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부삼 기자]한국과 미국, 일본의 당국자·전문가들이 북한 조선노동당 창건 70년 기념일(10일) 전후 장거리미사일 발사 도발을 우려하며 대응책을 논의했다. 이에 북한은 반발했다.
미국의 북한전문매체 자유아시아방송에 따르면 신범철 외교부 정책기획관은 현지시간으로 2일 미국 워싱턴에서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주최 토론회에 참석해 "북한은 그들만의 독특한 계산법이 있다. 도발 가능성이 높다"며 "중요한 것은 북한의 도발 후 6자회담 5개 참가국들의 단합된 대응이다. 이를 통해 북한의 계산법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에반 메데이로스 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담당 선임 보좌관은 토론회에서 "(북한이 도발했을 때) 동맹을 강화하고 미군의 역내 주둔 상태 변화를 고려하는 것, 또 대북 추가 제재안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최강 아산정책연구원 부원장은 "북한이 당 창건 기념일인 오는 10일보다는 더 늦게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미치시타 나루시게 일본 정책연구대학원 교수는 "북한이 과거 10월 노동당 창건 기념일을 전후해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나선 선례가 없다"며 "도발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전망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은 전했다.
북한은 반발했다. 북한 조선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논설에서 "남조선당국이 외세와 짝짜꿍해 우리의 자주권을 침해하고 저들의 범죄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고 타산한다면 그보다 더 큰 오산은 없다"며 "그것은 제 손으로 제 눈을 찌르는 것과 같은 어리석은 짓"이라고 지적했다.
노동신문은 "남조선 당국자들은 북 도발설을 계속 떠들어댈수록 도발자로서의 흉악한 정체만 더욱 드러나고 역사의 준엄한 심판을 면치 못하게 된다는 것을 명심하고 입 건사를 똑바로 해야 한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