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문화

DSP·스타쉽 등 연말 가요계 레이블 앨범 선봬

URL복사

[시사뉴스 송경호 기자] 가요계가 연말을 맞아 잇따라 레이블 앨범을 내놓고 있다. 특정 가수가 캐럴송을 내놓는 대신 소속사 가수들이 뭉쳐 겨울에 어울리는 '시즌송'을 선보이는 중이다. 

DSP미디어는 오종혁, 카라, 레인보우, 에이젝스 등 소속 가수들이 15일 '화이트 레터(White Letter)'를 내놓는다고 8일 밝혔다. 

DSP 소속이었던 그룹 '핑클'·'클릭비'의 히트곡을 리메이크한 곡과 '카라스 시크릿 러브(KARA's Secret Love)'에 삽입됐던 카라의 신곡 등이 실린다. 특히 핑클의 '화이트'에는 소속 가수들이 모두 참여했다. 

이날 오전 페이스북을 통해 단체 사진을 공개했다. 목도리, 니트 모자 등으로 겨울 분위기를 물씬 풍겼다. 

스타쉽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들은 지난 4일 '러브 이스 유(LOVE IS YOU)'를 발표했다. 

싱어송라이터 더네임과 작곡가 메가톤(Megatone)이 공동 작곡하고 래퍼 매드클라운이 노랫말을 붙인 곡이다. 첫눈 내리는 날에 만나게 될 연인에 대한 기대감을 따뜻하게 그렸다. 

케이윌을 비롯해 씨스타, 보이프렌드, 정기고, 매드클라운, 주영 등 스타쉽 소속 가수 14명이 뭉쳤다. 발표 즉시 실시칸 음원차트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흑인음악 레이블 브랜뉴뮤직은 5일 세 번째 패밀리 프로젝트 싱글 '브랜듀 이어 Vol.3'를 내놓았다. 버벌진트, 산이, 팬텀, 태완, 피타입, 범키와 범키가 소속된 R&B 힙합 그룹 '트로이' 등이 뭉쳤다. R&B 힙합 트랙 '브랜뉴 데이'를 타이틀곡으로 내세웠다. 

크레용팝이 주축인 크롬엔터테인먼트도 단발머리, 짠짠 등 소속 가수들이 참여한 겨울 시즌 송 프로젝트인 '러브 크리스마스'를 3일 발매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