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문화

대구전국체육대회 4일째 정식종목이 되는 그날까지 치열한 메달쟁탈전

URL복사

대구시 동호회종목을 빛낸 알찬 자원봉사단 활약

지난 11일에 개막한 전국체전이 4일째 접어들고 있다.

 

제93회 전국체육대회에 동호인 종목인 족구가 14일 대구시민운동장 보조경기장에서 치러졌다.

 

 

이날 경기에 내빈으로 대한족구협회 송영우 회장, 대한족구협회 상임부 회장, 대구시족구협회 박삼식 회장, (사)자원봉사단 만남대구지부늘푸른자원봉사단(이하 만남대구지부) 남문기 대표, 조원진 국회의원이 참석했다.

 

전국 16개 시·도협회에서 우승한 최강팀만 선발된 선수단은 남·여 일반부, 남·여 고등부, 남·여 대학부가 참가해 치열한 메달쟁탈전을 펼쳤다.

 

송영우 대한족구협회장은 “오늘 제93회 전국체육대회에 실시하는 족구경기는 대한체육회 가맹 경기단체로의 한걸음 더 다가서는 밑거름이 될 것이며 이것은 그동안 족구인 모두 엘리트 체육의 활성화와 체육의 활성화와 족구의 세계화를 위한 노력의 결과이다”라며“전국선수단 및 임원여러들께서는 모두 힘을 모아 족구가 세계속의 스포츠로 부각되고, 대한체육회 정식가맹 경기 종목으로 승인 되도록 힘을 모아 줄 것을 당한다”고 말했다.

 

박삼식 대구시족구협회장은 “ 이 대회는 참가한 선수 여려분들의 시도를 대표해 참가한 만큼 최선을 다해주시고, 그동안 갈고닦은 기량을 마음껏 발휘해 우리 족구협회가 대한 체육회정식종목으로 빠른시일 내 채택될 수 있도록 힘을 모아 주시기 바란다”고 밝혔다.

 

이날 경기에 주최측인 대구시는 여자일반 2위(만남대구지부), 남자일반 3위, 고등부(대륜고등학교)가 4위를 차지하는 쾌거를 얻었다.

 

평소에도 대구·경북일대에서 크고 작은 각종 문화행사는 물론 환경정화활동에 앞장서고 있는 만남대구지는 이날 경기에도 경기보조 진행요원, 식전행사 의전팀, 상시대기로 활약한 의료팀, 선수단의 응원으로 꾸미야 관악대로 많은 활약을 지역선수단은 물론 많은 사람들에게 귀감이 됐으며,평소 족구에 대한 애착과 많은 관심과 동호회를 활발하게 이끈 (사)만남대구지부에게 한국족구협회가 감사패를 수여했다.

 

우리의 멋과 문화를 스스로 자랑하고 알리는데 앞장서고  만남 인터내셔널로 활약하고 있는 외국인 자원봉사단은 응원 서포터즈로 경기장 곳곳에서 전국체전이 성공리에 마칠수있도록 선수들을 응원하고 있으며, 만남은 순수민간단체로서 세계최초 20만여 명의 세계인과 함께한 세계 평화와 평화통일을 염원하는 글로벌 축제인 ‘제6회 세계평화, 광복하늘문화예술체전’을 성공적으로 주최한 바 있다.

 

 

이번 전국체전에 정식종목으로는 42개종이며, 시범종목 3개종이 치러지고

동호인종목으로 치러지는 종목으로는 족구, 바둑을 포함한 17개 종목이 정식종목과 병행하여 치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