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FIFA회장… 선거인판티노 UEFA 사무총장, 회장 당선[종합]

URL복사

[시사뉴스 박철호 기자] 지아니 인판티노(46) 유럽축구연맹(UEFA) 사무총장이 국제축구연맹(FIFA) 열 번째 회장으로 이름을 올렸다.

인판티노 사무총장은 27일(한국시간) 스위스 취리히의 FIFA 본부에서 열린 회장 선거에서 총 207표 중 115표를 획득, 88표에 그친 셰이크 살만 아시아축구연맹(AFC) 회장을 제치고 당선됐다.

인판티노 사무총장은 1차 투표에서 88표를 얻었다. 경쟁자들 중 가장 많은 표였으나 3분의 2 이상을 얻어야 한다는 1차 투표 당선 규정에 미치지 못해 2차 투표를 내다봐야 했다.

셰이크 살만 회장 역시 1차 투표에서 85표를 획득한 상황이라 인판티노 사무총장이 반드시 유리하다고 볼 수는 없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인판티노 사무총장은 2차 투표에서 레이스를 마무리했다. 1차 때보다 27표가 많은 115표를 얻어냈고, 과반(104표)을 넘어야 한다는 2차 투표 당선 규정에 따라 FIFA 회장 당선을 확정했다.

알리 빈 알 후세인 요르단 왕자는 1차 투표에서 27표를 얻었으나 2차 투표에서는 4표에 그쳤다. 제롬 상퍄뉴 전 FIFA 국제국장은 7표를 얻은 뒤 2차 투표에서는 한 표도 얻지 못했다. 또 다른 후보 토쿄 세콸레는 선거 직전 후보자직에서 사퇴했다.

스위스 변호사 출신인 인판티노 사무총장은 제프 블래터 전 회장의 뒤를 이어 오는 2020년까지 전 세계 축구 대통령직을 맡는다.

자칫 아시아 혹은 아프리카 출신 인사에게 FIFA 회장 직을 넘겨줄 수 있었던 유럽은 인판티노의 당선으로 안도의 한숨을 내쉬게 됐다.

반면 셰이크 살만 회장과 알리 빈 알 후세인 왕자 등은 유럽 중심의 FIFA 지도부에 변화를 일으키려 했으나 현실의 벽을 넘지 못했다.

인판티노 사무총장은 선거 전부터 지지기반이 확실한 인물로 분류됐다. 2009년부터 UEFA 사무총장직을 수행하면서 유럽 지역의 전폭적인 지지를 얻었고, 남미축구연맹(CONMEBOL)과도 돈독한 관계를 지니고 있었다.

그는 선거에 앞서 월드컵 출전국을 현재의 32개국에서 40개국으로 늘리고 여러 나라에서 동시에 개최하도록 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인판티노 사무총장은 당선된 뒤 "FIFA의 이미지를 되돌리고, FIFA를 향한 존경을 되돌리겠다. 세계의 모두가 우리에게 박수를 보낼 것"이라고 포부를 전했다.

한편, FIFA는 이날 선거에 앞서 특별 총회를 열고, 조직 혁신을 위한 개혁안을 87%의 찬성율로 통과시켰다.

개혁안의 주된 내용 중 하나는 FIFA 회장의 최대 임기를 12년으로 제한하는 것이다.

4년 임기의 FIFA 회장은 본래 제한 없이 연임이 가능했다. 하지만 이번 개혁안으로 인해 최대 두 번의 재임만 가능해졌다.

이는 앞선 회장들의 장기 독주 체제로 인해 FIFA가 부정과 비리에서 자유롭지 못했다는 지적에서 나왔다. 전임인 블래터 회장은 18년간 회장직을 맡았고, 직전의 후앙 아벨란제 회장 역시 무려 25년의 임기를 자랑했다.

아울러 비리의 온상으로 지목되던 FIFA 집행위원회는 FIFA 협의회로 이름을 바꾼다. 협의회에서는 여성들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여성 위원의 비중을 늘이기로 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李 대통령 "정치, 사회 양극화와 격차 문제 최소한으로 완화"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민생·경제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국민 패널 100여명과 함께하는 디지털 토크 라이브를 열고 "정치가 사회 양극화와 격차 문제를 최소한으로 완화해야 한다"며 "실현 가능한 현실적 정책들을 함께 마련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서울 콘텐츠문화광장에서 열린 '디지털 토크 라이브 국민의 목소리, 정책이 되다' 에서 "우리나라 경제상황이 평균적으로 나쁘지 않은데, 압도적 다수의 사람들은 불평등 때문에 매우 힘들어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치의 본질은 국민이 지금보다 더 나은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며 "국민의 삶에서 제일 중요한 게 경제 문제다. 먹고사는 게 힘들면 정말 피곤하다"고 했다. 지역균형 발전 방안을 두고는 "수도권 집값 때문에 시끄러운데, 사실 제일 근본적인 문제는 수도권 집중에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우리가 취업이 쉽지 않다 보니 전세계적으로 자영업 비율이 엄청 높은데, 최저임금도 못 버는 경우가 태반"이라고 했다. 또 "자영업을 하시는 분들은 요새 빚 때문에 더 난리인데, 금융 문제에 있어서는 지금보다 좀 개혁적으로 접근했으면 좋겠다"며 "선진국은 못 갚은 빚을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