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씨그널' JTBC와 손 잡고 드라마 '송곳' 공동 제작

URL복사

[시사뉴스 조종림 기자] 씨그널엔터테인먼트그룹(이하 씨그널)이 JTBC와 손을 잡고 드라마 ‘송곳’을 공동 제작한다.

하반기 안방 기대작 중 하나인 ‘송곳’은 ‘공룡 둘리에 대한 슬픈 오마주’, ‘습지 생태보고서’, ‘대한민국 원주민’ 등 우리 사회의 현실을 반영한 작품들로 만화계 입지를 다져온 최규석 작가의 작품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

시트콤 ‘올드미스다이어리’, ‘청담동 살아요’ 등을 연출한 김성윤 JTBC제작기획국장이 직접 메가폰을 잡고, ‘올드미스다이어리’와 ‘조선명탐정’을 함께한 이남규, 김수진 작가가 각본을 책임진다.

올해 상반기 KBS드라마 단막극 4편을 시작으로 드라마제작에 뛰어든 씨그널은 최근 SBS와 12회의 단막극 제작도 체결했다.

현재 인기리에 방영된 ‘옥탑방 고양이’의 구선경 작가와 ‘1%의 어떤 것’ ‘인연만들기’ ’빛나거나 미치거나’ 등의 원작자이자 각색가인 현고은 작가 등 스타 작가들과 집필계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드라마제작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JTBC ‘송곳’은 씨그널의 첫 미니시리즈다.

회사 측은 “이미 예능프로그램 제작에서는 선두업체”라며 “올해 시작한 드라마사업도 본격적으로 스타작가들을 영입하며 웰메이드 드라마 제작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기에 선두권으로 부상하게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씨그널은 지난 2월 씨그널정보통신에서 사명을 씨그널엔터테인먼트그룹으로 변경했다. 앞서 탤런트 송승헌과 작곡가 방시혁이 CD투자자로 참여했다. 시네마서비스 대표를 지낸 김정상 씨가 현재 총괄사장을, 전 CJ엔터테인먼트 대표를 역임한 김정아 씨가 영상사업부 사장을 맡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병원비 대신 내주고 신생아 매수한 후 양육 과정서 학대한 30대 여성 징역형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병원비 28만원을 대신 내주고 신생아를 매수한 뒤 양육 과정에서 학대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0대 여성에게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징역형의 집행유예가 선고됐다. 인천지법 형사항소5-3부(이연경 부장판사)는 12일(아동복지법상 아동매매와 아동학대)혐의로 기소된 A(36·여)씨에게 1심과 같은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불임인 A씨는 조건 미달로 입양에 어려움을 겪던 중 2018년 1월 25일 인터넷에서 '신생아를 데려가 키우실 분을 구한다'는 글을 보고 B양 부모에게 연락해 병원비 28만8천원을 대신 내주고 매수한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A씨는 아동 매수 4년여 만인 지난 2022년 9월 인천 강화군 주거지에서 파리채와 리모컨으로 B양을 여러 차례 때리는 등 신체적 학대를 하기도 했다. 조사결과 A씨 부부는 B양을 매수한 뒤 출생 신고를 하지 않았고, 예방 접종을 비롯한 필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A씨 부부가 B양의 기본적인 보호·양육과 치료·교육을 소홀히 하는 방임행위를 했다고 보고 이들에게 아동복지법상 아동유기·방임 혐의도 적용해 재판에 넘겼다. 그러나 1심과 항소심 재판부는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