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부삼 기자]여야는 15일 선거구 획정을 위해 ‘400분’이 넘는 마라톤 협상을 진행하며 담판을 시도했으나 합의에 결국 실패했다. 여야가 총선 120일전 예비후보등록일인 이날까지도 선거구획정에 실패하면서 내년 4월 총선 일정 차질이 불가피해질 가능성이 농후해지면서 무책임한 정치권이라는 비난 여론을 피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원유철 원내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이종걸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11시15분부터 정의화 국회의장 주재로 선거구획정 담판 협상에 돌입했다.
여야 지도부는 이어 6시간40분 가량이 지난 오후 5시50분 협상 종료까지 협상장을 떠나지 않고 그야말로 마라톤협상을 벌였다.
여야는 이날 협상에서 선거구획정과 함께 정부 여당이 요구한 노동법 개정안 등 쟁점법안을 협상 테이블에 올리는 투트랙 협상을 이어갔다.
특히 현기환 청와대 정무수석이 여야 지도부 협상 직전 정의화 국회의장을 찾아와 “선거구 협상도 중요하지만 쟁점법안이 더 중요하다”며 청와대의 강한 의지를 전달했다. 이같은 청와대의 압박에 따라 협상은 선거구획정과 쟁점법안이 동시에 논의됐다.
여야는 우선 선거구획정에 대해선 비례대표를 7석 줄여 지역구를 7석 더하는 데는 잠정 합의했다. 그러나 비례대표 배분 방식에 대해서는 여야의 종전 입장이 되풀이되며 돌파구를 찾지 못했다. 이런 가운데 새정치연합은 연동형비례대표제를 포기하는 대신 고등학생을 제외한 만18세로 선거연령을 인하하는 안을 중재안으로 제시했다.
이에대해 새누리당은 선거연령 인하안을 받아주는 대신 노동법 개정안 등 쟁점법안을 일괄 처리해 달라고 역제안으로 맞섰다.
김무성 대표는 협상 결렬 뒤 기자간담회에서 “노동 5법까지 합의 통과 시킨다면 18세 선거 연령 인하를 받을 수 있겠다고 했지만 이것마저도 (야당은) 거부했다”며 “경제 관련 법안에 대해 오해가 있는 것 같아 윤상직 산업부 장관도 불러 의견도 들었지만 결국 협상이 결렬될 수밖에 없었다”고 협상책임을 야당에 넘겼다.
새정치연합 이종걸 원내대표도“실망스럽다”는 한마디로 협상결렬의 책임을 새누리당에 넘겼다.
이 원내대표는 그러면서도 쟁점법안 처리에 대해 “이것은 여야의 입장 차이에 따른 협상의 문제이지, 국가비상사태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의장에게 어떤 일이 있더라도 끝까지 협상에 중재하도록 요청했고, 절대로 직권상정은 있을 수 없다는 말을 거듭 드렸다”고 강조했다.
정의화 의장 역시 쟁점법안 직권상정 처리 문제에 대해 불가 입장을 거듭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