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대한민국 대표 노처녀 '막영애14' 김현숙 "박수칠 때 떠날 시기 지나…더 열심히 하겠다"

URL복사

국내 최장수 시즌제 드라마…10일 오후 11시 첫 방송

 [시사뉴스 조종림 기자] "박수칠 때 떠날 수 있는 시기는 이미 지난 것 같습니다. 스스로 그만 두기엔 식솔들이 많아졌네요. 교만하지 않고 더욱 열심히 하겠습니다."

개그우먼 출신 탤런트 김현숙(37)은 7일 서울 영등포 타임스퀘어 아모리스홀에서 tvN 새 월화드라마 '막돼 먹은 영애씨 시즌14'(이하 '막영애14') 제작발표회에서 시즌 14로 돌아온 소감을 이같이 밝혔다.

이날 김현숙을 비롯해 이승준, 라미란, 윤서현, 정지순, 김산호, 송민형, 김정하, 고세원, 정다혜, 박두식, 현영(레인보우), 박선호, 한상재 PD 등이 참석했다.

'막영애'는 대한민국 대표 노처녀 이영애(김현숙)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직장인들의 애환과 30대 여성들의 삶을 현실적으로 담은 드라마다. 지난 2007년 4월 첫 방송된 이후 꾸준히 사랑을 받고 있다.

이번 시즌14에서는 창업으로 사장이 된 영애가 '갑'은 커녕 '을'보다도 못한 '병' '정' 인생을 경험하게 되는 이야기가 유쾌하게 펼쳐진다. 또 이전 시즌에서 영애와 파혼했던 김산호(김산호)가 재합류해 영애-승준(이승준)을 둘러싼 러브라인이 새로운 국면을 맞을 예정이다.

김현숙은 "많은 사람들이 영애씨를 오랜 시간하면서 이미지가 굳어질까봐 걱정하는데 난 그런 걱정이 없다"며 "'영애'라는 한 캐릭터만으로도 과분하고 이걸 어떻게 하면 더 잘할 수 있을까 고민도 했다"고 말했다.

이어 "많은 분이 사랑해 주시기 때문에 나 혼자 결정하는 시기는 지난 것 같다"며 "초심을 잃지 않고 최선을 다해 연기하겠다"고 덧붙였다.

김현숙은 결혼 후 달라진 점을 묻는 질문에 "크게 달라진 점은 없다"며 "결혼 후 촬영을 하면서 좋은 점이 있다. 결혼 후에도 합법적인 연애가 가능하다는 것이 너무 좋다"고 말했다.

이어 "노처녀 연기를 하던 제가 결혼을 해서 바뀐 점이 있냐고들 물어보시는데, 결혼을 하고 아이도 낳다 보니 감정이 깊어진 것 같다"며 "연기하면서 감정신을 할 때 눈물이 잘 나온다. 나는 육아보다는 일 체질이라는 걸 알았다"고 밝혔다.

라미란은 "라과장에서 라상무로 승진했다"고 자신의 역할을 소개하며 "1년 만에 대본 리딩을 하는데 처음에는 라과장이 어떤 사람이었는지 기억이 안 났는데, 욕설 한 마디 하니 라과장이 바로 다시 떠올랐다"고 말했다.

라미란은 "사실 내 의상이 시즌마다 변하지 않고 있는데 그 의상이 맞지 않을 지경이 됐다. 그래서 다이어트를 하게 됐다"며 "운동이나 식단 조절 같은 게 아니라 말하기 뭐하다. 약 먹고 굶고 그렇게 빼고 있다. 어디 가서 말하지 말아달라"고 당부해 웃음을 자아냈다.

한상재 PD는 "지금까지는 매주 1회 방송했는데, 이번부터는 2회를 방송할 수 있게 됐다"며 "'갑' '을' 뿐만 아니라 '병' '정'도 있다는 사회 구조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국내 최장수 시즌제 드라마 '막돼먹은 영애씨'는 오는 10일 오후 11시 첫 방송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병원비 대신 내주고 신생아 매수한 후 양육 과정서 학대한 30대 여성 징역형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병원비 28만원을 대신 내주고 신생아를 매수한 뒤 양육 과정에서 학대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0대 여성에게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징역형의 집행유예가 선고됐다. 인천지법 형사항소5-3부(이연경 부장판사)는 12일(아동복지법상 아동매매와 아동학대)혐의로 기소된 A(36·여)씨에게 1심과 같은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불임인 A씨는 조건 미달로 입양에 어려움을 겪던 중 2018년 1월 25일 인터넷에서 '신생아를 데려가 키우실 분을 구한다'는 글을 보고 B양 부모에게 연락해 병원비 28만8천원을 대신 내주고 매수한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A씨는 아동 매수 4년여 만인 지난 2022년 9월 인천 강화군 주거지에서 파리채와 리모컨으로 B양을 여러 차례 때리는 등 신체적 학대를 하기도 했다. 조사결과 A씨 부부는 B양을 매수한 뒤 출생 신고를 하지 않았고, 예방 접종을 비롯한 필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A씨 부부가 B양의 기본적인 보호·양육과 치료·교육을 소홀히 하는 방임행위를 했다고 보고 이들에게 아동복지법상 아동유기·방임 혐의도 적용해 재판에 넘겼다. 그러나 1심과 항소심 재판부는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