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6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

올해 서울 아파트 전셋값 5000만원 이상 치솟아

URL복사

전셋값 평균 지난해 말 3억3859만원 → 10월 말 3억8875만원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올해들어 전세난 여파로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평균 5000만원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해 말 호당 평균 3억3859만원 수준이었으나 올해 10월 기준 3억8875만원으로 5016만원이나 상승했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이 평균 1억9622만원에서 2억1783만원으로 평균 2161만원 상승한 것과 비교하면 오름 폭이 두 배를 웃돌았다.

광역 시도별 호당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경기도가 2523만원으로 두 번째로 많이 올랐다. 경기도에 이어 ▲인천 2449만원 ▲대구 2447만원 ▲부산 1300만원 등이었다. 서울, 경기, 인천, 대구 등은 2000만원 이상 올라 전국 평균치를 넘어섰다.

반면 최근 2~3년 동안 아파트 공급이 꾸준했던 전남(60만원), 충북(190만원), 전북(211만원), 충남(444만원), 대전(449만원) 등은 오름 폭이 그리 크지 않았다.

수도권에서는 서울 강남구가 9246만원으로 호당 아파트 평균 전셋값이 가장 많이 뛰어올랐다. 강남구에 이어 ▲송파구 7760만원 ▲서초구 7411만원 ▲마포구 6102만원 ▲강동구 5793만원 ▲강서구 5339만원 ▲동작구 5332만원 ▲성동구 5302만원 ▲성북 5229만원 ▲경기 과천시 5034만원 등의 순으로 크게 올랐다.

강남, 서초, 송파 등 이른바 강남3구의 호당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각각 7000만원 이상 상승했다. 서울 강북권에서는 마포와 성북이 각각 5000만원 이상 상승했다.

경기도에서는 과천의 아파트 전셋값이 가장 많이 올랐다. 반면 동두천시(483만원), 오산시(507만원), 평택시(879만원), 이천시(9910만원) 등은 평균 상승폭에 미치지 못했다.

지방에서는 대구가 아파트 분양시장과 매매시장에 이어 전세시장도 뜨거웠다. 대구 아파트 분양시장은 올해(10월 23일 기준) 5261가구를 일반 분양했고, 43만7758명이 청약해 평균 83대1을 기록했다.

아파트 매매가격도 10월 중순까지 14% 올라 17개 광역시도 중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올 10월까지 지방 자치구중에서 호당 아파트 평균 전셋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대구 수성구로 4375만원이나 상승했다.

대구 중구(3263만원), 부산 해운대구(2549만원), 부산 금정구(2412만원), 대구 동구(2112만원), 대구 북구(2097만원), 울산 중구(2004만원) 등이 순으로 오름폭이 컸다.

한편 대구 수성구의 호당 아파트 평균 전셋값(3억493만원)은 서울 서대문구(3억219만원), 강북구(2억7131만원), 중랑구(2억6754만원), 금천구(2억4794만원), 노원구(2억3095만원), 도봉구(2억2633만원) 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114는 "전세의 월세 전환이 이어지면서 전세매물 품귀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며 "저금리로 집주인들이 전세를 월세로 돌리면서 임차인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李 대통령 "정치, 사회 양극화와 격차 문제 최소한으로 완화"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민생·경제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국민 패널 100여명과 함께하는 디지털 토크 라이브를 열고 "정치가 사회 양극화와 격차 문제를 최소한으로 완화해야 한다"며 "실현 가능한 현실적 정책들을 함께 마련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서울 콘텐츠문화광장에서 열린 '디지털 토크 라이브 국민의 목소리, 정책이 되다' 에서 "우리나라 경제상황이 평균적으로 나쁘지 않은데, 압도적 다수의 사람들은 불평등 때문에 매우 힘들어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치의 본질은 국민이 지금보다 더 나은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며 "국민의 삶에서 제일 중요한 게 경제 문제다. 먹고사는 게 힘들면 정말 피곤하다"고 했다. 지역균형 발전 방안을 두고는 "수도권 집값 때문에 시끄러운데, 사실 제일 근본적인 문제는 수도권 집중에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우리가 취업이 쉽지 않다 보니 전세계적으로 자영업 비율이 엄청 높은데, 최저임금도 못 버는 경우가 태반"이라고 했다. 또 "자영업을 하시는 분들은 요새 빚 때문에 더 난리인데, 금융 문제에 있어서는 지금보다 좀 개혁적으로 접근했으면 좋겠다"며 "선진국은 못 갚은 빚을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수변 공공디자인 축제 ‘상상바람’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영등포문화재단(대표이사 이건왕)은 오는 10월 18일(토)부터 19일(일)까지 안양천 신정교 아래에서 수변 공공디자인 축제 ‘상상바람’을 개최한다. ‘상상바람’은 지난해 진행된 ‘언더브릿지 상상게더링’에 이어 도심 속 일상 공간인 안양천을 시민들의 상상과 제안으로 창조적 공유지로 확장하고, 시민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축제다. ‘안양천에 상상의 바람이 분다면, 도시 수변은 어떤 모습일까?’라는 질문으로 출발해 도시의 일상 공간에서 문화적 가능성을 발견하고 새로운 관계와 움직임을 만들어가고자 기획됐다. 올해는 생활예술, 식물, 웰니스를 주제로 큐레이션 돼 다채로운 콘텐츠를 만나볼 수 있는 △예술정원 체험마켓, 안양천 프로젝트 ‘DO LAB’이 만드는 팝업 스튜디오 ‘다리밑 스튜디오’, 예술정원크루가 제안하는 모이고 흩어지는 이동식 예술정원 ‘이야기 정원’으로 구성된 △디자인파크, 수변을 따라 자유롭게 흘러다니는 음악을 경험할 수 있는 △모바일 DJ 사운드부스, 영등포지역자활센터에서 운영하는 ‘우리동네자전거’의 △자전거 수리소 등을 만나볼 수 있다. 그 밖에도 시민들의 걸음과 몸짓으로 함께 만드는 퍼레이드인 △안양천 문화위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