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6.4℃
  • 구름많음강릉 11.8℃
  • 박무서울 8.5℃
  • 대전 9.5℃
  • 구름많음대구 11.8℃
  • 울산 11.8℃
  • 구름조금광주 10.1℃
  • 부산 11.6℃
  • 구름많음고창 8.3℃
  • 구름많음제주 13.2℃
  • 흐림강화 6.6℃
  • 흐림보은 7.7℃
  • 구름많음금산 10.2℃
  • 구름많음강진군 11.5℃
  • 흐림경주시 10.1℃
  • 구름조금거제 13.6℃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북구문화예술회관, 앰비규어스댄스컴퍼니 바디콘서트

URL복사

12월 10일 오후 5시...현대무용의 다채로운 모습 선사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 북구문화예술회관이 12월 10일 오후 5시 한국 정상의 무용그룹 '앰비규어스댄스컴퍼니'의 '바디콘서트'를 무대에 올린다.

 

2011년에 창단한 앰비규어스댄스컴퍼니는 기존의 관념을 넘어서는 독창적이고 다채로운 모습을 무용계에 선사하며 활발한 활동을 펼쳐 나가고 있다.

 

'애매모호한 무용단'이라는 표현을 소개로 내세우는 단체답게 음악과 춤으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예술적 시도를 추구하는 무용그룹이라 할 수 있다. 특히 2020년 '밴드 이날치'와 함께 출연한 한국관광공사 홍보영상 'Feel the Rhythm of Korea'를 통해 일반 대중에게 널리 이름을 알렸다.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의 방방곡곡 문화공감 지원사업의 하나로 열리는 이번 공연은 앰비규어스댄스컴퍼니의 대표적인 레퍼토리로 손꼽히며 여러 해에 걸쳐 무대에 오르고 있는 작품이다. 클래식부터 팝음악, 가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배경으로 현대무용의 다채로운 모습을 보여주는 옴니버스식의 공연이다.

 

북구문화예술회관 관계자는 "현대무용에 대한 막연한 거리감을 없애고 유쾌하면서도 역동적인 현대무용의 모습을 만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연은 북구공공시설예약서비스 홈페이지를 통해 예매할 수 있으며, 전석 1만원이다. 공연 관련 자세한 문의는 북구문화예술회관 전화하면 된다.

 


Ulsan Buk-gu Culture and Arts Center will stage "Body Concert" by South Korea's top dance group "Ambikyuus Dance Company" at 5 p.m. on December 10.

 

Founded in 2011, Ambigues Dance Company is actively engaged in activities by presenting original and colorful appearances beyond existing concepts to the dance world.

 

As an organization that introduces the expression "ambiguous dance company," it can be said to be a dance group that pursues all artistic attempts that can be expressed through music and dance. In particular, he made his name widely known to the general public through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s promotional video "Feel the Rhythm of Korea," which appeared with "Band Ilchi" in 2020.

 

The performance, which will be held as part of the Korea Culture and Arts Center Association's all-round cultural empathy support project,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repertoires of Ambigues Dance Company and has been on stage for many years. It is an omnibus-style performance that shows the colorful appearance of modern dance against the backdrop of various genres of music from classical music to pop music.

 

An official from the Buk-gu Culture and Arts Center said, "It will be a good opportunity to eliminate the vague distance from modern dance and meet the pleasant and dynamic modern dance."

 

The performance can be booked through the Buk-gu Public Facility Reservation Service website, and all seats are 10,000 won.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performance, call the Buk-gu Culture and Arts Center.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국민의힘, 내란전담재판부 설치에 “헌법 대놓고 위반...더불어민주당은 사법파괴 멈춰라”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국민의힘이 더불어민주당에 내란전담재판부 설치 추진 중단을 촉구했다. 국민의힘 최수진 원내수석대변인은 25일 국회에서 논평을 해 “내란전담재판부 설치는 헌법 제27조 ‘법률이 정한 법관’ 규정과 제101조 ‘법원의 각급 법원 조직’을 대놓고 위반하고 있다. 또한, 오직 군사법원만을 특별법원으로 둘 수 있다고 명시한 헌법 110조와도 충돌한다”며 “그런데도 더불어민주당의 뜻에 따라 이미 진행 중인 재판에 대해 정치권이 요구한다고 임의의 특별재판부가 만들어진다면 그 자체가 사법의 정치화이고 헌법이 보장한 재판 독립성을 훼손하는 것이다. 권력자의 요구에 따라 답을 정해 놓고 원하는 판결을 내놓으라는 협박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현행 헌법 제27조제1항은 “모든 국민은 헌법과 법률이 정한 법관에 의하여 법률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제101조제1항은 “사법권은 법관으로 구성된 법원에 속한다”고, 제2항은 “법원은 최고법원인 대법원과 각급법원으로 조직된다”고, 제110조제1항은 “군사재판을 관할하기 위하여 특별법원으로서 군사법원을 둘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최수진 원내수석대변인은 “더불어민주당에 충고한다. 내란전담재판부 추진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판소리로 읽는 한국 근대소설 대표 작가 현진건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서울남산국악당의 상주단체 ‘판소리아지트 놀애박스’의 신작 ‘판소리 쑛스토리 III : 현진건 편’ 공연이 오는 12월 19일부터 20일까지 서울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에서 펼쳐진다. 이 작품은 판소리아지트 놀애박스가 선보여온 단편시리즈의 세 번째 무대다. 앞선 두 번의 시리즈가 프랑스의 대문호 모파상의 단편을 1인극 판소리로 선보였다면, 이번 신작에서는 한국인이 사랑하는 소설가이자 한국 근대소설의 지평을 연 현진건의 작품을 판소리 언어로 풀어낸다. 소리꾼 박인혜가 작창·극본·연출을 맡아 최인환 음악감독과 함께 풍부한 이야기와 섬세한 음악으로 관객을 현진건의 작품 세계로 이끌 예정이다. 공연에서는 현진건의 대표작 △운수 좋은 날 △그립은 흘긴 눈 △정조와 약가 3편을 1인극과 다인극 형식으로 만나볼 수 있다. 박인혜, 이예린, 황지영, 이해원 등 네 명의 소리꾼이 홀로 혹은 함께 소설 속 각 인물의 삶과 비극, 욕망, 사회적 균열을 판소리로 읽어낸다. 현진건의 소설 속 인물들은 때론 비극적이면서도 한심하고, 때론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근대적 개인의 초상을 보여준다. ‘판소리 쑛스토리 III : 현진건 편’은 그들의 얼굴 속에서 ‘오늘을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또 만지작…전국을 부동산 투기장으로 만들 건가
또 다시 ‘규제 만능주의’의 유령이 나타나려 하고 있다. 지난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규제 지역에서 제외되었던 경기도 구리, 화성(동탄), 김포와 세종 등지에서 주택 가격이 급등하자, 정부는 이제 이들 지역을 다시 규제 지역으로 묶을 태세이다. 이는 과거 역대 정부 때 수 차례의 부동산 대책이 낳았던 ‘풍선효과’의 명백한 재현이며, 정부가 정책 실패를 인정하지 않고 땜질식 처방을 반복하겠다는 선언과 다름없다. 규제의 굴레, 풍선효과의 무한 반복 부동산 시장의 불패 신화는 오히려 정부의 규제가 만들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 곳을 묶으면, 규제를 피해 간 옆 동네가 달아오르는 ‘풍선효과’는 이제 부동산 정책의 부작용을 설명하는 고전적인 공식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10.15 부동산대책에서 정부가 서울과 수도권 일부를 규제 지역으로 묶자, 바로 그 옆의 경기도 구리, 화성, 김포가 급등했다. 이들 지역은 서울 접근성이 뛰어나거나, 비교적 규제가 덜한 틈을 타 투기적 수요는 물론 실수요까지 몰리면서 시장 과열을 주도했다. 이들 지역의 아파트 값이 급등세를 보이자 정부는 불이 옮겨붙은 이 지역들마저 다시 규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만약 이들 지역도