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문화

2015 방송가 키워드…금토드라마, 음악 예능, 쿡방

URL복사

 v

[시사뉴스 조종림 기자] 금토 드라마, 음악 예능 및 쿡방이 올 한 해 방송가의 화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CJ E&M은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총 49주간 지상파 3사 및 tvN, Mnet, OnStyle, O'live, XTM, OCN, OtvN 등 CJ E&M의 7개 채널에서 방영된 총 184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콘텐츠파워지수’를 조사했다. ‘콘텐츠파워지수 (CPI)’는 CJ E&M과 닐슨코리아가 2012년에 공동으로 개발한 지표다. 화제성(뉴스 구독 순위), 관심·관여도(직접 검색 순위), 몰입도(SNS 등 소셜미디어 버즈 순위) 등을 반영해 통합지수를 산출한다.

올 해 CPI 통합순위 1위는 총 298점을 얻은 tvN 금토드라마 ‘응답하라 1988’이 차지했다. 아날로그식 사랑과 우정, 평범한 소시민들의 가족 이야기로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참여도와 관심·관여도에서 특히 높은 점수를 받아 CPI 정상에 오르는 성과를 거뒀다.

금토 드라마의 돌풍도 눈에 띈다. ‘응답하라 1988’ 외에도 4위에 오른 KBS2 ‘프로듀사’를 비롯해 tvN ‘오 나의 귀신님’, tvN ‘두번째 스무살’이 통합순위 30위권에 오르며 ‘금토드라마’라는 편성이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았다.

예능프로그램의 약진도 두드려졌다. 지난해 CPI 1위부터 10위 중 MBC ‘무한도전’을 제외한 9개 콘텐츠가 모두 드라마였던 것에 비해, 올해는 10위권에 4개나 올랐다. MBC ‘무한도전 (3위)’, MBC ‘복면가왕(5위)’, Mnet ‘쇼미더머니4(7위)’, tvN ‘삼시세끼 어촌편(9위)’이 10위권에 집인해 예능 프로그램의 약진을 증명했다. 특히 MBC ‘복면가왕’, Mnet ‘쇼미더머니4’ 등 음악을 주제로 한 예능 프로그램의 인기가 지속됐다.

백종원의 요리방송으로 화제가 된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 tvN ‘삼시세끼 어촌편’, tvN ‘삼시세끼 정선편’도 30위권에 이름을 올려 ‘먹방(먹는방송)’에서 ‘쿡방(요리방송)’으로 진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