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8 (토)

  • 흐림동두천 12.5℃
  • 흐림강릉 11.9℃
  • 흐림서울 15.4℃
  • 흐림대전 15.3℃
  • 흐림대구 14.8℃
  • 흐림울산 14.9℃
  • 광주 14.2℃
  • 부산 15.4℃
  • 흐림고창 15.0℃
  • 제주 18.2℃
  • 흐림강화 11.9℃
  • 흐림보은 13.2℃
  • 흐림금산 14.3℃
  • 흐림강진군 14.5℃
  • 흐림경주시 13.4℃
  • 흐림거제 15.0℃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산교육청, 현장 기반한 실제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으로 눈길 끌어...

URL복사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노옥희)이 21일부터 25일까지 5일간 울산교육청 전 소속기관 대상으로 ‘2022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한다.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은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 국민이 참여하며 풍수해, 화재, 폭발 등 재난에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역량강화 및 재난관리책임기관 간 공조‧협력체계 구축을 목표로 실시하는 범국가적 종합훈련이다.

 

울산교육청은 최근 연이어 발생한 안타까운 사건 사고로 학교 현장에 대한 재난훈련 및 안전교육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는 점을 감안해 올해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때 각급학교 현장 훈련 기간을 11월 한 달간으로 늘려 두 차례 이상 실제 훈련이 시행되도록 안내했다.

 

또, 지난 2년간 코로나19 상황 등으로 학교 현장 훈련을 축소, 실제 훈련이 미흡했던 점을 개선하고자 다양한재난 상황을 가정하고 학교별 여건을 반영하여 학생‧교직원이 시청각(동영상) 교육이 아닌 체험(참여)형 안전교육을 실시하도록 당부했다.

  

울산교육청은 각급 기관(학교)의 실제적인 안전교육을 통해 신속한 대응체계를 갖추고, 학생과 교직원 개개인의 재난대응 역량을 높여 각종 재난 발생 시 학생과 교직원의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약사가온유치원을 비롯한 유치원, 특수학교 등 안전 취약계층이 이용하는 교육시설의 경우 21일 대응 훈련이 집중적으로 실시되며, 23일은 남산초등학교와 옥동119안전센터가 합동 소방훈련을 실시한다.

 

이날 훈련에는 교육감 또는 부교육감이 각 현장 훈련에 참여하여 훈련 강평을 통해 참가자들에 실제 훈련의 중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한편, 울산교육청은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은 1일차 21일 교육감 주재로 태풍 예비특보 및 경보발령에 상황 발생을 가정한 학생 및 시설물 안전대책 토론훈련을 시행한다.

 

2~3일차(22~23일)에는 방사능재난 대응 학생‧교직원 보호 대책을 점검하는 참여형 토론훈련과 학교 현장 훈련을 진행하고 4~5일차(24~25일)에는 직원대상 VR기기를 활용한 방사능 대피 가상훈련 등을 진행한다.

 

훈련 기간 동안 고리, 월성 원전과 인접한 울산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지진으로 인한 2차 화재 발생 시 대피 요령 및 방사능 재난에 대비한 실내 대피 후 행동요령 등을 익힐 수 있도록 다양한 재난 상황에 따른 대응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화재가 불시에 발생하는 만큼 이를 대비해 울산교육청 자체 소방대피 훈련도 불시에 진행할 예정이다.

 

울산교육청은 지난 11월 1일, 8일, 11일 3일간 원전 및 화학단지 인근 학교 학부모 60명을 대상으로 재난에 강한 학교 및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 학부모 연수를 실시했다.

 

연수는 다양한 재난 상황에서 스스로를 지키기 위한 행동요령과 일반인이 접하기 힘든 심폐소생술, 재난 상황에 대비한 재난(생존)가방 꾸리기 실습 등으로 진행됐고, 참여한 학부모의 만족도(매우만족 93%)도 매우 높게 나온 바 있다.

 

또, 지난 7일 울주군과 함께 방사능재난 합동훈련을 추진하여 서생면 소재 명산초등학교 학생‧교직원 150명을 30km 떨어진 구호소인 상북중학교로 대피시켜 실제 소요되는 시간 등을 검증하고, 실제 구호소 운영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현장 매뉴얼에 반영될 수 있도록 힘썼다.

 

노옥희 교육감은 “이번 훈련을 계기로 학교 및 유관기관과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뿐만 아니라 학생 및 교직원 재난 대응 역량을 제고하여 안전 문화가 확산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The Ul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uperintendent Noh Ok-hee) will conduct the 2022 Disaster Response Safety Korea Training for all affiliated organizations of the Ulsan Office of Education for five days from the 21st to the 25th.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e "Disaster Response Safety Korea Training" is a nationwide comprehensive training aimed at strengthening capacity to respond effectively to disasters such as storm and flood, fire, and explosion.

 

Given the importance of disaster training and safety education at school sites is emphasized more than ever by the recent series of unfortunate incidents, the Ulsan Office of Education extended the field training period of schools to one month in November this year.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school field training and improve the lack of actual training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over the past two years,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were asked to provide experience (participation) safety education, not audiovisual (video) education, assuming various disaster situations.

  

The Ulsan Office of Education predicted that it would be able to reduce the damage to students and faculty in the event of various disasters by establishing a rapid response system through actual safety education of various institutions (schools).

 

In the case of educational facilities used by vulnerable groups such as pharmacist Gaon kindergartens, kindergartens, and special schools, response training will be conducted intensively on the 21st, and Namsan Elementary School and Okdong 119 Safety Center will conduct joint fire drills on the 23rd.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or vic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will participate in each on-site training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ctual training to participants through training lectures.

 

Meanwhile, the Ulsan Office of Education will conduct a discussion training on safety measures for students and facilities on the 21st of the first day, presided over by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On the 2nd to 3rd days (22nd to 23rd), participatory discussion training and school field training will be conducted to check measures to protect students and faculty in response to radioactive disasters, and on the 4th to 5th days (24th to 25th), radioactive evacuation virtual training will be conducted.

 

During the training period, the government plans to strengthen its ability to respond to various disaster situations so that it can learn how to evacuate in case of a secondary fire caused by an earthquake and how to act after indoor evacuation in case of a radioactive disaster.

 

In addition, as a fire occurs unexpectedly, the Ulsan Office of Education will conduct its own fire evacuation drill in preparation for this.

 

The Ulsan Office of Education conducted parent training for 60 parents from schools near nuclear power plants and chemical complexes for three days on November 1, 8 and 11 to create disaster-resistant schools and communities.

 

The training was conducted with action tips to protect oneself in various disaster situation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at is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access, and practice in packing a disaster (survival) bag in preparation for disaster situations, and the satisfaction of parents (93%) who participated was very high.

 

In addition, on the 7th, 150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of Myeongsan Elementary School in Seosaeng-myeon were evacuated to Sangbuk Middle School, a relief center 30km away, and problems that may occur in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relief center were found and reflected in the field manual.

 

Superintendent Roh Ok-hee said, "With this training, we will do our best to spread the safety culture by enhancing students and faculty's ability to respond to disasters as well as establishing a close cooperation system with schools and related agencies."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2025 서울건축박람회’ 개막...건축주·인테리어 수요자 참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건축·인테리어·전원주택 전문 전시회 ‘2025 서울건축박람회’가 6일부터 오는 9일까지 학여울역 세텍(SETEC)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된다. ‘서울경향하우징페어’는 올해부터 ‘서울건축박람회’로 명칭을 변경하고, 인테리어 수요자와 건축주 모두를 위한 전시로 새롭게 개편됐다. 특히 이번 박람회에는 국내 유수의 인테리어 브랜드와 관련 업체가 대거 참가해, 주거 및 상업공간 인테리어에 관심 있는 참관객들의 높은 기대에 열렸다. 서울건축박람회는 전원주택과 인테리어를 중심으로 한 실수요자 맞춤형 건축전시회로서 주거 공간을 직접 설계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실질적인 정보와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전시회이다. 특히, 옥외전시장을 활용한 계절별 기획 전시를 선보이며, 실내외를 아우르는 하이브리드형 전시회로 한층 진화됐고, 단열, 난방, 에너지 절감 등 현장에서 직접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솔루션이 소개됐다. 전시 품목으로는 내외장재/구조재/단열재, 난방/보일러/펌핑/환기설비재, 도장/방수재, 조경/공공시설재, 조명/전기설비재, 체류형쉼터/이동식주택, 주택설계시공, 창호/하드웨어, 건축공구/관련기기, 홈네트워크시스템 등 건축과 인테리어 전반을

정치

더보기
북한, 미국 제재에 상응 조치 예고 하루 만에 탄도미사일 발사..일본 “EEZ 밖에 낙하 추정”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북한이 미국의 제재 조치에 대해 상응 조치를 예고한 지 하루 만에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7일 “오늘 낮 12시 35분경 북한 평안북도 대관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한 발을 포착했다”며 “미사일은 약 700km 비행했으며 정확한 제원에 대해서는 한미가 정밀분석 중이다”라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는 “한미 정보당국이 북한의 미사일 발사 준비 동향을 사전에 포착해 감시해 왔으며 발사 즉시 탐지 후 추적했다. 미국·일본 측과 관련 정보를 긴밀하게 공유했다”며 “우리 군은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하에 북한의 다양한 동향에 대해 예의주시하면서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 방위성도 이날 보도자료를 발표해 “북한은 오늘 12시 34분경 북한 서해안에서 1발의 탄도미사일을 동방향을 향해 발사했다”며 “자세한 내용은 현재 한미일에서 긴밀하게 연계해 분석 중이지만 발사된 탄도미사일은 최고 고도 약 50km 정도로 약 450km를 넘어 비상해 낙하한 곳은 한반도 동쪽의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EEZ, Exclusive Economic Zo


사회

더보기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 사고...철근·잔해물 뒤엉켜 구조 난항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타워 붕괴 사고 현장 브리핑에서 "석면, 유리, 섬유 등이 뒤덮여 있어 공간이 굉장히 협소하고, 소방대원들이 일일이 손으로 헤쳐서 구조작업 중에 있다"고 지난 7일 밝혔다. 소방당국은 실제 공개된 구조 현장에는 철근과 잔해물이 뒤엉켜 구조대원의 진입 자체가 힘든 모습이었다. 소방대원들은 잔해물 사이 좁은 틈에 직접 들어가 철근을 절단하고, 땅을 파내는 방식으로 수색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 때문에 매몰자 위치가 파악돼도 구조까지 상당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현재까지 위치가 파악된 작업자는 7명 중 5명이다. 소방당국은 사고 구조물을 A, B, C, D 구역으로 나눠 작업자 구조에 나서고 있다. 전날 발견된 작업자 2명은 각각 타워의 B구역과 D구역에서 발견됐다. 이들은 비교적 일찍 발견돼 구조작업이 이뤄졌으나, 현재까지도 구조물에 매몰된 상태다. 이 중 40대 작업자 1명은 팔 부분이 끼인 상태로 발견돼 전날까지 소방대원과 대화를 나눌 정도로 의식이 있었다. 그러나 장시간 매몰돼 있으면서 심정지가 발생했고, 심폐소생술이 이뤄졌으나 7일 오전 4시 53분 현장에서 사망했다. 또 다른 작업자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