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문화

SKT '잘생겼다', 가장 기억에 남는 광고…모델은 전지현

URL복사

[시사뉴스 송경호 기자] '잘생겼다' 광고가 올해 소비자가 기억하는 가장 인상적인 광고로 꼽혔다. 가장 기억에 남는 광고모델은 배우 전지현이다.

1일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이하 코바코)가 발표한 '2014년 소비자행태조사(MCR)' 결과에 따르면 SK텔레콤의 '잘생겼다' 광고는 15.5%의 지지를 받아 올해 가장 기억에 남는 광고 1위에 올랐다. 

코바코는 전지현과 이정재, 김연아로 이어지는 인기 모델 기용과 쉽게 기억하는 CM송이 많은 소비자에게 어필한 결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같은 조사에서 SK텔레콤은 10위에 그쳤다. 

2위는 이동통신업계 라이벌인 KT 광고(7.0%)였다. '국악소녀' 송소희와 개그맨 조윤호가 출연한 광고가 큰 호응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위에서 한 계단 떨어졌다. 

수지의 CM송으로 유명한 '비타 500' 광고(3.9%)가 3위, 지드래곤과 박지성을 모델로 기용한 LG유플러스 광고(2.8%)가 4위를 차지했다.

배우 전지현은 15.9%의 지지를 받아 올해 가장 기억에 남는 광고 모델 1위에 올랐다. 'CF 퀸'으로 불린 전지현이지만 MCR 조사에서 상위 3명 명단에 든 건 올해가 처음이다.

전지현이 올해 초 출연한 SBS TV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의 인기가 광고 업계로도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남성팬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는 수지(6.8%)가 2위, 여성팬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는 김수현(6.7%)은 3위에 올랐다. 

2009, 2010, 2013년 1위를 차지하고 5년 연속 상위 3명에 명단에 올랐던 김연아(6.3%)는 4위에 머물렀다. 

한편 코바코는 이번 MCR 조사에서 드러난 2014년 소비자 트렌드를 4가지(WISH)로 정리했다. 

'WISH'는 웨어러블 기기 시장이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다가오고 있고(Wearable Technology), 육아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Infant Care), 스포츠 관전은 물론 일상에서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고(Sports Enjoyer), 소비시장에서 비주류였던 4054세대의 영향력이 점차 두드러지고(Homoconsumus·소비인류) 있는 4가지 현상을 줄인 말이다. 

MCR은 코바코가 1999년 이후 매년 소비자의 매체이용 및 제품구매 행태를 알아보고자 전국 단위로 시행하는 마케팅 조사다. 올해는 전국 13∼64세, 5천 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벌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