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

백화점업계, 신년세일 마지막 주말 총력전 돌입

URL복사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백화점업계가 신년세일 마지막 주말을 맞아 판매율을 높이기 위해 총력전에 돌입한다.

신년 세일은 그해 소비심리를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가 될 수 있다. 백화점 업계에서는 지난해 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올해 초 실시되고 있는 신년세일에 사활을 걸고 있다.

현재까지의 분위기는 좋다. 롯데·현대·신세계 등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두자릿수 이상 높은 판매율을 올리는 등 양호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오는 15~17일 패딩·코트·모피 등 겨울 아우터 상품을 최대 70% 할인 판매한다.

롯데백화점 본점, 잠실점, 영등포점 등 총 21개 수도권 점포에서는 '스포츠 겨울 상품전'을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나이키, 휠라스포츠 등 총 10여개 브랜드가 참여해 스포츠 패딩 상품 등을 최대 70% 할인 판매한다.

본점은 9층 행사장에서 '여성·영패션 겨울상품 대전'을 선보인다. 쉬즈미스, 엔클라인, 라인, 케네스레이디 등 총 27개 브랜드가 참여해 아우터 상품을 최대 70% 할인 판매한다.

잠실점과 영등포점에서는 13~17일 '겨울 맞이 스카프, 머플러 대전'을 진행한다. 메트로시티, 루이까또즈, 엘르 등 총 7개의 잡화 브랜드가 참여하며, 스카프, 밍크 머플러 등을 최대 70% 할인 판매한다.

롯데프리미엄아울렛 파주점에서는 14~20일 '아웃도어 방한 의류 특집전'을 진행한다. 머렐, 네파 등의 브랜드가 참여해 최대 70% 할인 판매한다.

현대백화점은 신년세일 마지막 주말을 맞아 '겨울 상품 특가전'을 진행한다.

먼저 압구정본점, 무역센터점, 천호점, 목동점, 중동점 대행사장에서는 '삼성물산 패션위크'를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갤럭시, 로가디스, 엠비오 등 삼성물산의 남성 7개 브랜드가 참여해 아우터, 정장, 코트 등을 최대 50% 할인 판매한다.

해당 기간 동안 현대백화점카드로 삼성물산 브랜드 구매하는 고객대상으로 현대백화점 상품권도 증정한다. 구매 금액별 상품권도 제공한다. 신촌점 본관 5층 대행사장에서는 '아디다스 할인전'을 진행한다. 의류, 신발 등을 40~80% 할인 판매한다.

AK플라자는 신년세일 마지막 주말 기간 동안 설 선물세트 예약판매 30만원 이상 고객과 상품권 및 기프트카드 50만원 이상 구매 고객에게 금액대별 5% 상품권을 증정한다.

분당점은 5층 이벤트홀에서 '여성의류 아우터 대전'을 열고 겨울 아우터를 최고 70%까지 할인한다. 지고트, 아이잗바바, 모조에스핀, 데코 등 9개 여성의류 브랜드가 참여한다.

아이잗바바 구스다운점퍼를 9만원에, 두노 오리털 패딩점퍼를 14만8000원에, 아이잗컬렉션 핸드메이드 코트를 37만9000원에 판매한다.

또 4층 행사장에서는 베어파우, 폴로, 카믹, 헤드 등의 스포츠 방한부츠를 20~50% 할인 판매한다.

수원 AK타운점은 5층 이벤트홀에서 '해외명품 고객초대전'을 열고 프라다, 구찌, 페라가모, 멀버리 등을 15~40%까지, 노비스, 몽클레어 등 프리미엄 패딩을 30% 할인 판매한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세일 마지막 3일을 맞아 대대적인 겨울 상품 할인전을 진행한다"며 "특히 늦추위로 패딩 등 겨울 상품 물량을 늘린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