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박근혜 정부의 첫 국무총리로 지명됐던 김용준 인수위원회 위원장이 자진사퇴를 하면서 박근헤 정부의 조각이 차질을 빚게 생겼다.김 지명자는 29일 “부덕의 소치로 국민여러분께 걱정을 끼쳐 드리고 박 당선인에게도 누를 끼쳐드려 국무총리 후보자직을 사퇴하기로 결심했다”고 언급, 자진사퇴했다.
소아마비 장애인으로 대법관과 헌법재판소장 자리에 오르면서 평생 사회적 약자를 대변한 법조인이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결국 무릎을 꿇게 된 것이다.
이로 인해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인사 스타일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밀봉 인선 스타일은 검증 부실로 화를 자초했다는 비판이 일어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가장 큰 문제는 박근혜 정부의 조각 작업이 차질을 빚었다는 것이다. 박 당선인은 2월25일 이전까지 새 정부의 조각을 마쳐야 한다. 그러자면 내달 4일까지 국무위원 지명을 모두 마치고 국회에 임명동의안을 제출해야 한다.
하지만 총리 후보자 지명부터 원점 재검토 해야 하기 때문에 이제는 시간이 더욱 촉박해졌다. 아울러 경제부총리를 비롯한 차기 장관의 인선도 그만큼 늦을 수밖에 없다.
이렇게 되면 시간은 더욱 촉박할 수밖에 없다. 만약 인사청문회에서 국무위원 한 명이라도 낙마를 하게 된다면 박근혜 정부는 출범 전부터 상당한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현재 박 당선인은 자택에서 국무총리 후보자 지명과 더불어 국무위원 인선에 대해 깊은 고민에 빠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