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2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문화

가족과 함께 하는 청소년 영화제

URL복사
제11회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가 오는 5월 15일까지 국내외 경쟁부문 출품작을 공모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연령제한을 폐지하고 누구나 작품을 출품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13∼18 청소년 경쟁은 기존과 같이 진행되며, 기존 만 24세까지만 출품 받던 것에서 만 19세 이상의 누구나 청소년, 가족, 어린이, 성장 등의 주제로 한 작품을 출품할 수 있게 됐다.
자세한 규정을 살펴보면 기존에 있던 만 13∼18세 참가부분인 청소년 1부와 만 19∼24세 참가부분인 2부 경쟁부문을 '발칙한 시선 1, 2'로 나누어 진행한다.
'발칙한 시선 1'은 국내외 만 13∼18세 청소년들이 제작한 영화, 그리고 '발칙한 시선 2'는 국내외 19세 이상의 일반이 어린이, 성장, 가족, 청소년에 관한 주제로 제작한 영화로 마련했다. 연령제한을 없애서 더 다양하고 많은 작품들이 참여할 수 있게 되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올해의 더욱 큰 변화는 경쟁부문 수상작들에 대한 상금 지급 도입이다.
영화제 측은 "아직 상금의 액수는 정확히 결정되지 않았지만 청소년을 포함한 일반의 영화제작을 현실적으로 더욱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며 "어려운 경제여건 속에서도 제작활동을 하고 있는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출품작은 2008년 7월 이후에 제작된 작품에 한하며, 출품작 중 예선을 거쳐 본선에 오르면 제11회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에서 상영하게 된다. 또한 해외 영화제 출품의 기회도 갖게 된다.
출품신청은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 홈페이지(www.siyff.com)에서 출품신청서를 작성한 뒤 심사용 DV(NTSC)를 기한 내에 우편 또는 방문접수 하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의 인지도 또한 크게 늘어 많은 작품들이 출품하여 되고 있으며, 매년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에서는 수상작 중 국내 청소년 작품들을 해외 청소년영화제에 출품상영하고 있다.
2008년 10회 수상작은 이달 말 아일랜드에서 개최하는 프레쉬필름페스티발(Fresh Film Festival)에 초청 상영될 예정이며, 본 영화제 8회(2006년) 수상작 <이레이져, 연출 김종철 외 >, <기나긴 여정, 연출 양미>의 2편은 2007 베를린 청소년 미디어 페스티벌 15∼20세 부문에서 2등에 해당하는 '실버클립(Silver Clip)'을 수상, 심사위원특별언급에 해당하는 '라더터리 멘셔닝(Laudatory mentioning)'에 오르는 등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제11회 서울 국제 청소년 영화제는 오는 7월에 개최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헬렌 켈러의 삶을 새롭게 재해석한 비언어극 ‘마이 디어, 헬렌’ 공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부산 극단 ‘배우, 관객 그리고 공간(배·관·공)’이 배리어프리 연극 ‘마이 디어, 헬렌’을 무료로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의 장애인 문화예술 향유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장애인 관객이 차별 없이 공연을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됐다. 공연은 9월 11일부터 21일까지 부산 북구 창조문화활력센터 소극장 624에서 열리며, 러닝타임은 약 55분이다. 전 연령 관람이 가능하다. ‘마이 디어, 헬렌’은 헬렌 켈러의 삶을 새롭게 재해석한 비언어극으로, 언어를 최소화하고 움직임과 몸짓을 중심으로 구성해 청각, 시각, 언어적 제약이 있는 관객도 불편 없이 이해하고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작품은 어린 시절부터 성숙한 사회운동가로서의 삶까지 세 장면으로 펼쳐지며, 장애인 배우가 직접 무대에 올라 비장애인 배우와 호흡을 맞춘다. 자막과 현장 음성 해설을 통해 장애인 관객의 접근성을 높이고, 비장애인 관객에게도 새로운 연극적 체험을 선사한다. 공연 후에는 관객과의 대화가 이어져 창작 과정과 배우들의 이야기를 공유하며 예술의 사회적 의미를 더욱 깊게 나눈다. 이 작품은 2025년 7월 프랑스 아비뇽 오프 페스티벌 공식 초청작으로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