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박정민 기자] 7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569.71)보다 9.49포인트(0.37%) 오른 2579.20에 개장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768.98)보다 5.79포인트(0.75%) 상승한 774.77에 거래를 시작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장(1349.3원)보다 3.0원 내린 1346.3원에 출발했다.
[시사뉴스 박정민 기자] 그린바이오 전문기업 제놀루션은 지난 2~4일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열린 '2024 뷰티 이스탄불(2024 BEAUTY ISTANBUL)' 전시회에 참가했다고 7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뷰티 이스탄불은 아시아, 유럽, 중동,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등 다양한 국가의 바이어들이 참여하는 글로벌 뷰티 전문 전시회다. 올해 5회째를 맞이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뷰티 디바이스, 화장품, OEM·ODM(주문자상표부착생산·제조자개발생산)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참가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제놀루션은 콜드 플라즈마 기술과 자체 개발한 오존 제거 필터를 적용한 홈 뷰티 디바이스 '앙블쁘리띠(ENVOL pritti)'를 선보였다. 이 제품은 한 손에 들어오는 크기로 집에서 손쉽게 피부 관리를 할 수 있는 소형 피부미용기기다. 트러블 원인 균을 살균하는 저온 플라즈마 기술을 탑재했으며 한국피부임상연구센터(KSRC)에서 여드름 완화, 피부 재생, 보습, 미백 효과를 입증 받았다. 제놀루션은 지난해 피부미용기기 시장 진출을 위해 지분 45.5%를 출자해 자회사 비앙블바이오텍을 설립했다. 비앙블바이오텍은 올해 3월 '홈 뷰티·테크'를 콘셉트로 뷰티 디바
[시사뉴스 박정민 기자] 보안기업 플랜티넷은 100% 자회사 플랜티엠의 매거진 스트리밍 서비스 '모아진(moazine)'이 삼성전자 차세대 태블릿 '갤럭시 탭 S10 시리즈' 제휴 애플리케이션으로 탑재됐다고 7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모아진은 기존의 잡지 읽기의 틀을 깨고 새로운 디지털 경험을 제안한다. 최신 패션, 경제, 예술, 교육, 엔터테인먼트, 라이프스타일에 이르기까지 폭넓고 다채로운 매거진을 손쉽게 탐색하고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한다. 취향·성향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개인에 최적화된 기사 추천을 통해 관심 분야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도록 돕는다. 모아진은 지난 4일 국내 출시된 갤럭시 탭 S10 시리즈(Tab S10+·Tab S10 Ultra)에 프리로드(pre-load)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갤럭시 탭 S10 시리즈 사용자들은 앱 추가 다운로드 없이 언제 어디서든 1600여종의 국내외 다양한 매거진을 즐길 수 있다. 모아진을 운영하는 플랜티엠은 향후 AI(인공지능) 기반 통번역 기능과 음성 자동 변환(TTS) 기술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 국내 독자 뿐만 아니라 한국 콘텐츠와 문화를 사랑하는 전 세계 독자들이 더욱 쉽게 K-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국교통안전공단(TS) 제18대 신임 이사장에 정용식 전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이 선임됐다. 교통안전공단은 정 신임 이사장이 지난 5일 선임됐으며 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국토부 국정감사 일정을 시작으로 업무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제18대 이사장으로 선임된 정 이사장은 서울 출신으로 서울대학교에서 토목공학과 학사와 석사학위를 취득했으며 미국 하와이 퍼시픽대 MBA 석사, KDI 정책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제28회 기술고시로 공직에 입문했으며 국토부에서 항공안전정책관, 종합교통정책관, 항공정책실장 등을 역임했다. 정 이사장은 "도로, 철도, 항공 등 국가 교통 안전을 담당하는 교통안전공단 이사장으로 임명돼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지속적으로 교통사고가 감소하는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급변하는 모빌리티 환경 속에서 새로운 교통안전 혁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민의 우려이자 관심사인 전기차 화재, 급발진 의심사고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핵심 성장 동력인 자율차와 UAM 등 미래 모빌리티 안전 확보와 산업 활성화에 만전을 기하며 어린이부터 고령자까지 교통약자의 안전한 이동권 보장을 위한 노력도 소홀히 하지 않겠
[시사뉴스 박정민 기자] 코스피가 개인과 외국인 순매수에 힘입어 4거래일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다만 삼성전자는 3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며 52주 신저가(종가기준)를 기록했다. 4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561.69)보다 8.02포인트(0.31%) 오른 2569.71에 장을 마쳤다. 이날 0.08% 상승 출발한 코스피는 장중 2585선까지 상승했지만, 기관의 매도 물량이 출회되며 상승 폭을 줄여 마감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699억원과 404억원을 순매수했고, 기관 홀로 2173억원을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의약품(2.06%), 통신업(1.96%), 보험(1.81%) 등이 상승했고, 운수창고(-3.12%), 화학(-0.86%), 전기전자(-0.34%) 등이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종목들의 엇갈린 흐름을 나타냈다. 삼성전자가 전 거래일 대비 1.14% 내린 6만600원에 거래를 마감해 52주 신저가를 경신했다. 반면 SK하이닉스는 2.96% 상승한 17만4100원를 기록했다. 이밖에 삼성바이오로직스(2.25%), 현대차(1.05%), 셀트리온(0.89%) 등이 올랐고 LG에너지솔루션(-1.22%), 삼성전자우(-0.97%), 기아(-0
[시사뉴스 박정민 기자] 4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561.69)보다 8.02포인트(0.31%) 오른 2569.71에 장을 마쳤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762.13)보다 6.85포인트(0.90%) 상승한 768.98에 거래를 종료했다.
[시사뉴스 김백순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는 4일 이란의 이스라엘에 대한 미사일 공격 등으로 중동 정세가 급격히 악화됐지만 국내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제한적이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이날 중동 정세가 급격히 악화하자 유관기관 및 업계와 종합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해 석유·가스 등 에너지 수급 및 수출입 상황 등을 긴급 점검했다. 이날 점검회의에는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등 기관과 대한석유협회, 한국무역협회 등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란의 이스라엘 공격에 따라 석유 가격은 이틀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공격 당일인 1일 국제유가는 전일 대비 2.6% 상승한 배럴당 73.5달러를 기록했고 2일에는 0.5% 상승한 배럴당 73.9달러를 기록했다. 가스 가격의 경우 세계 주요국이 충분한 재고를 보유하고 있어 안정적인 상황이라는 게 산업부의 설명이다. 산업부는 일단 현재까지 중동 정세가 석유·가스 수급이나 수출, 공급망 등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여전히 제한적인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이스라엘 인근 홍해를 통과하는 국내 석유·가스 도입 선박은 대부분 우회항로를 확보해 현재 국내 도입에 이상은 없고, 물품의 선적
[시사뉴스 김백순 기자] 뉴욕증시가 3일(현지시각) 이스라엘의 이란 석유 시설 타격설 등 중동발 불확실 고조에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84.93포인트(0.44%) 하락한 4만2011.59에 거래를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9.60포인트(0.17%) 하락한 5699.9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6.65포인트(0.04%) 내린 1만7918.48에 장을 마쳤다. 이날 투자심리를 좌우한 것은 국제유가 폭등이다. 국제유가 폭등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와 서비스업 업황 호조, 전반적으로 양호한 고용 지표가 뒤섞이면서 등락을 거듭했다. 이스라엘이 이란의 석유 시설을 타격할 수 있다는 관측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논의 중"이라고 밝히면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3.61달러(5.15%),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는 3.72달러(5.03%) 치솟았다. CNBC는 지난해 3월 이후 최고의 주간 상승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OPEC 회원국인 이란은 현재 하루 300만 배럴 이상의 석유를 생산하고 있다. 이스라엘이 페르시아만에
[시사뉴스 박정민 기자] 4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561.69)보다 2.01포인트(0.08%) 오른 2563.70에 개장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762.13)보다 1.60포인트(0.21%) 상승한 763.73에 거래를 시작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319.3원)보다 13.2원 오른 1332.5원에 출발했다.
[시사뉴스 박정민 기자] 솔루스첨단소재가 캐나다 퀘벡주에 건설 중인 전지박(전기차 배터리용 동박) 공장에 대해 캐나다 퀘벡 주정부로부터 1,500억원 규모의 인센티브를 확보했다. 솔루스첨단소재는 4일 해외 자회사인 볼타에너지솔루션 캐나다(Volta Energy Solutions Canada)가 캐나다 퀘벡주 산하 퀘벡투자공사(IQ)와 캐나다 최초의 전지박 공장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인센티브 계약을 체결하고 1억 5,000만 캐나다 달러(한화 약 1,500억원) 규모의 주 정부 인센티브 지원을 공식화했다고 밝혔다. 퀘벡 주정부는 지난해 9월 솔루스첨단소재의 전지박 공장 착공 시점에 1억 5,000만 캐나다 달러의 인센티브 지원을 약속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무이자 대출에 관한 협상이 완료되어 양측이 최종 계약에 합의했다. 세액공제, 인력 양성 프로그램과 같은 추가 재정 지원 프로그램도 논의 중이다. 캐나다 퀘벡주 그랜비(Granby) 지역에 들어서는 솔루스첨단소재의 신규 전지박 공장은 헝가리에 이은 두번째 해외 전지박 생산기지다. 솔루스첨단소재는 북미 전기차 시장 선점을 위해 유럽에 이어 지난 2021년 해당 지역에 생산기지를 확보하며 국내 최초로 캐나다에 진
[시사뉴스 박정민 기자] 딥마인드플랫폼(딥마인드)는 무인이동체 관제플랫폼 전문기업 '클로버스튜디오'와 공동개발한 인공지능(AI) 드론인 ‘테더드론’을 이용해 서울 금천구청과 ‘등산로 안전감시 시스템’을 시범 운영한다고 4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이태원 사고와 관악산 살해 사건과 같은 예기치 못한 재난과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획기적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등산로 안전은 단순한 사고 방지를 넘어, 시민들의 생명 보호와 직결된다. 이번 프로젝트는 딥마인드와 금천구청이 소방, 경찰, 군 등 유관기관들과 협력해 금천구에 위치한 주요 등산로에서 드론 기술을 활용해 위험 요소들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신속한 대응을 통해 안전사고를 미리 차단하는 것이 목적이다. '테더드론'은 고정된 위치에서 장시간 비행이 가능해 넓은 지역을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등산로 곳곳에 배치된 드론들을 통해 수집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위협 상황을 즉각 파악하고, 이를 통해 등산객의 안전을 관리한다. 딥마인드 관계자는 "이 드론은 기존 CCTV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는 혁신적인 보안 솔루션"이라며 "고정된 위치는 물론 자유롭게 비행하면서 넓은 범위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는 장
[시사뉴스 박정민 기자] 하루 휴장했던 코스피가 이란의 이스라엘 미사일 공격 등으로 부진했던 미 증시에 영향받아 1%대 하락 마감했다. 3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593.27)보다 31.58포인트(1.22%) 하락한 2561.69에 장을 닫았다. 1.03% 하락 출발한 지수는 낙폭을 줄여 2590선까지 오르기도 했지만 이내 되돌렸다. 3거래일 연속 내림세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은 홀로 9881억원어치를 사들인 반면 기관과 외국인은 각 7058억원, 3083억원 순매도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경민 대신증권 FICC리서치부장은 "국내 증시가 하루 휴장으로 쉬어간 가운데 미 증시는 지정학적 이슈와 동부항만파업, 공급관리협회(ISM) 제조업지수 부진 등 악재가 겹치며 3대 지수가 모두 하락, 국내 증시도 글로벌 증시 하락을 반영하는 모습이었다"며 "미국 하락 원인으로 중동에서 이란과 이스라엘의 충돌이 지목되는 가운데 이란의 무력 항사 전 통보 사실 등이 전해지며 코스피도 장 초반 낙폭을 줄였다"고 설명했다. 업종별로는 대체로 부진했다. 섬유의복(0.63%), 증권(0.06%)이 그나마 올랐고, 전기가스업(-3.37%), 보험(-2.98%), 음식료업(-2.94%),
[시사뉴스 박정민 기자] 2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593.27)보다 31.58포인트(1.22%) 하락한 2561.69에 장을 닫았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763.88)보다 1.75포인트(0.23%) 내린 762.13에 거래를 종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