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기업단신

센스있는 추석 선물 고민이라면? MZ세대 PICK 셀프 헤어 스타일링 추천 아이템

URL복사

[시사뉴스 김남규 기자] 다가오는 추석을 맞이해 유통업계가 다양한 선물세트를 출시하고 있다. 추석 선물의 선택 폭이 다양해지면서 센스있는 선물을 고민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는 요즘, ‘셀프 스타일링’을 선호하는 MZ세대를 중심으로 헤어 스타일링 제품이 인기 있는 선물로 떠오르고 있다. 추석 선물로 실패 없을, 헤어 브랜드 보다나의 추천 아이템을 소개한다.

 

평범한 일상 속 색다른 스타일링을 선사하는 트리플 플로우 물결고데기

 

 

헤어는 스타일링 방법에 따라 작은 변화만으로도 큰 만족감을 선사한다. 그만큼 헤어는 조금만 변화를 줘도 눈에 띄는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추석 선물로 추천하는 제품이 바로 보다나 ‘트리플 플로우 물결고데기 32mm’이다. 이 제품은 부드러운 곡선형의 S자 내장 열판으로 모발을 집어주기만 하면 누구나 쉽고 빠르게 물결웨이브 스타일을 완성할 수 있어 올 가을 색다른 스타일링을 원하는 이들에게 특별한 선물이 될 것이다.

 

풍성한 S컬 웨이브 연출로 우아한 분위기를 선사하는 글램웨이브 봉고데기

 

'글램웨이브 봉고데기 아이보리 무드'는 특수 설계 글러브와 세라믹 코팅 열판으로 부드러운 사용감이 특징이다. 특히 열판과 손잡이를 분리 설계하여 보다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 재생지를 활용한 친환경 패키지는 가치소비를 중시하는 MZ세대를 중심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어디서나 자유로운 스타일링을 위한 무선 미니 고데기 2종 

 

 

보다나의 무선 미니 고데기는 여행과 캠핑을 즐기는 이들에게 특히 실용적인 선물로 환영받고 있다. ‘보다나X키르시 무선 미니 고데기 체리시 에디션’은 핑크 컬러의 미니 사이즈 봉고데기와 판고데기에 헤어 리본을 묶은 두들 체리가 그려진 사랑스러운 디자인으로, 헤어브랜드 보다나와 트렌디한 의류 브랜드 ‘키르시’의 콜라보로 탄생한 제품이다. 가방에 쏙 들어가는 미니 사이즈의 체리시 에디션은 전용 열 보호캡이 포함된 구성으로 안전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고, 완충 시 최대 40분 동안 자유로운 무선 스타일링이 가능하다. 3단계의 온도 설정 기능을 갖추어 모발 상태에 따라 적정 온도로 스타일링 할 수 있다.

 

보다나는 8월 29일부터 오는 9월 18일까지 공식 홈페이지에서 2022 보다나 Autumn Sale을 진행한다. 고데기, 드라이기, 에센스 및 뷰티소품 등 보다나의 다양한 제품을 최대 65% 할인가로 만나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보다나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