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15 (토)

  • 맑음동두천 2.0℃
  • 맑음강릉 6.7℃
  • 맑음서울 6.4℃
  • 구름많음대전 4.9℃
  • 구름많음대구 5.7℃
  • 구름조금울산 10.0℃
  • 흐림광주 8.4℃
  • 맑음부산 10.9℃
  • 흐림고창 4.7℃
  • 구름조금제주 10.9℃
  • 맑음강화 2.7℃
  • 구름조금보은 1.3℃
  • 흐림금산 2.5℃
  • 구름조금강진군 9.8℃
  • 구름많음경주시 5.4℃
  • 구름조금거제 8.2℃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부산시 관광공사, 2022 한국마이스엑스포 베스트프로모션 금상

URL복사

- ESG 경영 실천을 위해 친환경 종이부스 제작 및 홍보
- 국내외 바이어 대상 MICE홍보 설명회 개최 및 팸투어 추진

 

[시사뉴스 정문균 기자] 부산관광공사와 부산시는 지난 11월 8일부터 3일간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개최된 2022 한국마이스엑스포(KOREA MICE EXPO, 이하 KME)에 참가해 ‘베스트프로모션’ 금상을 수상했다고 15일 밝혔다.

 

베스트프로모션상은 국내외 바이어가 뽑은 가장 인상 깊은 홍보관에 주는 상으로 공식 초청된 바이어들이 직접 선정하여 의미가 크다.

 

또한 KME 기간인 지난 9일 개최된 제20회 대한민국 마이스 대상에서는 영화의 전당이 우수 유니크 베뉴 부분, 벡스코가 ESG 실천 우수기관 부분, 부산관광공사 영마이스단 성윤재씨가 우수 서포터즈 부문을 수상해 부산이 3개 분야에서 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이번 KME는 한국관광공사가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가 후원하는 국내 최대 마이스 전문박람회로 코로나 이후 3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개최되어 전국 21개 지자체서 전시업체 225곳 및 바이어 2,000명이 참가하였다.

 

공사는 KME 기간 동안 ESG 경영 실천을 위해 100% 친환경 종이 홍보관을 설치하고, 홍보관을 방문하는 바이어 대상 해운대 국제회의복합지구(해비뉴)에서 활용된 현수막을 업사이클링 한 우산 등의 기념품을 제공했다.

 

또한 주요 바이어 대상 일대일 비즈니스 상담을 진행하고, 해외 주요 바이어 100여 명 대상 오찬 MICE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MICE도시 부산 홍보에 주력했다.

 

부산 홍보관에는 부산지역 컨벤션 센터, 호텔, 여행사, 유니크 베뉴 등 11개의 마이스 얼라이언스가 참가해 회의 주최자, 마이스 관련 여행사 등과 B2B 상담을 진행하는 등 공동 마케팅을 추진했다.

 

한편 공사는 11일~13일 2박 3일간 KME에 참가한 바이어 50명을 부산으로 초청하여 주요 MICE 시설 및 관광지 팸투어를 추진하고 부산의 유니크 베뉴인 청사포 라벨라치타에서 설명회를 가졌다.

 

공사 관계자는 “MICE 분야의 ESG 경영 실천을 위해 친환경 종이 부스로 홍보관을 구성한 것이 바이어들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준 것 같다”라며 “바이어 상담과 설명회 개최, 포스트 투어 등 지역업계와 연계한 다각적인 마케팅을 추진함으로써 엔데믹에 따른 MICE도시로 재도약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The Busan Tourism Organization and the Busan Metropolitan Government announced on the 15th that they participated in the 2022 Korea MICE EXPO (hereinafter referred to as KME) held at Songdo Convensia in Incheon for three days from November 8 and won the "Best Promotion" gold award.

 

The Best Promotion Award is given to the most impressive public relations center selected by domestic and foreign buyers, and is significant because it was selected by buyers who were officially invited.

 

In addition, at the 20th Korea MICE Awards held on the 9th during the KME period, Busan was honored with three awards, with the Cinema Center winning the outstanding Unique Venue, BEXCO winning the ESG practice excellence agency, and the Busan Tourism Organization's Young MICE team Sung Yoon-jae winning the outstanding supporters category.

 

The KME is Korea's largest MICE exhibition hosted by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and sponsor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was held offline three years after COVID-19, with 225 exhibitors and 2,000 buyers from 21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During the KME period, the corporation set up a 100% eco-friendly paper promotion center to practice ESG management and provided souvenirs such as umbrellas with banners upcycled at Haeundae International Conference Complex (Habinho) for buyers visiting the public relations center.

 

In addition, it focused on promoting MICE city Busan by conducting one-on-one business consultations for major buyers and holding a luncheon MICE briefing session for about 100 major overseas buyers.

 

At the Busan Public Relations Center, 11 MICE Alliance, including Busan Convention Center, hotels, travel agencies, and Unique Venue, participated in joint marketing by conducting B2B consultations with meeting organizers and MICE-related travel agencies.

 

Meanwhile, the corporation invited 50 buyers who participated in KME for three days from the 11th to the 13th to Busan for a fam tour of major MICE facilities and tourist attractions, and held a briefing session at Cheongsapo Labelachita, a unique benue in Busan.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relations center with eco-friendly paper booths to practice ESG management in the MICE field seems to have impressed buyers," a construction official said. "We will try to make a leap forward as a MICE city due to the pandemic by promoting diverse marketing in connection with local industries such as buyer counseling, briefing sessions, and post-tour."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한국, 48조원 규모 주한미군 지원...2030년까지 미국산 군사장비 구매에 36조원 지출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한국이 약 48조원 규모로 주한미군을 지원하고 오는 2030년까지 미국산 군사장비 구매를 위해 약 36조원을 지출한다. 한국의 대통령실과 미국 백악관은 14일 이런 것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간 회담 공동 설명자료’(이하 설명자료)를 발표했다. 대통령실과 백악관은 이 설명자료에서 “미국은 핵을 포함한 모든 범주의 능력을 활용해 확장억제를 제공한다는 공약을 재확인했다. 양 정상은 핵협의그룹을 포함한 협의 메커니즘을 통해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며 “이 대통령은 가능한 한 조속히 한국의 법적 요건에 부합하게 국방비 지출을 GDP(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의 3.5%로 증액한다는 한국의 계획을 공유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환영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은 또한 2030년까지 미국산 군사 장비 구매에 250억 불(약 36조원)을 지출하기로 했고 한국의 법적 요건에 부합하게 주한미군을 위한 330억 불(약 48조원) 상당의 포괄적 지원을 제공한다는 계획을 공유했다”며 “양 정상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위한 동맹 차원의 협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백석대 이향재 교수, 정년퇴직 기념전 <동행> 개최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백석대학교(총장 송기신) 하은기획전시관에서는 14일(금) 오후 2시 개막식을 시작으로, 20일(목)까지 백석대 디자인영상학부 이향재 교수의 정년퇴임을 기념하는 개인전 「동행」이 열렸다. ‘예수님과의 동행, 삶의 여정과 함께’를 주제로 한 이번 전시는 그동안 대학에서 후학을 양성하며 예술과 신앙의 조화를 모색해온 백석대 이향재 교수의 예술적 여정을 조명한다. 전시 작품들은 성경 말씀을 중심으로 한 묵상과 기도의 시각적 기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람객들은 작품을 통해 영적, 타인, 그리고 자신과 의 동행을 경험할 수 있다. 백석대 이향재 교수는 “백석대에서의 오랜 교육 활동을 마무리하며, 그동안의 예술적 여정과 성찰을 하나의 전시로 정리하게 되어 뜻깊게 생각합니다.” 라며 “이번 전시는 제게 주어진 시간과 만남, 그리고 예술가로서 걸어온 길을 되돌아보는 감사의 자리입니다. 작품을 통해 제 안의 변화와 배움을 나누고, 앞으로도 창작의 길을 겸손히 이어가고자 합니다.” 라 말했다. 백석대 이향재 교수는 서울과학기술대 시각디자인학과를 졸업 후, 홍익대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 후 백석대 디자인영상학부 교수로 재직하며 다양한 분야

문화

더보기
우리가 남겨야 할 기록은 무엇인가... ‘조선아트북 新악학궤범’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전통음악을 바탕으로 창작과 장르 간 융합 활동을 활발하게 이어온 앙상블시나위가 새로운 작품 창작에 앞서 3년에 걸친 프로젝트 ‘조선아트북 新악학궤범’ 발표회를 개최한다. 연주자들이 남기고 싶은 기록은 무엇일까, 그리고 그들이 전하고자 하는 음악적 철학은 어떤 것일까.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문헌 연구가 아니라 연주자들이 직접 악서를 탐독하고 그 안에 담긴 정신과 의미를 되새기며 지금 시대에 맞는 예술의 가치와 전통의 방향을 함께 모색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조선 성종 때 편찬된 궁중음악 백과사전인 ‘악학궤범’은 악기·의례·법식·가사 등을 그림과 함께 정리한 예술서로, 앙상블시나위는 이 기록이 담고 있는 ‘좋은 음악이란 마음을 다스리는 도구’라는 철학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오늘날의 시각으로 새롭게 해석한 창작곡들을 선보이게 됐다고 설명했다. 공연은 먼저 △‘성음에 관하여’라는 주제로 아쟁 연주자이자 앙상블시나위의 대표인 신현식의 ‘은하수’ △‘고전을 넘어’를 주제로 전자음악 황승연이 들려주는 ‘둥당둥당’ △‘풍류에 남겨진 융합의 과정’을 주제로 양금 연주자 정송희의 ‘비밀의 강’이 소리꾼 조일하의 정가와 함께 연주되고, △‘동서양의 만남’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