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회원사 홍보담당자 및 제약바이오산업 담당기자 간의 공감대 형성과 교류를 강화하기 위해 24일 협회 4층 대강당에서 '2025 KPBMA 커뮤니케이션 포럼'을 개최했다.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의 현안으로 불안정한 통상환경 변화 속 취해야 할 공공 연구개발(R&D) 정책 확대와, 인공지능(AI) 신약 개발을 위한 새로운 협력 전략이 제시됐다.
이날 포럼은 참석자들이 제약바이오산업 현안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도록 심도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
먼저, 김혁중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이 ‘트럼프 2기 정책 변화와 한미 관세 협상에 따른 제약바이오 산업의 기회와 위험 요인 ’을 발표했다.
김 연구위원은 "제약바이오 관세 정책은 아직 구체적 윤곽이 나오지 않은 상황으로, 전반적으로 관세율이 현실적인 수준으로 조정이 되고 있다"며 "미국에서 지난 4월부터 시작한 무역확장법 232조 법정기한에 따라 늦으면 내년 4월 말 정도 제약바이오 관세 매겨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 연구위원은 "대부분의 국가가 232조 관세로 인해 타격을 받는다. 협상을 하는 나라는 관세 폭이 줄어드는 의의가 있다"며 "시나리오에 따르면 한국의 경우 협상을 통해 18억 달러(약 2조6,512억원) 정도의 손해를 절감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제약바이오 산업의 경우 25% 관세만 부과해도 괴멸적인 타격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25~250%의 다양한 관세율을 이야기했으나, 50% 이상은 실현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첨언했다.
이어 표준희 한국제약바이오협회 AI신약연구원 원장은 ‘AI 신약개발 자율화 시스템 ’에 대해, 발표를 이어갔다.
표 원장은 "현재 AI 기술 유입에 투자를 많이 한 기업들은 전체 파이프라인 개발 기간의 2~3년을 단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신약개발 자율화 시스템은 단일 AI가 아닌 여러 에이전트의 집합체로서 각각의 전문성을 가지고 서로 협업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며 "하나의 연구소와 같은 환경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표 원장은 'AI 기반 자율실험실'(SDL) 개념에 대해 설명했다. SDL은 AI와 로봇이 실험의 설계부터 분석까지 스스로 수행하는 지능형 연구 시스템이다.
AI가 데이터로 최적 조건을 도출하고 실험계획을 설계하면, 로봇이 설계된 프로토콜에 따라 신약물질을 합성·제작하는 것이다. 테스트 과정을 통해 자동화 분석시스템으로 반응 결과 측정 데이터 확보하면, 데이터를 분석해 AI가 다음 실험 설계를 개선을 반복한다.
표 원장은 "앞으로 이런 AI 자율실험실이 많이 구축돼 기업간 다양한 협업을 해나간다면 관련 기술이 발전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어 조원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보건의료수석전문위원이 ‘새 정부의 보건의료 정책과 약가제도 개선방향’ 발표를 이어갔다.
조 수석전문위원은 보건의료 정책 변화와 약가제도 개선 방향을 설명하고 제약바이오산업에 미칠 영향을 짚었다.
발표 후에는 각 세션별 질의응답 시간과 별도의 홍보·프레스 교류 시간이 마련돼 참석자 간 활발한 의견 교환이 이뤄졌다.
협회 관계자는 “이번 포럼은 제약바이오산업의 정책적· 산업적 과제를 공유하고, 언론과의 협력 방향을 함께 고민하는 의미 있는 자리” 라며 “제약바이오산업 홍보담당자와 기자들이 함께 산업의 지속성장 방안을 논의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