음까지 달래주는 식당인 만큼 식당 주인 '마스터'의 역할이 핵심이다.

"음식을 만드는 것과 동시에 손님의 기쁜 일에 같이 기뻐하고, 슬픈 일에 같이 울어주는 '마스터'를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마스터'를 맡아 극을 이끄는 김승우의 각오다. 그는 첫 방송에 앞선 3일 제작발표회에서 "우리 집 앞에도 이런 식당, 사람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게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심야식당'은 동명의 일본만화가 원작이다. 일본에서는 이미 드라마와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우리나라에서도 인기를 끌었던 터라 캐스팅 소식을 들었을 때 김승우는 "좋아서 죽는 줄 알았다"면서도 한편으로 "부담스럽기도 했다"고 고백했다.

"(고바야시 가오루가 연기하는)'마스터' 캐릭터에 대한 충성심도 대단하잖아요. 하지만 촬영을 계속 하다보니 제가 진심을 다해 연기한다면 시청자들에게도 그 마음이 통할 것이라는 믿음이 생겼어요."

현재는 "투박한 칼질 정도만 실제로 하고 있다"는 김승우의 발전하는 요리 실력도 기대해 볼 수 있을 듯하다.

"'김승우가 저 정도야?' 싶을 정도로 현란한 칼질은 제가 한 게 아니에요. 어쩔 수 없이 전문인이 들어갔어요. 하지만 촬영하면서 매회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대역도 거의 안 쓸 생각입니다."

김승우는 '심야식당'을 "몸에 좋은 재료만 가지고 만드는 중독성 있는 음식"이라고 표현했다. 자극적인 소재는 없지만 보고 나면 마음이 따뜻해지고 한 번 더 보고 싶은 드라마가 됐으면 하는 마음이다.

5일 첫 방송에는 뒷골목 건달이지만 따뜻한 마음을 가진 '류'(최재성)와 의지할 데 없이 아르바이트로 생활을 유지하는 고학생 '민우'(남태현)가 심야식당을 찾는 김가래떡구이편이 방송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병원비 대신 내주고 신생아 매수한 후 양육 과정서 학대한 30대 여성 징역형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병원비 28만원을 대신 내주고 신생아를 매수한 뒤 양육 과정에서 학대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0대 여성에게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징역형의 집행유예가 선고됐다. 인천지법 형사항소5-3부(이연경 부장판사)는 12일(아동복지법상 아동매매와 아동학대)혐의로 기소된 A(36·여)씨에게 1심과 같은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불임인 A씨는 조건 미달로 입양에 어려움을 겪던 중 2018년 1월 25일 인터넷에서 '신생아를 데려가 키우실 분을 구한다'는 글을 보고 B양 부모에게 연락해 병원비 28만8천원을 대신 내주고 매수한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A씨는 아동 매수 4년여 만인 지난 2022년 9월 인천 강화군 주거지에서 파리채와 리모컨으로 B양을 여러 차례 때리는 등 신체적 학대를 하기도 했다. 조사결과 A씨 부부는 B양을 매수한 뒤 출생 신고를 하지 않았고, 예방 접종을 비롯한 필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A씨 부부가 B양의 기본적인 보호·양육과 치료·교육을 소홀히 하는 방임행위를 했다고 보고 이들에게 아동복지법상 아동유기·방임 혐의도 적용해 재판에 넘겼다. 그러나 1심과 항소심 재판부는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